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광을 이용하여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존재 가능성을 관찰 또는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테리아의 제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3388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a) 335nm 내지 425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light of excitation)을 박테리아 존재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조사하는 단계; (b) 상기 여기광에 의해 조사된 영역의 방출파장을 스캔하여 박테리아의 자가 형광 스펙트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자가 형광 스펙트럼이 400nm 내지 700nm 범위의 방출파장을 나타내는 경우,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존재 가능성이 있음을 관찰 또는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존재 가능성을 관찰 또는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을 이용한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제거 방법으로서, 박테리아의 존재 가능성을 관찰 및 결정하는 단계; 박테리아 존재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광 민감제를 처리하는 단계; 및 광 민감제가 처리된 영역에 400nm 내지 500nm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 박테리아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G01N 21/64 (2006.01.01) C12Q 1/04 (2017.01.01) A61B 5/00 (2006.01.01)
CPC G01N 21/6404(2013.01) G01N 21/6404(2013.01) G01N 21/6404(2013.01) G01N 21/64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04415 (2016.08.17)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804696-0000 (2017.11.28)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7120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8.17)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백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2 강시묵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정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 ***층(논현동,썬라이더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8.17 수리 (Accepted) 1-1-2016-0798284-4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1.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3.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7-0039640-18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3.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192252-27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4.2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402960-14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4.25 수리 (Accepted) 1-1-2017-0402959-67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7.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485990-98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9.0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871387-28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9.07 수리 (Accepted) 1-1-2017-0871386-83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1.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20088-44
11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8.03.01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8-0211545-89
12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18.03.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35112-32
13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18.04.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54656-4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335nm 내지 425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light of excitation)을 박테리아 존재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조사하는 단계;(b) 상기 여기광에 의해 조사된 영역의 방출파장(emission wavelength)을 스캔하여 박테리아의 자가 형광 스펙트럼을 얻는 단계; (c) 상기 자가 형광 스펙트럼이 460nm 내지 545nm 범위의 방출파장을 나타내는 경우,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존재 가능성이 있음을 관찰 또는 결정하는 단계;(d) 상기 박테리아의 존재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광 민감제를 처리하는 단계; 및(e) 상기 광 민감제가 처리된 영역에 400nm 내지 500nm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을 이용하여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를 진단 및 제거하는 방법으로서,상기 (c) 단계는 335nm 내지 355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을 조사하여, 460nm 내지 480nm의 최대방출파장을 나타내는 자가 형광 스펙트럼을 얻을 경우, 상기 박테리아는 충치균, 악티노마이세스이스라엘리, 엔테로코커스패시움, 및 베일로넬라파르불라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관찰 또는 결정하며,355nm 내지 385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을 조사하여, 500nm 내지 520nm의 최대방출파장을 나타내는 자가 형광 스펙트럼을 얻을 경우, 상기 박테리아는 푸소박테리움뉴클레아툼 및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관찰 또는 결정하며,385nm 내지 425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여기광을 조사하여, 525nm 내지 545nm의 최대방출파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박테리아는 포피로모나스진지발라스인 것으로 관찰 또는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강질환은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및 방선균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는 충치균(strepcococcus mutan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라스(porphyromonas gingivalis), 베일로넬라 파르불라균(veillonella Parvula), 및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actinomyces israeli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방법
4 4
삭제
5 5
삭제
6 6
삭제
7 7
제 1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형광분광기를 이용하여 박테리아의 자가 형광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
8 8
삭제
9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민감제는 커큐민(curcumin), 프로토포르피린 9(protoporphyrin IX), 레사주린(resazurin) 및 리보플라빈(riboflavi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방법
1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민감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광 민감제 함유 스프레이형, 패치형 또는 주사제를 이용하는, 방법
11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 존재 가능성이 있는 영역은 구강 내부인, 방법
12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가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충치균 및 베일로넬라 파르불라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경우, 커큐민 및 프로토포르피린 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 민감제를 사용하는, 방법
13 1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가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 및 베일로넬라 파르불라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경우, 커큐민, 프로토포르피린 9 및 레사주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민감제를 사용하는, 방법
14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가 베일로넬라 파르불라균일 경우, 리보플라빈을 광 민감제로 사용하는, 방법
15 15
삭제
16 16
삭제
17 17
삭제
18 18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내연구지원 [미래선도-국제/2014-2차년] 구강 미생물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병원성 탐지 기술 개발
2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내연구지원 [미래선도-국제] 구강 미생물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병원성 탐지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