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용매 후처리를 통한 고성능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1455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용매 후처리를 통한 고성능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화 용매의 새로운 척도인 Ra(활성화 용매와 고분자의 Hansen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 및 활성화 용매의 끓는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선정된 활성화 용매를 사용하여, 역삼투(Reverse osmosis, RO) 수준의 성능에서부터 나노여과(Nanofiltration, NF)수준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높은 수투과도와 함께, 무기염에 의한 내오염성과 산에 대한 내화학성 가지는 박막 복합체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Int. CL B01D 67/00 (2006.01.01) B01D 69/10 (2006.01.01) B01D 69/12 (2006.01.01) B01D 61/02 (2006.01.01) B01D 61/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008187 (2019.01.2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89765 (2019.07.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007918   |   2018.01.22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1.22)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정현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신민규 경기도 파주시 책향기로 ***(동패
3 박상희 서울특별시 강북구
4 권효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5 권순진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1.22 수리 (Accepted) 1-1-2019-0078716-92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03.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05.10 수리 (Accepted) 9-1-2019-0021428-87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11.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851847-87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20.01.28 수리 (Accepted) 1-1-2020-0089628-43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1.2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089627-08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4.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256028-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선택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활성화 용매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 용매는 하기 수학식 1로 계산되는 Ra 값이 10 이하이고, 끓는점은 100℃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003c#수학식 1003e#Ra = [4(δd2-δd1)2 + (δp2-δp1)2 + (δh2-δh1)2]0
2 2
제 1 항에 있어서,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테플론(Teflo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텔에텔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술폰화 폴리에텔에텔 케톤(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S-PEEK)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또는 그의 유도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지지체는 폴리에틸렌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선택층은 지방족 혹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Aliphatic, aromatic polyamide), 방향족 폴리하이드라자이드(Aromatic polyhydrazide), 폴리벤지이미다졸론(Polybenzimidazolone), 폴리파이아민/아마이드(Polyepiamine/amide), 폴리파이아민/유레아(Polyepiamine/urea), 폴리에틸렌이민/유레아(Polyethyleneimine/urea), 술폰화폴리퓨란(Sulfonated polyfurane),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피페라진아이소프탈레이트(Polypiperazine isophtalamide), 폴리에텔(Polyether), 폴리에텔유레아(Polyetherurea),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층은 계면중합법, 딥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핀코팅법 또는 층상 조립 (layer-by-layer)법, 듀얼슬랏코팅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선택층은 지지체 상에 제 1 유기단량체를 포함하는 제 1 용액을 함침 또는 도포하는 단계;상기 지지체 상의 제 1 유기단량체의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 제 2 유기단량체를 포함하는 제 2 용액을 함침 또는 도포하는 단계;상기 제 1 용액 및 제 2 용액에 각각 용해되어 있는 제 1 유기단량체와 제 2 유기단량체 간의 계면중합을 통해 선택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잔류 제 2 유기단량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유기단량체는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MPD), o-페닐렌 디아민(o-phenylene diamine, OPD), p-페닐렌 디아민(p-phenylene diamine, PPD), 피페라진(piperazine), m-자일렌 디아민(m-xylenediamine, MXDA), 에틸렌 디아민(ethylenediamine), 트리메틸렌디아민(trimethylenediamine), 헥사메틸렌 디아민(haxamethylenediamine), 디에틸렌 트리아민(diethylene triamine, DETA), 트리에틸렌 테트라민(triethylene tetramine, TETA), 메탄 디아민(methane diamine, MDA), 이소포론디아민(isophoroediamine, IPDA),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메틸 디에탄올아민(methyl diethanolamine), 하이드록시알킬아민(hydroxyakylami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레소시놀(resorcinol), 카테콜(catech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폴리바이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4,4'-비페놀(4,4'-biphenol),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m-phenylene diisocyanate),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phenylene diisocyanate)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8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용액의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및 N-메틸-2-피롤리디온(N-methyl-2-pyrrolidone, NM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9 9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용액은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0 10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유기단량체는 트리메조일 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isophthaloyl chloride), 시클로헥산-1,3,5-트리카보닐 클로라이드(cyclohexane-1,3,5-tricarbonyl chloride), 5-이소시아네이토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5-isocyanato-isophthaloyl chloride), 시아누릭 클로라이드(cyanuric chloride), 트리멜리토일 클로라이드(trimellitoyl chloride), 포스포릴 클로라이드(phosphoryl chloride) 및 글루타알데하이드(glutaraldehy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1 11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용액의 용매는 n-헥산, 펜탄, 사이클로헥산, 헵탄, 옥탄, 사염화탄소, 벤젠, 자일렌, 톨루엔, 클로로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이소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2 12
삭제
13 13
제 1 항에 있어서,활성화 용매는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디메틸포름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및 메틸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4 14
제 1 항에 있어서,활성화 용매의 처리 시간은 24 시간 이하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5 15
제 1 항에 있어서,활성화 용매의 처리 온도는 10 내지 100℃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6 16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화 용매의 처리는 표면접촉, 담지, 에어 스프레이 또는 투과 방법을 사용하는 것인 박막 복합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
17 17
제 1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 복합체 분리막
18 18
제 17 항에 있어서, 역삼투(Revese Osmosis, RO), 정삼투(Forward osmosis, FO)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14322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14322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 NF/LPRO막 기반 고도정수처리 막오염 제어기술 개발
2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기본연구 물질전달구조 제어를 통한 삼투공학 분리막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