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당 배출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9018859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리간드에 위를 통과하기 위하여 콜라겐, 소맥단백, 대두단백, 탈지분유, 유청 중 어느 하나로 1차 코팅하여 당을 배변으로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당 배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nt. CL A61K 38/18 (2006.01.01) A61K 47/42 (2017.01.01) A61K 47/36 (2017.01.01) A61P 9/00 (2006.01.01) A61P 9/12 (2006.01.01) A61P 3/10 (2006.01.01)
CPC A61K 38/1808(2013.01) A61K 38/1808(2013.01) A61K 38/1808(2013.01) A61K 38/1808(2013.01) A61K 38/1808(2013.01) A61K 38/180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51041 (2018.05.03)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027750-0000 (2019.09.26)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9100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19010206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5.03)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구철룡 서울특별시 용산구
2 조응혁 서울특별시 마포구
3 강찬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역삼동) 청수빌딩 *층(파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5.03 수리 (Accepted) 1-1-2018-0437637-14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3.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218962-04
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4.10 수리 (Accepted) 1-1-2019-0366233-74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4.1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367129-02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4.10 무효 (Invalidation) 1-1-2019-0366240-94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4.10 수리 (Accepted) 1-1-2019-0367120-92
7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9.04.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9-0065130-36
8 무효처분통지서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
2019.06.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9-0092304-17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6.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457922-72
10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8.21 수리 (Accepted) 1-1-2019-0856595-9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리간드에 위를 통과하기 위하여 콜라겐, 소맥단백, 대두단백, 탈지분유, 유청 중 어느 하나로 1차 코팅하여 당을 배변으로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당 배출용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EGFR 리간드 물질을 소장말단의 일렘(Ileum) 부위에 전달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2 2
삭제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소장말단은 공통 분지(common limb)인, 당 배출용 조성물
4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소장말단의 일렘(Ileum) 부위는 위 절제를 통해 연결된 부위인, 당 배출용 조성물
5 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6 6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위절제술을 받은 피검체를 대상으로 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7 7
제 1항에 있어서,상기 EGFR 리간드 물질은 EGF, 변형 성장 인자-알파(transforming growth factor-alpha), 헤파린-결합 EGF-유사 성장인자, 베타셀룰린(betacellulin), 엠피레귤린(amphiregulin), 에피레귤린(epiregulin) 및 에피겐(epigen) 중 어느 하나인, 당 배출용 조성물
8 8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급성 고혈당 합병증을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9 9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당뇨를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10 10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당뇨성 케톤산 혈증을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11 11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당을 배변으로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당 배출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리간드에 위를 통과하기 위하여 콜라겐, 소맥단백, 대두단백, 탈지분유, 유청 중 어느 하나로 1차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GFR 리간드 물질은 소장말단의 일렘(Ileum) 부위에 전달되는, 당 배출용 조성물 제조방법
12 12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리간드에 위를 통과하기 위하여 콜라겐, 소맥단백, 대두단백, 탈지분유, 유청 중 어느 하나로 1차 코팅하고 소장에서의 분출을 용이하게 하는 2차코팅물질로 코팅하여 당을 배변으로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당 배출용 조성물
13 13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소장말단에 EGFR 리간드 물질을 전달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14 14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2차코팅물질은 수용성 폴리머인, 당 배출용 조성물
15 15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2차코팅물질은 젤라틴, 셀룰로오스, 잔탄검, 구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레반(Lev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당 배출용 조성물
16 16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소장말단은 공통 분지(common limb)인, 당 배출용 조성물
17 17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소장말단은 위 절제를 통해 연결된 소장의 일렘(Ileum) 부위인, 당 배출용 조성물
18 18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19 19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위절제술을 받은 피검체를 대상으로 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20 20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EGFR 리간드 물질은 EGF, 변형 성장 인자-알파(transforming growth factor-alpha), 헤파린-결합 EGF-유사 성장인자, 베타셀룰린(betacellulin), 엠피레귤린(amphiregulin), 에피레귤린(epiregulin) 및 에피겐(epigen) 중 어느 하나인, 당 배출용 조성물
21 21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급성 고혈당 합병증을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22 22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당뇨를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23 23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당 배출용 조성물은 당뇨성 케톤산 혈증을 개선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24 24
제 12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당을 배변으로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당 배출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리간드에 위를 통과하기 위하여 콜라겐, 소맥단백, 대두단백, 탈지분유, 유청 중 어느 하나로 1차 코팅하는 단계; 및소장에서의 분출을 용이하게 하는 2차코팅물질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 배출용 조성물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109385 KR 대한민국 FAMILY
2 WO201921227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자 주도 질병극복연구 장내 포도당 수송체 조절 시스템 기반 당뇨병 제어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