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뇌전증과 관련된 miRNA 및 그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19013832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뇌전증과 관련된 miRNA 및 그의 치료제, 진단용 조성물, 및 질환 동물 모델에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miRNA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에 의하면, KCNQ2의 발현을 증가시켜 뇌전증과 관련된 뉴런 흥분성을 감소시키므로 뇌전증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그를 바이오 마커로 하는 뇌전증 진단 방법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환 동물 모델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A61K 31/713 (2006.01.01) A61K 48/00 (2006.01.01) C12N 15/113 (2010.01.01) C12Q 1/68 (2018.01.01) A01K 67/027 (2006.01.01) G01N 33/68 (2006.01.01)
CPC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82561 (2017.12.28)
출원인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80227 (2019.07.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2.10)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구 달성군 현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기태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테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유한)아이시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인화빌딩 *층 (삼성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2.28 수리 (Accepted) 1-1-2017-1305014-73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18 수리 (Accepted) 4-1-2018-5260250-39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20.02.10 수리 (Accepted) 1-1-2020-0137936-61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8 수리 (Accepted) 4-1-2020-5134633-04
5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0.07.21 수리 (Accepted) 1-1-2020-0756658-70
6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10.15 수리 (Accepted) 1-1-2020-1090964-27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11.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795714-3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miR-106b-5p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iR-106b-5p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상기 miR-106-5p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결합할 수 있는 핵산 분자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핵산 분자는 RNA, DNA, 앤타고미어(antagomir), 안티센스 분자, siRNA, shRNA, 2'-O-변형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백본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백본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디코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터프 디코이(tough decoy)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PNA(peptide nucleic acid)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LNA(locked nucleic acid)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iR-106b-5p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miR-106b-5p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상기 miR-106-5p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결합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또는 그에 의해 형질전환된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iR-106b-5p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KCNQ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iR-106b-5p의 표적 mRNA는 KCNQ2의 3'-비번역 부위(UTR)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작 관련 질환은, 뇌졸중, 해마경화, 뇌선마비, 선천성기형, 중추신경계 감염, 저산소증, 뇌종양, 외상성 뇌손상, 신경퇴행성질환, 대사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원인 미상으로 인한 발작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뇌로 전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10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miR-106b-5p 및 KCNQ2의 발현을 검출하여 이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miR-106b-5p 및 KCNQ2의 발현 수준에 따른 miRN-106b-5p 및 KCNQ2의 상호작용을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
11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대조군과 대비하여 상기 분석된 miR-106b-5p의 발현 수준이 감소되고, KCNQ2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며, 상기 miR-106b-5p에 의해 KCNQ2의 발현이 조절되는 경우 뇌전증 또는 발직 관련 질환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현 수준은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고, 측정은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팅 또는 DNA 칩에 의한 것인 방법
13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현 수준은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고, 측정은 백질 칩 분석, 면역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l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assay) 또는 그의 조합으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4 14
후보 물질을 miR-106b-5p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무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상기 miR-106b-5p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킨 후보 물질을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의 치료제를 스크리닝 하는 방법
15 15
miR-106b-5p를 포함하는 벡터가 도입된,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 동물 모델
16 16
miR-106b-5p 또는 그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 동물 모델을 제조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교육부) 마우스 해마의 노화과정에서 마이크로 RNA-204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