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방사성 세슘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1381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광촉매 입자; 및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를 포함하고, 상기 프러시안 블루의 철(Ⅲ) 이온(ferric ion)은 상기 광촉매 입자의 활성화에 의해 철(Ⅱ) 이온(ferrous ion)으로 환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세슘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B01J 20/22 (2006.01.01) B01J 35/00 (2006.01.01) B01J 21/06 (2006.01.01) B01J 19/12 (2006.01.01) G21F 9/1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80103976 (2018.08.31)
출원인 한국원자력연구원,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160108-0000 (2020.09.21)
공개번호/일자 10-2019-0080722 (2019.07.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00925)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182914   |   2017.12.28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8.31)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원자력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구 달성군 현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현철 세종특별자치시 보듬*로 **,
2 김순현 세종특별자치시 보듬*로 **,
3 김민선 경상북도 청도군
4 임상규 대구광역시 수성구
5 이완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연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호(문정동, 문정대명벨리온)(시안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원자력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 달성군 현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8.31 수리 (Accepted) 1-1-2018-0869601-47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09.05 수리 (Accepted) 1-1-2018-0884577-35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18 수리 (Accepted) 4-1-2018-5260250-39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2.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111505-45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4.0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361717-12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04.07 수리 (Accepted) 1-1-2020-0361716-7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8 수리 (Accepted) 4-1-2020-5134633-04
8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0.07.28 수리 (Accepted) 1-1-2020-0791883-02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8.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545111-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광촉매 입자 및 프러시안 블루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조성물 및 방사성 세슘을 혼합한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질소 분위기 하에 UV 조사를 통해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전구체 용액에서 상기 광촉매 입자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프러시안 블루의 철(Ⅲ) 이온(ferric ion)을 철(Ⅱ) 이온(ferrous ion)으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전구체 용액 내 광촉매 입자 및 프러시안 블루의 총 농도는 2g/L 내지 20g/L인 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에서 UV 조사는 상기 광촉매 입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파장을 포함하는 UV 영역에 의한 것인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광촉매 입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파장은 300 nm 초과 내지 500 nm 이하인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UV 영역은 UV를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조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UV의 시간당 총 조사량은 300 mJ/㎠ 내지 5,000 mJ/㎠인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UV 조사는 pH 2 내지 pH 10에서 수행되는 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촉매 입자는 TiO2, ZnO, WO3, SnO2, CdS 및 Fe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자인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러시안 블루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방사성 세슘의 제거방법:[화학식 1]
9 9
삭제
10 10
삭제
11 11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850251 US 미국 FAMILY
2 US20200027615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20027615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주요사업 원자력시설주변 환경방사선평가
2 미래창조과학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프루시안 블루 담지 광촉매 복합체를 이용한 방사성 세슘 및 유기오염물질 동시 제거 기술 개발 프루시안 블루 담지 광촉매 복합체를 이용한 방사성 세슘 및 유기오염물질 동시 제거 기술 개발
3 미래창조과학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스마트섬유융합기술 개발 스마트섬유융합기술 개발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주요사업 원자력시설주변 환경방사선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