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치아 위생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위생 진단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2017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치아 위생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위생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며, 타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액의 분비량이 측정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타액이 접촉되는 경우 치아우식의 정도를 표시하는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하고 간단하게 치아 위생을 진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치아우식이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Int. CL A61B 5/00 (2006.01.01) A61C 19/04 (2006.01.01) A61B 10/00 (2006.01.01)
CPC A61B 5/48(2013.01) A61B 5/48(2013.01) A61B 5/4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46513 (2018.04.23)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122956 (2019.10.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영신 서울특별시 강남구
2 고주원 경기도 양주시 삼숭로**번길 *
3 김용혁 대전광역시 서구
4 원재희 경기도 구리시
5 장회정 경상남도 진주시
6 최송이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길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에이스하이엔드타워*차 ***호(피앤케이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김갑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에이스하이엔드타워*차 ***호(피앤케이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4.23 수리 (Accepted) 1-1-2018-0399444-2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며, 타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액의 분비량이 측정되는 실린더부; 및상기 수용공간에 배치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타액이 접촉되는 경우 치아우식의 정도를 표시하는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치아 위생 진단장치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테스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타액을 상기 테스트부로 이동시키는 스포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위생 진단장치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실린더부는,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마감하되 상기 타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치아 위생 진단장치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본체부는,육안으로 상기 타액의 분비량이 측정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타액 분비량의 정상 기준치와 미달 기준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기준선이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위생 진단장치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테스트부는,귀에 삽입하여 거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타액이 접촉되는 경우 상기 타액의 산성도를 색상으로 표시하는 제1시험지와, 상기 타액이 접촉되는 경우 상기 타액 내에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세균의 존재 정도를 색상으로 표시하는 제2시험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제1시험지와 상기 제2시험지가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치아 위생 진단장치
6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덮개부는,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경우 외부에서 상기 제1시험지와 상기 제2시험지의 색상이 관찰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위생 진단장치
7 7
구강 내 타액을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하여 상기 타액 분비량을 진단하는 제1 진단단계;상기 스포이트부로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상기 타액을 일부 추출하여 덮개부에 배치된 제1시험지와 제2시험지에 떨어트리는 접촉단계;상기 제1시험지의 색상변화를 관찰하여 치아 산성도를 진단하는 제2 진단단계;상기 덮개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한 후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귀에 테스트부를 삽입하고 대기하는 대기단계;상기 제2시험지의 색상변화를 관찰하여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세균의 존재 정도를 진단하는 제3 진단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위생 진단장치를 이용한 치아 위생 진단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