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1276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풀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 자원 풀에 상응하는 전송 지시자 풀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자원 및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4W 72/12 (2009.01.01)
CPC H04W 72/1257(2013.01) H04W 72/125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82490 (2017.12.2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80192 (2019.07.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0.21)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영조 대전광역시 서구
2 박기윤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박옥선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백승권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신우람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윤찬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2.28 수리 (Accepted) 1-1-2017-1304671-71
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0.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113834-85
3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10.21 수리 (Accepted) 1-1-2020-1113857-2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풀(resource pool)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풀을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상기 자원 풀에 상응하는 전송 지시자 풀을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상향링크 자원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parameter)들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2
상기 자원 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는,RRC 시그널링(RRC signaling)을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원 풀은,상기 단말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타이밍(timing), 전력,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size)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타이밍, 전력 및 페이로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7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상기 자원 풀에 상응하는 전송 지시자 풀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지시자의 전송을 위한 전송 지시자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전송 지시자 자원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8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전송 지시자 풀은,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획득되고, 상기 전송 지시자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9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10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풀(resource pool) 및 상기 자원 풀에 상응하는 전송 지시자 풀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자원 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송 지시자 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수행을 지시하는 전송 지시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자원 풀에 포함된 상향링크 자원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parameter)들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1 11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자원 풀은,상기 단말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2 12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타이밍(timing), 전력,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size)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13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기지국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타이밍, 전력 및 페이로드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14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단계는,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이 포함된 자원 풀에서 상기 전송 지시자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확인된 상향링크 자원 및 상기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15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16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기반으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지시하는 단말 그룹을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확인된 단말 그룹이 상기 단말이 포함된 단말 그룹인 경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7 17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단말 그룹을 확인하는 단계는,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이 포함된 단말 그룹의 식별자(identifier)를 기반으로 스크램블링 하는 단계; 및상기 스크램블링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지시하는 단말 그룹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8 18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단말 그룹의 식별자는,상기 단말 그룹의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9 19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획득된 상향링크 자원 및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0 20
청구항 19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상기 단말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시그니처(signature), 전력 및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의 크기(siz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190075336 KR 대한민국 FAMILY
2 US20190200378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창조과학부 기획과제 셀룰러 기반 산업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5G 성능 한계 극복 저지연, 고신뢰, 초연결 통합 핵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