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알츠하이머치매 진단 체액 바이오마커 후보 단백4종

  • 기술번호 : KST2019012577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OPCML(오피오이드-결합 단백질/세포 부착 분자), YWHAB(14-3-3 단백질 β/α), CHGA(크로모그라닌-A) 및 CHGB(시크리토그라닌-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용 키트; 및 상기 유전자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준을 정상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측정된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용 조성물은 5종의 단백질(OPCML, YWHAB, CHGA, CHGB 및 VGF)의 발현양을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이 가능하다.
Int. CL C12Q 1/6883 (2018.01.01) G01N 33/68 (2006.01.01)
CPC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31309 (2018.10.30)
출원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992060-0000 (2019.06.17)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9062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10.30)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선아 서울특별시 양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특허법인한얼)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0.30 수리 (Accepted) 1-1-2018-1075323-26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8.12.04 수리 (Accepted) 1-1-2018-1214761-83
3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12.0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12.20 수리 (Accepted) 9-1-2018-0071672-82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3.0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159477-43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4.1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406504-70
7 [지정기간단축]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Reduction of Designated Period] Request for Extension of Period (Reduction, Expiry Reconsideration)
2019.04.19 수리 (Accepted) 1-1-2019-0406883-58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4.19 수리 (Accepted) 1-1-2019-0406503-24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6.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414526-5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YWHAB(14-3-3 단백질 β/α), CHGA(크로모그라닌-A) 및 CHGB(시크리토그라닌-1) 유전자 조합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인 것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앱타머를 포함하는 것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조성물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VGF(신경분비단백질 VGF) 또는 OPCM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조성물
6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키트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키트, DNA 칩 키트,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또는 단백질 칩 키트인 것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키트
8 8
(a)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뇌척수액에서, YWHAB, CHGA 및 CHGB 유전자 조합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수준을 정상 개체로부터 분리된 뇌척수액에서 측정된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eal time quantitativ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method),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또는 DNA칩 분석법(DNA chip technology assay)에 의하여 측정되는 것인,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수준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ting),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al 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Ouchterlony immunodiffusion), 로케트 면역전기영동(rocket immunoelectrophoresis),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cal staining),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mmunochromatography), FACS 분석법(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 및 단백질 칩 분석법(protein chip technology assay)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방법
11 11
삭제
12 12
삭제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VGF 또는 OPCM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14
제8항 내지 제10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상 개체로부터 분리된 뇌척수액에서 측정된 수준과 비교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뇌척수액에서 측정된 YWHAB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수준이 높은 경우 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측정된 VGF, CHGA, CHGB 및 OPCML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수준이 낮은 경우,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 위험이 높다고 판정하는 것인,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한국과학기술원 질환극복중개연구 조기발현 퇴행치매 위험예측 알고리즘 개발 위한 단백체-유전체 통합 네트워크 분석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 타우병리 전파에서 타우상호작용 단백들의 역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