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건설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 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는 건물 기둥 부재들의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3373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기둥 부재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은 기둥구조 형식별로 설계변수들, 후보값들 및 후보값 인덱스들을 저장하는 후보값 데이터베이스, 설계변수들의 후보값 인덱스들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유전자 비트열들을 유전자 선택, 교배, 돌연변이 및 대체 연산함으로써 매 세대마다 유전자 비트열들을 생성하는 유전자 알고리즘 처리부, 매 세대의 유전자 비트열들에 관하여 주어진 소요하중과 설계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약조건들의 만족 여부와 위반율을 산출하는 위반율 산출부, 매 세대의 유전자 비트열들에 관하여 건설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목적함수의 산출 값들과 위반율 값들을 기초로 적합도 값들을 산출하는 적합도 산출부 및 기둥구조 형식별로 가장 높은 적합도 값을 가지는 유전자 비트열에 상응하는 기둥 부재 설계안을 해당 기둥구조 형식에 관한 최적 단면의 기둥 부재 설계안으로 선택하는 최적 부재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G06F 17/50 (2006.01.01) G06N 3/12 (2006.01.01) G06Q 50/08 (2012.01.01) G06F 17/10 (2006.01.01)
CPC G06F 30/13(2013.01) G06F 30/13(2013.01) G06F 30/13(2013.01) G06F 30/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189289 (2015.12.30)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641471-0000 (2016.07.14)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6072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5.12.30)
심사청구항수 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효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오병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3 박준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북구
4 윤다요 대한민국 서울시 영등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인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길 **, 매강빌딩*층 에이치앤에이치 H&H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서초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12.30 수리 (Accepted) 1-1-2015-1286392-45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6.01.12 수리 (Accepted) 1-1-2016-0031405-59
3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6.01.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6-0005397-10
4 [출원서등 보정]보정서(납부자번호)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Payer number)
2016.01.14 수리 (Accepted) 1-1-2016-0035936-74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02.0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02.19 수리 (Accepted) 9-1-2016-0009693-73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6.02.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150351-31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6.04.26 수리 (Accepted) 1-1-2016-0400284-76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6.04.2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6-0400293-87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6.07.0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484297-5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둥구조 형식별로 설계변수들, 후보값들 및 후보값 인덱스들을 저장하는 후보값 데이터베이스;소정의 종료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상기 설계변수들의 후보값 인덱스들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유전자 비트열들을 유전자 선택, 교배, 돌연변이 및 대체 연산함으로써 매 세대마다 유전자 비트열들을 생성하고, 상기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비트열을 도출하는 유전자 알고리즘 처리부;매 세대의 유전자 비트열들에 관하여, 주어진 소요하중과 설계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약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약조건들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 위반율을 산출하는 제약조건 위반율 산출부;매 세대의 유전자 비트열들에 관하여 건설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목적함수의 산출 값들과 상기 위반율 값들을 기초로 적합도 값들을 산출하는 적합도 산출부; 및기둥구조 형식별로 상기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비트열들 중에 가장 높은 적합도 값을 가지는 유전자 비트열에 상응하는 기둥 부재의 설계안을 해당 기둥구조 형식에 관한 최적 단면의 기둥 부재 설계안으로 선택하는 최적 부재 선택부를 포함하되,상기 기둥구조 형식은 철근콘크리트 기둥, 매입형 합성기둥 및 충전형 합성기둥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약조건들은 주어진 소요하중보다 설계강도가 크거나 같아야 하는 제약조건과 규정에 따른 제약조건인 것이고,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건설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목적함수(ftotal)는 재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및 시공 단계의 콘크리트 기여분의 온실가스 배출량(f1)과 재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및 시공 단계의 철근 기여분의 온실가스 배출량(f2)을 합산한 다음 수학식ftotal = f1 + f2f1=h(AcρcCc) + 2(hAc/Cmx)×(TD/SM)×DCmx×EFf + (hAc/Cpm)×DCpm×EFf f2=h(ArρrCr) + 2(hAr/Cdm)×(TD/SM)×DCdm×EFf + (h(2b+2d)/Aeu)×EFeu 에 의해 주어지고, 여기서 h는 기둥 부재의 길이, Ac는 콘크리트 단면적, ρc는 콘크리트 밀도, Cc는 단위 부피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데에 발생한 온실가스량, Cmx는 믹서 장비의 용량, TD는 재료생산지와 시공현장 사이의 거리, SM은 운송 장비의 평균이동속도, DCmx는 믹서 장비의 연료 소모량, EFf는 단위 부피의 연료를 소모할 때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 Cpm은 펌프 장비의 용량, DCpm은 펌프 장비의 연료 소모량, Ar은 철근 단면적, ρr은 철근 밀도, Cr은 단위 질량의 철근을 생산하는 데에 발생한 온실가스량, Cdm는 덤프 장비의 적재 중량, DCdm는 덤프 장비의 연료 소모량, b는 단면 폭, d는 유효 높이, Aeu는 유로폼 단면적, EFeu는 단위 부피의 유로폼 생산 시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부재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
2 2
삭제
3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설계변수들은 너비, 높이, 압축강도, 철근항복강도, 철근단면적 및 철근개수이고, 매입형 합성기둥의 설계변수들은 너비, 높이, 철근항복강도, 철근단면적, 철근개수, H형강 단면적 및 H형강 항복강도이며, 충전형 합성기둥의 설계변수들은 직경, 압축강도, 단면적 및 항복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부재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
4 4
삭제
5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입형 합성기둥의 건설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목적함수(ftotal)는 재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및 시공 단계의 콘크리트 기여분의 온실가스 배출량(f1), 재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및 시공 단계의 H형강 기여분의 온실가스 배출량(f2) 및 재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및 시공 단계의 철근 기여분의 온실가스 배출량(f3)을 합산한 다음 수학식ftotal = f1 + f2 + f3f1=h(AcρcCc) + 2(hAc/Cmx)×(TD/SM)×DCmx×EFf + (hAc/Cpm)×DCpm×EFf f2=h(AsρsCs) + 2(hAsρs/Cdm)×(TD/SM)×DCdm×EFf + (hAsρs/Ctw)×ECtw×EFe f3=h(ArρrCr) + 2(hArρr/Cdm)×(TD/SM)×DCdm×EFf + (h(2b+2d)/Aeu)×EFeu 에 의해 주어지고, 여기서 h는 기둥 부재의 길이, Ac는 콘크리트 단면적, ρc는 콘크리트 밀도, Cc는 단위 부피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데에 발생한 온실가스량, Cmx는 믹서 장비의 용량, TD는 재료생산지와 시공현장 사이의 거리, SM은 운송 장비의 평균이동속도, DCmx는 믹서 장비의 연료 소모량, EFf는 단위 부피의 연료를 소모할 때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 Cpm은 펌프 장비의 용량, DCpm은 펌프 장비의 연료 소모량, As은 H형강 단면적, ρs은 H형강 밀도, Cs은 단위 질량의 H형강을 생산하는 데에 발생한 온실가스량, Cdm는 덤프 장비의 적재 중량, DCdm는 덤프 장비의 연료 소모량, Ctw은 타워크레인 장비의 적재중량, ECtw은 타워크레인 장비의 전력 소모량, EFe는 전력 단위를 소모할 때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 b는 단면 폭, d는 유효 높이, Aeu는 유로폼 단면적, EFeu는 단위 부피의 유로폼 생산 시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 Ar은 철근 단면적, ρr은 철근 밀도, Cr은 단위 질량의 철근을 생산하는 데에 발생한 온실가스량, b는 철근의 단면 폭, d는 철근의 유효 높이, Aeu는 유로폼 단면적, EFeu는 단위 부피의 유로폼 생산 시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부재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
6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형 합성기둥의 건설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목적함수(ftotal)는 재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및 시공 단계의 콘크리트 기여분의 온실가스 배출량(f1) 및 재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및 시공 단계의 형강 튜브 기여분의 온실가스 배출량(f2)을 합산한 다음 수학식ftotal = f1 + f2f1=h(AcρcCc) + 2(hAc/Cmx)×(TD/SM)×DCmx×EFf + (hAc/Cpm)×DCpm×EFf f2=h(AtρtCt) + 2(hAtρt/Cdm)×(TD/SM)×DCdm×EFf + (hAtρt/Ctw)×ECtw×EFe 에 의해 주어지고, 여기서 h는 기둥 부재의 길이, Ac는 콘크리트 단면적, ρc는 콘크리트 밀도, Cc는 단위 부피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데에 발생한 온실가스량, Cmx는 믹서 장비의 용량, TD는 재료생산지와 시공현장 사이의 거리, SM은 운송 장비의 평균이동속도, DCmx는 믹서 장비의 연료 소모량, EFf는 단위 부피의 연료를 소모할 때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 Cpm은 펌프 장비의 용량, DCpm은 펌프 장비의 연료 소모량, At은 형강 튜브의 단면적, ρt은 형강 튜브의 밀도, Ct은 단위 질량의 형강 튜브를 생산하는 데에 발생한 온실가스량, Cdm는 덤프 장비의 적재 중량, DCdm는 덤프 장비의 연료 소모량, Ctw은 타워크레인 장비의 적재중량, ECtw은 타워크레인 장비의 전력 소모량, EFe는 전력 단위를 소모할 때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부재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
7 7
삭제
8 8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연세대학교 리더자연구지원사업 유전학적 건축구조 자가진단 및 노화방지 기술(2011.04.15.~2020.02.29.)(2단계 2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