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시클레소나이드를 포함하는, 유방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9018771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시클레소나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의 전이 억제, 또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클레소나이드는 유방암과 폐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유방암과 폐암 줄기세포의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유방암과 폐암 줄기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Nanog, C-myc, Oct4, Sox2, Snail 및 CD44와 같은 자가 재생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유방암 줄기세포의 맘모스페어 형성과 폐암 줄기세포의 투머스페어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IL-6와 IL-8의 생산을 억제하였으며, STAT3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화합물은 유방암과 폐암 등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과 이들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바, 유방암과 폐암 등의 암의 치료에 활용이 가능하다.
Int. CL A61K 31/58 (2006.01.01) A61K 31/573 (2006.01.01) A23L 33/10 (201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116816 (2019.09.23)
출원인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110982 (2019.10.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133358   |   2016.10.14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7-0132957 (2017.10.13)
관련 출원번호 102017013295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9.23)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동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
2 최학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진동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길 ** 다원빌딩 *층(푸른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9.23 수리 (Accepted) 1-1-2019-0970452-12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10.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771477-3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시클레소나이드인 것인,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i) 유방암 유래의 맘모스페어(mammosphere)의 형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ii) 유방암 유래의 맘모스페어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줄기세포는 Nanog, C-myc, Oct4, Sox2 및 CD44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자가 재생(self-renewal) 유전자를 발현하는 것인, 조성물
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방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D44high/CD24low를 발현하는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양성의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10072529 CN 중국 FAMILY
2 KR102035478 KR 대한민국 FAMILY
3 KR102039298 KR 대한민국 FAMILY
4 US20200246307 US 미국 FAMILY
5 WO201807081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10072529 CN 중국 DOCDBFAMILY
2 KR102035478 KR 대한민국 DOCDBFAMILY
3 KR102039298 KR 대한민국 DOCDBFAMILY
4 KR20180041595 KR 대한민국 DOCDBFAMILY
5 KR20190110981 KR 대한민국 DOCDBFAMILY
6 US2020246307 US 미국 DOCDBFAMILY
7 WO201807081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촌진흥청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물분자유전육종사업단 경제가축 유전체 정보 융합 활용 시스템 구축
2 미래창조과학부 제주대학교 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 자연계 존재하는 옥시리핀 화합물을 이용한 암줄기세포 억제 및 조절연구
3 교육부 제주대학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아열대 생물 유전자원 개발 및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