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 기술번호 : KST201901928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블록의 초기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초기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4N 19/56 (2014.01.01) H04N 19/573 (2014.01.01) H04N 19/176 (2014.01.01) H04N 19/119 (2014.01.01) H04N 19/105 (2014.01.01) H04N 19/577 (2014.01.01) H04N 19/513 (2014.01.01) H04N 19/139 (2014.01.01) H04N 19/44 (2014.01.01) H04N 19/132 (2014.01.01) H04N 19/172 (2014.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035711 (2019.03.2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114853 (2019.10.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26774   |   2019.03.08
대한민국  |   1020180043725   |   2018.04.16
대한민국  |   1020180082688   |   2018.07.17
대한민국  |   1020180037265   |   2018.03.30
대한민국  |   1020180112714   |   2018.09.20
대한민국  |   1020180075704   |   2018.06.29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하현 서울특별시 중랑구
2 임성창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강정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진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김휘용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병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 **층 (서초동, 재우빌딩)(마루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3.28 수리 (Accepted) 1-1-2019-0318485-0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초기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상기 초기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초기 움직임 벡터는 초기 L0 움직임 벡터 및 초기 L1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는 보정된 L0 움직임 벡터 및 보정된 L1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되,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는, 머지 모드 기반 움직임 벡터 보정 및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들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보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유도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 3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머지 모드 기반 움직임 벡터 보정에 의해 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상기 머지 모드 기반 움직임 벡터 보정에 이용되는 초기 움직임 벡터를 지시하는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4 4
제 3항에 있어서,보정 움직임 벡터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5 5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의 크기 단위에 대한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의 크기 단위는 정수 화소 단위 및 부화소 단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6 6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된 L0 움직임 벡터는 상기 L0 초기 움직임 벡터와 소정의 탐색 범위 내에서 이동한 L0 움직임 벡터간의 차이를 상기 L0 초기 움직임 벡터에 더함으로서 유도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7 7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된 L1 움직임 벡터는 상기 L1 초기 움직임 벡터와 소정의 탐색 범위 내에서 이동한 L1 움직임 벡터간의 차이를 상기 L1 초기 움직임 벡터에 더함으로서 유도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8 8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현재 블록의 L0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값 및 L1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값이 모두 음의 정수의 값(negative value)을 갖는 경우,상기 보정된 L0 움직임 벡터는, 상기 L1 초기 움직임 벡터와 소정의 탐색 범위내에서 이동한 L1 움직임 벡터간의 차이를 상기 L0 초기 움직임 벡터에 더한 값으로 유도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9 9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현재 블록의 L0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 및 L1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 중 어느 하나만이 음의 정수의 값(negative value)을 갖는 경우,상기 보정된 L0 움직임 벡터는 상기 L1 초기 움직임 벡터와 소정의 탐색 범위내에서 이동한 L1 움직임 벡터간의 차이를 미러링하여 상기 L0 초기 움직임 벡터에 더한 값으로 유도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0 10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현재 블록의 L0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 및 L1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이 서로 다른 경우,상기 보정된 L0 움직임 벡터는, 상기 L1 초기 움직임 벡터와 소정의 탐색 범위 내에서 이동한 L1 움직임 벡터간의 차이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초기 L0 움직임 벡터에 더함으로서 유도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1 11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현재 블록의 L0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 및 L1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이 서로 다른 경우,상기 보정된 L1 움직임 벡터는, 상기 L0 초기 움직임 벡터와 소정의 탐색 범위 내에서 이동한 L0 움직임 벡터간의 차이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초기 L1 움직임 벡터에 더함으로서 유도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2 12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예측 블록들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보정에 의해 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상기 예측 블록들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보정의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3 13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예측 블록들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보정은, 상기 현재 블록이 양방향 예측 머지 모드인 경우에만 수행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4 14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예측 블록들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보정은, 상기 현재 블록의 L0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 및 L1 참조 영상과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복호화 대상 영상 순서 카운터의 차이 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만 수행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5 15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예측 블록들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보정은, 상기 현재 블록의 세로 크기가 8 이상이고, 상기 현재 블록의 면적이 64 이상인 경우에만 수행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6 16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예측 블록은 상기 초기 움직임 벡터가 지시하는 픽셀 위치를 중심으로 한 소정의 탐색 범위 내에 위치하고,상기 탐색 범위는 상기 초기 움직임 벡터가 지시하는 픽셀 위치를 중심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2 ~ -2 정수 픽셀 단위로 설정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7 17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현재 블록의 가로 또는 세로가 16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은 16x16 크기의 부블록들로 분할되고, 상기 부블록들 별로 상기 예측 블록들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보정이 수행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8 18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된 L0 움직임 벡터는, 상기 L0 초기 움직임 벡터가 지시하는 L0 참조 픽쳐내의 픽셀 위치를 중심으로한 소정의 탐색 범위 내에서 이동한 움직임 벡터로부터 생성한 예측 블록과 상기 L1 초기 움직임 벡터가 지시하는 L1 참조 픽쳐내의 픽셀 위치를 중심으로한 소정의 탐색 범위 내에서 이동한 움직임 벡터로부터 생성한 예측 블록간의 왜곡값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9 19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왜곡값은,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SATD(Sum of Absolute Transformed Difference), SSE(Sum of Squared Error), MSE(Mean of Squared Error) 및 MR-SAD(Mean Removed SA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0 20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초기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상기 초기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보상과 관련된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1 21
비트스트림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초기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상기 초기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상기 보정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보상과 관련된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매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19022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19022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ETRI ETRI연구개발지원사업 초고실감 미디어 서비스 실현을 위해 HEVC/3DA 대비 2배 압축을 제공하는 5세대 비디오/오디오 표준 핵심 기술 개발 및 표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