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셀레늄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및 리튬 셀레늄 이차 전지, 및 리튬이온커패시터

  • 기술번호 : KST2019014302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복합 소재가 제공된다. 상기 복합 소재는,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탄소층(carbon layer), 및 금속 화합물층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화합물층은 몰리브덴 및 셀레늄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 소재가 리튬 셀레늄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로 사용되는 경우, 셀레늄은 예비 충방전 과정을 통해 금속 화합물층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된다. 또한 본 복합 소재는 리튬이온전지 및 리튬이온 커패스터의 음극 활물질로 상용된다. 더욱이 리튬 셀레늄 전지의 양극재 활물질로 이용된다.
Int. CL C01B 32/194 (2017.01.01) C01B 19/00 (2006.01.01) H01M 4/36 (2006.01.01) H01M 4/58 (2015.01.01) H01M 4/62 (2006.01.01) H01M 10/052 (2010.01.01) H01M 10/054 (2010.01.01) H01G 11/32 (2013.01.01) H01G 11/06 (2013.01.01)
CPC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C01B 32/19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05887 (2018.01.17)
출원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이아이티 오스트리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87732 (2019.07.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17)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성환 서울특별시 종로구
2 한중희 오스트리아 빈 A-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상열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층 ****호(나눔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1.17 수리 (Accepted) 1-1-2018-0055192-49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8.01.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14033-97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02.12 수리 (Accepted) 1-1-2018-0149066-21
4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8.02.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27503-48
5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02.28 수리 (Accepted) 1-1-2018-0206525-58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5 수리 (Accepted) 4-1-2019-5155816-75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6 수리 (Accepted) 4-1-2019-5156285-09
8 [출원인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Change of Applicant]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20.04.13 수리 (Accepted) 1-1-2020-0378448-22
9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11.17 수리 (Accepted) 1-1-2020-1228858-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탄소층(carbon layer), 및 금속 화합물층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화합물층은 몰리브덴 및 셀레늄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
2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층은 그래핀층 또는 그래핀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
3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층 사이의 거리는 5~15Å인 것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
4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층은 선천적으로(inherently) 상기 금속 화합물층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
5 5
제1 항에 있어서,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탄소층(carbon layer), 및 금속 화합물층을 둘러싸는 탄소 쉘층(carbon shell layer)을 더 포함하는 복합 소재
6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층의 적어도 일부는 monolayer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
7 7
몰리브덴 소스, 셀레늄 소스, 및 메인 탄소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몰리브덴 소스, 상기 셀레늄 소스, 및 상기 메인 탄소 소스를 혼합하고 1차 열처리하여, 중간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중간 생성물을 2차 열처리하여,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탄소층(carbon layer), 및 몰리브덴 및 셀레늄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층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 방법
8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생성물은, 몰리브덴 및 셀레늄을 포함하는 상기 금속 화합물층, 및 상기 메인 탄소 소스가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중간 생성물에서 상기 금속 화합물층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합 소재에서 상기 금속 화합물층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 방법
9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생성물을 상기 2차 열처리하기 전, 상기 중간 생성물에 보조 탄소 소스를 첨가하여, 보조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탄소 소스의 분자는, 상기 중간 생성물에서 상기 금속 화합물층 사이의 간격, 및 상기 메인 탄소 소스의 분자 크기보다 크고, 상기 중간 생성물은, 상기 금속 화합물층, 및 상기 메인 탄소 소스를 둘러싸는 탄소 쉘층(carbon shell layer)을 더 포함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 방법
10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열처리는, 제1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2차 열처리는, 질소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 방법
11 11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양극;상기 양극과 이격되고, 리튬, 나트륨, 또는 마그네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극; 및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2 12
제11 항에 있어서, 예비 충방전 되어, 상기 금속 화합물층의 몰리브덴 및 셀레늄이 화학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금속 화합물층에서 화학적으로 분리된 셀레늄이 활물질로 기능하고,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셀레늄 화합물이 생성되고, 상기 리튬 셀레늄 화합물이 상기 복수의 탄소층에 의해 속박되어, 전해질로의 용출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3 13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음극;양극; 및상기 음극 및 상기 양극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용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14313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14313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오스트리아 국립연구소 오스트리아 국립연구소 오스트리아 국립연구소과제 Novel layered dichalcogenide with high performance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