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19032927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GIP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키트, 및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C12Q 1/6883 (2018.01.01) G01N 33/68 (2006.01.01)
CPC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48477 (2018.04.26)
출원인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124469 (2019.11.0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구 달성군 현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은주 대구광역시 수성구
2 최은숙 대구광역시 북구
3 김정희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4 문제일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유한)아이시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인화빌딩 *층 (삼성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4.26 수리 (Accepted) 1-1-2018-0415751-17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18 수리 (Accepted) 4-1-2018-5260250-39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8 수리 (Accepted) 4-1-2020-5134633-04
4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0.07.21 수리 (Accepted) 1-1-2020-0756658-7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GIP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IP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 환자의 조직 또는 세포에서 정상인에 비해 발현 또는 활성이 감소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3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IP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 환자의 분비 시료에서 정상인에 비해 발현 또는 활성이 증가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4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비 시료는 콧물, 타액, 뇨, 객담, 및 림프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5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IP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제제는 GIP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6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IP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제제는 GIP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올리고펩티드,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키메릭(chimeric) 항체, 리간드, PNA (Peptide nucleic acid) 또는 앱타머 (aptamer)를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7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신경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형 아밀로이드증 및 봉입체 구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8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bca1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A (ABC1), member 1), Abcg1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G (WHITE), member 1), Camk2b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beta), Cldn22 (claudin 22), Cnn1 (calponin 1), Gna15 (guanine nucleotide binding protein (G protein), alpha 15), Gramd1b (GRAM Domain Containing 1B), Has2 (hyaluronan synthase 2), Hist1h2ao (Histone Cluster 1 H2A Family Member C), Lyz2 (lysozyme), Pllp (plasmolipin), Rcor2l1 (REST corepressor 2-like), Rtn2 (Reticulon 2), S100a9 (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9), Scd (stearoyl-Coenzyme A desaturase 2), 및 Tnnt3 (troponin T type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9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dra1a (adrenoceptor alpha 1A), Akr1b10 (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B10), Cyp1b1 (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B, polypeptide 1), Epm2a (epilepsy, progressive myoclonus type 2A), Fank1 (Fibronectin Type III And Ankyrin Repeat Domains 1), Fbxo44 (F-Box Protein 44), Lat2 (linker for activation of T cells family, member 2), Odf3 (Outer Dense Fiber Of Sperm Tails 3), Pcbd1 (pterin-4 alpha-carbinolamine dehydratase/dimerization cofactor of hepatocyte nuclear factor 1 alpha), Sv2b (synaptic vesicle glycoprotein 2B), Tmem116 (Transmembrane Protein 116), 및 Txk (TXK tyrosine kin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조성물
1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키트
11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 DNA 키트, 및 단백질 칩 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키트
12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신경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형 아밀로이드증 및 봉입체 구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 진단용 키트
13 13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GIP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개체의 조직 또는 세포에서 측정된 GIP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경우,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5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개체의 분비 시료에서 상기 측정된 GIP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경우,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6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비 시료는 콧물, 타액, 뇨, 객담, 및 림프액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7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T-PCR),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 (Northern blotting), DNA 칩, 웨스턴 블랏,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 (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 (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 (Ouchterlony) 면역확산법, 로케트 (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 (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및 단백질 칩 (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8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Abca1, Abcg1, Camk2b, Cldn22, Cnn1, Gna15, Gramd1b, Has2, Hist1h2ao, Lyz2, Pllp, Rcor2l1, Rtn2, S100a9, Scd, 및 Tnnt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9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Adra1a, Akr1b10, Cyp1b1, Epm2a, Fank1, Fbxo44, Lat2, Odf3, Pcbd1, Sv2b, Tmem116, 및 Tx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20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신경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형 아밀로이드증 및 봉입체 구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경세포 노화 재생 기전 연구 신경세포 노화 재생 기전 연구
2 미래창조과학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동반진단기반 정밀의료기술연구 동반진단기반 정밀의료기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