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비아칸젤리신을 포함하는 폐 또는 뇌의 생체분포도 증진을 위한 약제학적 제형

  • 기술번호 : KST202000177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비아칸젤리신을 포함하는 폐 또는 뇌의 생체분포도 증진을 위한 약제학적 제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폐 질환 또는 뇌 질환 치료용 약물 및 비아칸젤리신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의 생체분포도 증진 효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큐민, 움벨리페론 또는 독소루비신과 같은 활성 성분 및 비아칸젤리신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의 경우 다른 장기에는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생체분포도가 폐 및 뇌에 집중되는 효과를 확인하고, 활성 성분의 분포를 형광이미징의 방법으로 직적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생체 시료의 전처리 과정이나 추출 과정 중에서 활성물질의 변성 및 농도 변화 등의 문제점 없이 활성 성분을 분석할 수 있어, in vivo 상에서의 활성물질의 생체분포 증진 효과를 쉽고 빠르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A61K 31/37 (2006.01.01) A61K 45/06 (2006.01.01) A61P 11/00 (2006.01.01) A61P 25/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13048 (2020.02.04)
출원인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15672 (2020.02.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8-0089756 (2018.08.01)
관련 출원번호 1020180089756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2.04)
심사청구항수 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목혜정 서울특별시 광진구
2 임융호 서울특별시 관악구
3 강윤영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4 송지현 서울특별시 광진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2.04 수리 (Accepted) 1-1-2020-0115695-47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3.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173423-31
3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20.04.17 수리 (Accepted) 1-1-2020-0395527-85
4 [출원서 등 보완]보정서
2020.04.17 수리 (Accepted) 1-1-2020-0395528-20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4.1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395525-94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04.17 수리 (Accepted) 1-1-2020-0395526-39
7 최후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2020.10.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684365-22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0.26 수리 (Accepted) 1-1-2020-1131201-16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10.26 수리 (Accepted) 1-1-2020-1131202-6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뇌 질환 치료용 약물; 및비아칸젤리신(Byakangelicin);을 포함하는 뇌의 생체분포도 증진을 위한 약제학적 제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뇌 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뇌졸중(stroke) 및 허혈장애(ischemia), 야콥-크루츠펠트병(Jacob-Creutzfeldt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니만-픽병(nieman-pick disease), 뇌전증(Epilepsy), 우울증(Depressive Disorder),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및 뇌종양(brain tumo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약제학적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뇌 질환 치료용 약물은 화합물 약물 (chemical drug), 천연물 약물 (natural product), 바이오 약물 (biodrug), 핵산 약물 (nucleic acid drug), 펩타이드 약물 (peptide drug), 단백질 약물 (protein drug), 반합성 약물 (semi-synthetic drug), 지질 약물 (lipid drug), 효소 (enzyme), 조절 인자 (regulatory factor), 호르몬 (hormone), 성장인자 (growth factor), 조영제 (contrast agent) 및 항체 (antibod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뇌 질환 치료용 약물은 화합물 약물 (chemical drug) 또는 천연물 약물 (natural produ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천연물 약물은 식물유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166099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축산식품부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약용작물의 생체이미징 기반 생체내 분포도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