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1902164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개시는 수화 방송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화 방송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방송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단위마다 캡쳐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 대한 차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단위에 대한 상기 차영상을 누적하여 수화 후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화 후보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분석하여, 수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 영상에 관련된 방송 편성 정보, 시그널링 정보, 모니터링 단위 대상, 또는 모니터링 세부 단위 대상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중 상기 수화 영역에 포함되는 영상을 사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의 수화 방송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4H 60/59 (2008.01.01) H04N 21/24 (2011.01.01) H04N 21/44 (2011.01.01)
CPC H04H 60/59(2013.01) H04H 60/59(2013.01) H04H 60/59(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57291 (2018.05.1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132074 (2019.11.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지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안충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서정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양승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장인선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병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 **층 (서초동, 재우빌딩)(마루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5.18 수리 (Accepted) 1-1-2018-0493090-4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수화 방송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방송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단위마다 캡쳐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확인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 대한 차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단위에 대한 상기 차영상을 누적하여 수화 후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상기 수화 후보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분석하여, 수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캡쳐 영상에 관련된 방송 편성 정보, 시그널링 정보, 모니터링 단위 대상, 또는 모니터링 세부 단위 대상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중 상기 수화 영역에 포함되는 영상을 사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의 수화 방송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화 후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 대한 차영상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와,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차영상으로부터 픽셀값의 차이가 적은 영역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와,상기 추출된 좌표를 누적하여 차영상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수화 후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차영상 히스토그램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수화 후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차영상 히스토그램에서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구비하는 영역을 상기 수화 후보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방송 사업자, 방송 프로그램, 방송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서 상기 수화 후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얼굴 영역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얼굴 영역이 존재하는 상기 수화 후보 영역을 상기 수화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서 상기 수화 후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진 수화 영역 패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미리 정해진 수화 영역 패턴에 부합되는 상기 수화 후보 영역을 상기 수화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방송 콘텐츠의 수화 방송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서 상기 수화 영역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수화 영역의 영상 정보로부터 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상기 손의 위치가 상기 수화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수화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제1영역에 손에 대응되는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미리 정해진 제1영역에 손에 대응되는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11 11
수화 방송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방송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단위마다 캡쳐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수신 및 저장하는 분석 관리부와,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 대한 차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단위에 대한 상기 차영상을 누적하여 수화 후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수화 후보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을 분석하여, 수화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캡쳐 영상에 관련된 방송 편성 정보, 시그널링 정보, 모니터링 단위 대상, 또는 모니터링 세부 단위 대상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 중 상기 수화 영역에 포함되는 영상을 사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의 수화 방송 품질을 결정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 대한 차영상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고,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차영상으로부터 픽셀값의 차이가 적은 영역의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를 누적하여 차영상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차영상 히스토그램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차영상 히스토그램에서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구비하는 영역을 상기 수화 후보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5 15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서 상기 수화 후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얼굴 영역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얼굴 영역이 존재하는 상기 수화 후보 영역을 상기 수화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6 16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서 상기 수화 후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진 수화 영역 패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수화 영역 패턴에 부합되는 상기 수화 후보 영역을 상기 수화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7 17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서 상기 수화 영역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수화 영역의 영상 정보로부터 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손의 위치가 상기 수화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분석부는,상기 수화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제1영역에 손에 대응되는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영역에 손에 대응되는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시간 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비수화 시간 또는 수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20 20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분석 관리부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쳐 영상에 대응되는 모니터링 단위 대상, 모니터링 세부 단위 대상, 방송 편성 정보(PSIP), 및 시그널링 정보(PSI)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신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ETRI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시청각장애인 방송접근권 향상을 위한 디지털자막 음성해설 서비스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