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 및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및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사균체 혼합 항원을 포함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0004339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돼지의 부종병 원인 중 하나인 Stx2e 독소 중에서 Stx2eA-C-말단 단편-Stx2eB 오량체 재조합 단백질을 과발현 시키기 위해 Stx2eA-C-말단 단편 유전자 및 Stx2eB 유전자를 각각 pTWIN1 및 pET30a에 각각 클로닝 한 후 이들 벡터를 E. coli BL21(DE3)pLysS를 형질 전환시켰다. Stx2eB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량체 Stx2eB가 5개가 모이면 펜타곤 구조를 이루면서 Stx2eB 오량체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오량체 Stx2eB 및 Stx2eA-C-말단 단편이 결합하여 안정적인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이 제조된다. 또한 GI24,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Chlorhexidine digluconate 또는 Chlorhexidine digluconate solution) 또는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Chlorhexidine acetate 또는 Chlorhexidine diacetate 또는 Chlorhexidine diacetate salt hydrate) 등으로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Stx2e만을 또는 Stx2e를 동시에 발현하는 F4 발현 대장균도 포함된다) 또는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Stx2e만을 또는 Stx2e를 동시에 발현하는 F18 발현 대장균도 포함된다) 배양액에 첨가하여 이들 장관독소형 대장균을 신개념 사균체로 제조한다, 이렇게 과발현된 Stx2eA-C-말단 단편-Stx2eB 오량체 재조합 단백질; 클로르헥시딘을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Stx2e만을 또는 Stx2e를 동시에 발현하는 F4 발현 대장균도 포함된다) 또는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Stx2e만을 또는 Stx2e를 동시에 발현하는 F18 발현 대장균도 포함된다)에 처리한 사균체 백신; 및 IMS 1313 adjuvant를 혼합하여 항원으로써 부종병 및 이유 자돈 설사병 예방백신으로 자돈이 5일령,4주령일 때 각각 근육으로 다양한 농도로 접종하였다. 접종 후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이 50ug 및 75ug 및 100ug을 접종한 그룹의 자돈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항체 역가가 관찰되었으며, 50ug을 접종한 그룹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20%의 폐사률이 관찰되었다, 더욱이 75ug 및 100ug을 접종한 그룹에서는 부종병 또는 이유자돈 설사병의 임상 증상 및 폐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Stx2eB만을 IMS 1313 adjuvant와 혼합하여 접종한 그룹에서는 접종한 그룹의 80%가 폐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재조합 Stx2eA-C-말단 단편과 Stx2eB 오량체 단백질; 및 클로르헥시딘을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또는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과 반응시킨 사균체 항원은 돼지 부종병 및 이유 자돈 설사병 등 병원성 대장균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톡소이드 사균체 혼합 백신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39/108 (2006.01.01) A61K 39/385 (2006.01.01) A61K 39/39 (2006.01.01) A61P 31/04 (2006.01.01) A23K 10/16 (2017.01.01) A23K 20/147 (2016.01.01) A61K 39/00 (2006.01.01)
CPC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A61K 39/025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36134 (2019.10.30)
출원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미팜
등록번호/일자 10-2103013-0000 (2020.04.14)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0042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30)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2 주식회사 코미팜 대한민국 경기도 시흥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허진 전라북도 익산시 고봉로
2 박정희 전라북도 익산시 고봉로
3 김원일 전라북도 익산시 고봉로
4 문성철 경기도 시흥시 경
5 정호경 경기도 시흥시 경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2 주식회사 코미팜 경기도 시흥시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30 수리 (Accepted) 1-1-2019-1109535-75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12.09 수리 (Accepted) 1-1-2019-1270863-78
3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12.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1.06 수리 (Accepted) 9-1-2020-0000522-58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4.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262862-26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심사관 직권보정)
2020.04.1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5009748-0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6 수리 (Accepted) 4-1-2020-5149086-7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Stx2eA의 C-말단 단편 단량체(monomer)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Stx2eB-오량체로 이루어진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 및Fimbriae 4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및 Fimbriae 18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이며, 미생물 기탁번호 KCTC13847BP(미생물 명칭: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F4, F18)으로 기탁된 장관독소형 대장균의 혼합 균주와 GI24,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Chlorhexidine digluconate), 클로르헥시딘 디클루네이트 수용액 (Chlorhexidine digluconate solution),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Chlorhexidine acetate)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염 수화물 (Chlorhexidine diacetate salt hyd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반응시킨 사균체;를 포함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수산화 알루미늄, GEL 01, GEL 02, IMS 1313 (VG), IMS 1313 (VG N), ISA 15A (VG), ISA 28R (VG), ISA 35 (VG), ISA 201 (VG), ISA 206 (VG), ISA 660 (VG), 기름속 수형 에멀젼(물-in-oil emulsion), 불완전 프로인트항원보조제(불완전한 Freund’adjuvant), 백반(alum),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Toll-like 수용체 작용제(Toll-like receptor agonist), 면역자극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Immunostimulatory oligonucleotide) 및 생물학적 보조제(biological adjuva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adjuvant)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의 농도 10ug 내지 1,000ug인,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균체는 각각 1 ×108 cells/ml 내지 1 ×1011 cells/ml으로 동량 혼합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자돈 또는 모돈에 접종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은 돼지의 부종병, 신생자돈 설사병, 조발성 설사병, 3주령 설사병, 백리, 포유자돈 설사병, 또는 이유자돈 설사병인,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7 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Stx2eA의 C-말단 단편 단량체(monomer)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Stx2eB-오량체로 이루어진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 및Fimbriae 4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및 Fimbriae 18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이며, 미생물 기탁번호 KCTC13847BP(미생물 명칭: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F4, F18)으로 기탁된 장관독소형 대장균의 혼합 균주와 GI24,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Chlorhexidine digluconate), 클로르헥시딘 디클루네이트 수용액 (Chlorhexidine digluconate solution),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Chlorhexidine acetate)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염 수화물 (Chlorhexidine diacetate salt hydr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반응시킨 사균체;를 포함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 예방용 사료 첨가제
8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은 돼지의 부종병, 신생자돈 설사병, 조발성 설사병, 3주령 설사병, 백리, 포유자돈 설사병, 또는 이유자돈 설사병인,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 예방용 사료 첨가제
9 9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Stx2eA의 C-말단 단편 단량체(monomer)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Stx2eB-오량체로 이루어진 Stx2eA-C-말단 단편-Stx2eB-오량체 재조합 단백질; 및 Fimbriae 4 (F4)를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 및 Fimbriae 18 (F18)을 발현하는 장관독소형 대장균이며, 미생물 기탁번호 KCTC13847BP(미생물 명칭: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F4, F18)으로 기탁된 장관독소형 대장균의 혼합 균주와 GI24,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Chlorhexidine digluconate), 클로르헥시딘 디클루네이트 수용액 (Chlorhexidine digluconate solution),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Chlorhexidine acetate)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염 수화물 (Chlorhexidine diacetate salt hydr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반응시킨 사균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모돈 또는 자돈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에 대한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은 돼지의 부종병, 신생자돈 설사병, 조발성 설사병, 3주령 설사병, 백리, 포유자돈 설사병, 또는 이유자돈 설사병인, 돼지의 병원성 대장균증에 대한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축산식품부 전북대학교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 돼지에서 독소 산생 병원성 세균에 의한 급사 관련 질병 예방 백신 개발 및 사업화
2 농촌진흥청 전북대학교 동물분자유전육종사업단 이유 후 자돈 대장균성 질병 누에백신의 효능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