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파프리카 부패 곰팡이 유래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프리카 부패 감지용 냄새 마커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9012341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파프리카 부패 곰팡이 유래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프리카 부패 감지용 냄새 마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부패한 파프리카로부터 분리한 3가지의 부패균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BC), 푸사리움 락티스(Fusarium lactis; FL), 푸사리움 프로리퍼라텀(Fusarium proliferatum; FP)을 파프리카에 인공 접종하여 온도 25±1℃, 상대 습도 90±1%에서 보관하면서 접종하기 전(0)과 접종 후 0~1% 부패 직후(Ⅰ), 5% 미만으로 부패한 상태(Ⅱ), ~20% 미만으로 부패한 상태(Ⅲ), ~50% 미만으로 부패한 상태(Ⅳ)의 단계에 맞춰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부패 균주들 각각의 부패되면서 차별적으로 증가, 생성되는 휘발성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부패한 파프리카로부터 분리한 부패 원인균에 따른 파프리카 부패지수별 냄새 마커를 발굴하고, 냄새 DB를 구축하여 각 정보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농산물 수확 후 관리시 부패에 의한 경제적 손실 및 다양한 농수축산식품의 부패 방지로 경제적 손실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Int. CL G01N 30/72 (2006.01.01) G01N 33/02 (2006.01.01) G01N 30/06 (2006.01.01) G01N 30/88 (2006.01.01)
CPC G01N 30/7206(2013.01) G01N 30/7206(2013.01) G01N 30/7206(2013.01) G01N 30/7206(2013.01) G01N 30/72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94437 (2018.08.13)
출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957102-0000 (2019.03.05)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9031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8.13)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영석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2 서정아 서울특별시 서초구
3 최단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4 이상미 서울특별시 강남구
5 김민주 서울특별시 구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백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이노플렉스 *차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8.13 수리 (Accepted) 1-1-2018-0798811-85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8.08.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127865-73
3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8.08.29 수리 (Accepted) 1-1-2018-0859373-42
4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09.17 수리 (Accepted) 1-1-2018-0922584-36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10.0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10.26 수리 (Accepted) 9-1-2018-0056881-10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11.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768591-23
8 [출원서 등 보정(보완)]보정서
2018.12.13 수리 (Accepted) 1-1-2018-1253408-39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12.1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1253411-77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12.13 수리 (Accepted) 1-1-2018-1253410-21
11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18.12.13 수리 (Accepted) 1-1-2018-1253409-85
1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2.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129635-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옥솔란(oxolane), 헥사데칸(hexadecane), 1-메틸피롤(1-methylpyrrole), 벤젠(benzene), 1-메틸-4-프로판-2-일벤젠(1-methyl-4-propan-2-ylbenze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도데칸(dodecane), 1,2-자일렌(1,2-xylene), 노닐사이클로헥산(nonylcyclohexane), 트리데칸(tridecane), 2,3,6-트리메틸데칸(2,3,6-trimethyldecane), (3E)-3,7-디메틸옥타-1,3,6-트리엔((3E)-3,7-dimethylocta-1,3,6-triene), 2-메틸-1,3-디옥솔란(2-methyl-1,3-dioxolane), α-뮤로렌(α-Muurolene), 에틸벤젠(ethylbenzene), 나프탈렌(naphthalene), 1,3-자일렌(1,3-xylene), α-코파엔(α-Copaene), 아로마덴드렌(Aromadendrene), 헵트-1-엔(hept-1-e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에탄올(ethanol), 펜타데칸(pentadecane), 부틸벤젠(butylbenzene), 3,6-디메틸데칸(3,6-dimethyldecane), β-엘레멘(β-elemene), 스티렌(styrene), 운데칸(undecane), 옥탄(octane), 4,4-디메틸-3-(3-메틸부트-3-에닐리덴)-2-메틸렌비사이클로[4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강 파프리카 부패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락티스(Fusarium lactis), 푸사리움 프로리퍼라텀(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강 파프리카 부패 감지용 냄새 마커 조성물
3 3
노난-1-올(Nonan-1-ol), α-코파엔(α-Copae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5-메틸-5-프로필노난(5-Methyl-5-propylnonane), 5-에틸-2-메틸옥탄(5-Ethyl-2-methyloctane), (3-하이드록시-2,4,4-트리메틸펜틸)2-메틸프로파노에이트[(3-hydroxy-2,4,4-trimethylpentyl)2-Methylpropanoate], 6-메틸헵트-5-엔-2-원(6-Methylhept-5-en-2-one), 데카날(Decanal), 4-메틸데칸(4-Methyldecane), 노나날(Nonanal), 펜타데칸(Pentadecane), 트리데칸(Tridecane), α-뮤로렌(α-Muurolene), δ-카디넨(δ-Cadinene), 노닐사이클로헥산(Nonylcyclohexane), 발렌센(Valencene), 에레모필렌(Eremophilene), β-엘레멘(β-elemene), 헥사데칸(Hexadecane), β-셀리넨(β-Selinene), 1-메틸피롤(1-Methylpyrrole), α-셀리넨(α-Selinene), 알로아로마덴드렌(Alloaromadendrene), 아로마덴드렌(Aromadendrene), 벤젠(Benze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트랜스-카리요필렌(trans-Caryophyllene), 나프탈렌(Naphthalene), 데실사이클로헥산(Decylcyclohexane), 운덱-1-엔(Undec-1-ene), 2-메틸퓨란(2-Methylfuran), dl-리모넨(dl-Limonene),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도데칸(Dodecane), 운데칸(Undecan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1,2,3-트리메틸벤젠(1,2,3-Trimethylbenzene), 1,1,2,2-테트라클로로에텐(1,1,2,2-Tetrachloroethene), 2,3--디하이드로퓨란(2,3-Dihydrofuran), 2-에틸헥산-1-올(2-Ethylhexan-1-ol), 옥솔란(oxolane), 옥탄(Octane), 3,4-디하이드로-2H-피란(3,4-Dihydro-2H-pyran), 옥솔란-2-원(Oxolan-2-one),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2-(2-ethoxyethoxy)Ethanol), 노난(Nonane), 옥타날(Octanal), 에틸벤젠(Ethylbenzene), 헵탄(Heptane) 및 에탄올(Eth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랑 파프리카 부패 감지용 냄새 마커 조성물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랑 파프리카 부패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락티스(Fusarium lactis), 푸사리움 프로리퍼라텀(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랑 파프리카 부패 감지용 냄새 마커 조성물
5 5
2,3,5-트리메틸벤젠(2,3,5-Trimethylbenzen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도데칸(Dodecane), 운데칸(Un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스티렌(Styrene), 4-메틸데칸(4-Methyldecane), 1,2-자일렌(1,2-Xylene), 6-에틸-2-메틸옥탄(6-Ethyl-2-methyloctane), 5-에틸-2-메틸옥탄(5-Ethyl-2-methyloctane), 옥솔란(oxol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에틸벤젠(Ethylbenzene), α-코파엔(α-Copaene), 1,2,3-트리메틸벤젠(1,2,3-Trimethylbenzene), 1,2,4-트리메틸벤젠(1,2,4-Trimethylbenzene), 톨루엔(Toluene),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2-(2-ethoxyethoxy)Ethanol), 노난(Nonane), 헥사날(Hexanal), 1,3,5-트리메틸벤젠(1,3,5-Trimethylbenzene), 트리데칸(Tridecane), 나프탈렌(Naphthalene), 옥타데칸(Oct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3,4-디하이드로-2H-피란(3,4-Dihydro-2H-pyran), 노나날(Nonanal), 옥솔란-2원(Oxolan-2-one), (3-하이드록시-2,4,4-트리메틸펜틸)2-메틸프로파노에이트(3-hydroxy-2,4,4-trimethylpentyl)2-Methylpropanoate, 데카날(Decanal), 발렌센(Valencene), β-엘레멘(β-elemene), dl-리모넨(dl-Limonene), (1R,3R)-1,3-디메틸사이클로펜탄((1R,3R)-1,3-Dimethylcyclopentane), 3-메틸헥산(3-Methylhexane), 메틸사이클로헥산(Methylcyclohexane), 헵탄(Heptane), 2-메틸펜탄(2-Methylpentane), 1,2-디메틸사이클로펜탄(1,2-Dimethylcyclopentane), 옥탄(Octane), (1R,3S)-1,3-디메틸사이클로펜탄((1R,3S)-1,3-Dimethylcyclopentane), 노닐사이클로헥산(Nonylcyclohexane), 1-메틸피롤(1-Methylpyrrole), α-뮤로렌(α-Muurolene), 1,1,2,2-테트라클로로에텐(1,1,2,2-Tetrachloroethene), 에틸사이클로펜탄(Ethylcyclopentane), 1,3-자일렌(1,3-Xylene), α-셀리넨(α-Selinene), β-셀리넨(β-Selinene), 알로아로마덴드렌(Alloaromadendrene), 아로마덴드렌(Aromadendrene), 에레모필렌(Eremophilene), 옥타날(Octanal), 헵트-1-엔(Hept-1-ene), 6-메틸헵트-5-엔-2-원(6-Methylhept-5-en-2-one), (3E)-3,7-디메틸옥타-1,3,6-트리엔((3E)-3,7-Dimethylocta-1,3,6-triene) 및 헵타날(Heptan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황 파프리카 부패 감지용 냄새 마커 조성물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황 파프리카 부패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락티스(Fusarium lactis), 푸사리움 프로리퍼라텀(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황 파프리카 부패 감지용 냄새 마커 조성물
7 7
옥솔란(oxolane), 헥사데칸(hexadecane), 1-메틸피롤(1-methylpyrrole), 벤젠(benzene), 1-메틸-4-프로판-2-일벤젠(1-methyl-4-propan-2-ylbenze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도데칸(dodecane), 1,2-자일렌(1,2-xylene), 노닐사이클로헥산(nonylcyclohexane), 트리데칸(tridecane), 2,3,6-트리메틸데칸(2,3,6-trimethyldecane), (3E)-3,7-디메틸옥타-1,3,6-트리엔((3E)-3,7-dimethylocta-1,3,6-triene), 2-메틸-1,3-디옥솔란(2-methyl-1,3-dioxolane), α-뮤로렌(α-Muurolene), 에틸벤젠(ethylbenzene), 나프탈렌(naphthalene), 1,3-자일렌(1,3-xylene), α-코파엔(α-Copaene), 아로마덴드렌(Aromadendrene), 헵트-1-엔(hept-1-e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에탄올(ethanol), 펜타데칸(pentadecane), 부틸벤젠(butylbenzene), 3,6-디메틸데칸(3,6-dimethyldecane), β-엘레멘(β-elemene), 스티렌(styrene), 운데칸(undecane), 옥탄(octane), 4,4-디메틸-3-(3-메틸부트-3-에닐리덴)-2-메틸렌비사이클로[4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빨강 파프리카 부패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락티스(Fusarium lactis), 푸사리움 프로리퍼라텀(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강 파프리카 부패 감지 방법
9 9
노난-1-올(Nonan-1-ol), α-코파엔(α-Copae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5-메틸-5-프로필노난(5-Methyl-5-propylnonane), 5-에틸-2-메틸옥탄(5-Ethyl-2-methyloctane), (3-하이드록시-2,4,4-트리메틸펜틸)2-메틸프로파노에이트[(3-hydroxy-2,4,4-trimethylpentyl)2-Methylpropanoate], 6-메틸헵트-5-엔-2-원(6-Methylhept-5-en-2-one), 데카날(Decanal), 4-메틸데칸(4-Methyldecane), 노나날(Nonanal), 펜타데칸(Pentadecane), 트리데칸(Tridecane), α-뮤로렌(α-Muurolene), δ-카디넨(δ-Cadinene), 노닐사이클로헥산(Nonylcyclohexane), 발렌센(Valencene), 에레모필렌(Eremophilene), β-엘레멘(β-elemene), 헥사데칸(Hexadecane), β-셀리넨(β-Selinene), 1-메틸피롤(1-Methylpyrrole), α-셀리넨(α-Selinene), 알로아로마덴드렌(Alloaromadendrene), 아로마덴드렌(Aromadendrene), 벤젠(Benze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트랜스-카리요필렌(trans-Caryophyllene), 나프탈렌(Naphthalene), 데실사이클로헥산(Decylcyclohexane), 운덱-1-엔(Undec-1-ene), 2-메틸퓨란(2-Methylfuran), dl-리모넨(dl-Limonene),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도데칸(Dodecane), 운데칸(Undecan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1,2,3-트리메틸벤젠(1,2,3-Trimethylbenzene), 1,1,2,2-테트라클로로에텐(1,1,2,2-Tetrachloroethene), 2,3--디하이드로퓨란(2,3-Dihydrofuran), 2-에틸헥산-1-올(2-Ethylhexan-1-ol), 옥솔란(oxolane), 옥탄(Octane), 3,4-디하이드로-2H-피란(3,4-Dihydro-2H-pyran), 옥솔란-2-원(Oxolan-2-one),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2-(2-ethoxyethoxy)Ethanol), 노난(Nonane), 옥타날(Octanal), 에틸벤젠(Ethylbenzene), 헵탄(Heptane) 및 에탄올(Eth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노랑 파프리카 샘플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랑 파프리카 부패 감지 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랑 파프리카 부패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락티스(Fusarium lactis), 푸사리움 프로리퍼라텀(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랑 파프리카 부패 감지 방법
11 11
2,3,5-트리메틸벤젠(2,3,5-Trimethylbenzen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도데칸(Dodecane), 운데칸(Un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스티렌(Styrene), 4-메틸데칸(4-Methyldecane), 1,2-자일렌(1,2-Xylene), 6-에틸-2-메틸옥탄(6-Ethyl-2-methyloctane), 5-에틸-2-메틸옥탄(5-Ethyl-2-methyloctane), 옥솔란(oxol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에틸벤젠(Ethylbenzene), α-코파엔(α-Copaene), 1,2,3-트리메틸벤젠(1,2,3-Trimethylbenzene), 1,2,4-트리메틸벤젠(1,2,4-Trimethylbenzene), 톨루엔(Toluene),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2-(2-ethoxyethoxy)Ethanol), 노난(Nonane), 헥사날(Hexanal), 1,3,5-트리메틸벤젠(1,3,5-Trimethylbenzene), 트리데칸(Tridecane), 나프탈렌(Naphthalene), 옥타데칸(Oct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3,4-디하이드로-2H-피란(3,4-Dihydro-2H-pyran), 노나날(Nonanal), 옥솔란-2원(Oxolan-2-one), (3-하이드록시-2,4,4-트리메틸펜틸)2-메틸프로파노에이트(3-hydroxy-2,4,4-trimethylpentyl)2-Methylpropanoate, 데카날(Decanal), 발렌센(Valencene), β-엘레멘(β-elemene), dl-리모넨(dl-Limonene), (1R,3R)-1,3-디메틸사이클로펜탄((1R,3R)-1,3-Dimethylcyclopentane), 3-메틸헥산(3-Methylhexane), 메틸사이클로헥산(Methylcyclohexane), 헵탄(Heptane), 2-메틸펜탄(2-Methylpentane), 1,2-디메틸사이클로펜탄(1,2-Dimethylcyclopentane), 옥탄(Octane), (1R,3S)-1,3-디메틸사이클로펜탄((1R,3S)-1,3-Dimethylcyclopentane), 노닐사이클로헥산(Nonylcyclohexane), 1-메틸피롤(1-Methylpyrrole), α-뮤로렌(α-Muurolene), 1,1,2,2-테트라클로로에텐(1,1,2,2-Tetrachloroethene), 에틸사이클로펜탄(Ethylcyclopentane), 1,3-자일렌(1,3-Xylene), α-셀리넨(α-Selinene), β-셀리넨(β-Selinene), 알로아로마덴드렌(Alloaromadendrene), 아로마덴드렌(Aromadendrene), 에레모필렌(Eremophilene), 옥타날(Octanal), 헵트-1-엔(Hept-1-ene), 6-메틸헵트-5-엔-2-원(6-Methylhept-5-en-2-one), (3E)-3,7-디메틸옥타-1,3,6-트리엔((3E)-3,7-Dimethylocta-1,3,6-triene) 및 헵타날(Heptan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주황 파프리카 샘플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황 파프리카 부패 감지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황 파프리카 부패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락티스(Fusarium lactis), 푸사리움 프로리퍼라텀(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황 파프리카 부패 감지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축산식품부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용 신선 농식품 고품질화를 위한 냄새지문 활용 부패감지기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