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수면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학습 및 기억 장애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0006327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UDP-GlcNAc, OGT(O-linked GlcNAc transferase) 및 O-GlcNAc화 기질을 포함하는 반응액에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질의 O-GlcNAc화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기질의 O-GlcNAc화를 유의하게 증가시킨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학습 및 기억 장애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nt. CL G01N 33/68 (2006.01.01)
CPC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50549 (2018.11.29)
출원인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64430 (2020.06.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11.29)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인옥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이윤경 인천광역시 남동구
3 박지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윤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삼성동) 명지빌딩, *층(선정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1.29 수리 (Accepted) 1-1-2018-1193929-18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11.30 수리 (Accepted) 1-1-2018-1199131-31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11.30 수리 (Accepted) 1-1-2018-1199178-76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47-91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05.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07.09 수리 (Accepted) 9-1-2019-0031003-76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11.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805891-63
8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20.01.06 수리 (Accepted) 1-1-2020-0012097-16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1.1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039009-96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20.01.14 수리 (Accepted) 1-1-2020-0039008-40
11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20.01.14 수리 (Accepted) 1-1-2020-0039006-59
1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5.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345911-4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UDP-GlcNAc, OGT(O-linked GlcNAc transferase) 및 O-GlcNAc화 기질을 포함하는 반응액에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질의 O-GlcNAc화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기질의 O-GlcNAc화를 유의하게 증가시킨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학습 및 기억 장애 치료제 후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O-GlcNAc화 기질의 O-GlcNAc화 정도는 항-GlcNAc 항체를 이용한 면역학적 분석방법 또는 질량분석법에 의해 측정되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GlcNAc화 기질은 OGT에 의해 O-GlcNAc가 부가되는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에서 O-GlcNAc화가 일어나는 부위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인,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단백질은 CaMKII, PLN(phospholamban), STIM1(stromal interaction molecule 1), Complex I/III/IV, DRP1(dynamin-1-like protein), VDAC(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FXR(farnesyl X receptor), BMAL1(brain and muscle ARNT-like 1), CLOCK(circadian locomotor output cycles kaput), CRTC2(CREB regulated transcription coactivator 2), FOXO1(forkhead box protein O1),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IRS1(insulin receptor substrate 1), AKT(protein kinase B), ChREBP(carbohydrate-responsive element-binding protein), NFATc1(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cytoplsmic 1),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TAK1(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kinase 7), C/EBP-β(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R-β(insulin receptor beta), Sp1(Sp1 transcription factor),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MEF2D(monocyte-specific enhancer factor 2D), CREB(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Milton, α-synuclein, tau, KCNQ3(potassium voltage-gated channel subfamily Q member 3), GluA2(glutamate transport ATP-bidning protein), periaxin(PRX), c-Myc, FOXM1(forkhead box protein M1), G6PD(glucose-6-phosphate dehyrogenase), PFK1m(phophofructokinase-1), TET1(Tet methylcytosine dioxygenase), OCT4(octamer-binding transcription factor 4), SOX2(sex determining region Y-Box 2), BCKD(Branched chain ketoacid dehydrogenase), GYS2(glycogen synthase 2), KCNB1(potassium voltage-gated channel subfamily B), KPB1(Phosphorylase b kinase regulatory subunit), MYBB(Myb-like protein B), MYPC3(Myosin Binding Protein C), KIF2C(Kinesin Family Member 2C), RBL-2(RB Transcriptional Corepressor Like 2), DHX30(DExH-Box Helicase 30), NCOA2(Nuclear Receptor Coactivator 2), NCOA3(Nuclear Receptor Coactivator 3), NCOA6(Nuclear Receptor Coactivator 6), NRIP1(Nuclear Receptor Interacting Protein 1), MED1(Mediator Complex Subunit 1), NR0B2(Nuclear Receptor Subfamily 0 Group B Member 2), BRD8(Bromodomain Containing 8), NRIP1(Nuclear Receptor Interacting Protein 1), PRGR(progesterone receptor), LCOR(Ligand-dependent corepressor), WIPI1(WD repeat domain phosphoinositide-interacting protein 1), RRP1B(Ribosomal RNA Processing 1B), CDKN2AIP(CDKN2A Interacting Protein), VIM(Vimentins), TPR(Translocated Promoter Region), SPTBN1(Spectrin Beta, Non-Erythrocytic 1), RANBP2(RAN Binding Protein 2), HIST1H3A(Histone Cluster 1 H3 Family Member A), KRT8(keratin-8), NUMA1(Nuclear Mitotic Apparatus Protein 1), PHB(PHB), EMSY(BRCA2 Interacting Transcriptional Repressor), CRTC2(CREB Regulated Transcription Coactivator 2), NUP214(Nucleoporin 214), CAMK4(Calcium/Calmodulin Dependent Protein Kinase IV), BPTF(Bromodomain PHD Finger Transcription Factor), HCFC1(VP16-accessory protein HCF), KRT18(Keratin 18), POM121(POM121 Transmembrane Nucleoporin), RBM14(RNA Binding Motif Protein 14), ATXN2L(Ataxin 2 Like), SNCA(alpha-synuclein), IKBKB(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Kinase Subunit Beta), Esr1( Estrogen Receptor 1), Sptbn1(Spectrin Beta, Non-Erythrocytic 1), Ablim1(Actin Binding LIM Protein 1), Skt(KIAA1217), Nos3(Nitric Oxide Synthase 3), Lbr(Lamin B Receptor), Mapt(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tau), Prkcb(Protein Kinase C Beta), Prkcd(Protein Kinase C Delta), Prkce(Protein Kinase C Epsilon), Prkcg(Protein Kinase C Gamma),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또는 WIPI1(WD repeat domain phosphoinositide-interacting protein 1)인, 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펩타이드는 BCKD_45_27(ERSKTVTSFYNQS, 서열번호 65), GYS2_1_13(MLRGRSLSVTSLG, 서열번호 66), KCNB1_489_501(KWTKRTLSETSSS, 서열번호 67), KPB1_1011_1023(QVEFRRLSISAES, 서열번호 68), MYBB_513_525(DNTPHTPTPFKNA, 서열번호 69), MYPC3_266_280(LSAFRRTSLAGGG, 서열번호 70), KIF2C_105_118_S106G(EGLRSRSTRMSTVS, 서열번호 71), RBL-2_410_422(KENSPCVTPVSTA, 서열번호 72), RBL-2_655_667(GLGRSITSPTTLY, 서열번호 73), DHX30_241_262(QFPLPKNLLAKVIQIATSSSTA, 서열번호 74), NCOA2_866_888(SQSTFNNPRPGQLGRLLPNQNLP, 서열번호 75), NCOA3_MOUSE_1029_1051(HGSQNRPLLRNSLDDLLGPPSNA, 서열번호 76), NCOA6_1479_1501(LVSPAMREAPTSLSQLLDNSGAR, 서열번호 77), NRIP1_121_143_P124R(DSVRKGKQDSTLLASLLQSFSSR, 서열번호 78), MED1_591_614(HGEDFSKVSQNPILTSLLQITGNG, 서열번호 79), NR0B2_9_31_C9S/C11S(SPSQGAASRPAILYALLSSSLKA, 서열번호 80), BRD8_254_276(TVAASPAASGAPTLSRLLEAGPT, 서열번호 81), NRIP1_8_30(GSDVHQDSIVLTYLEGLLMHQAA, 서열번호 82), NRIP1_253_275_C263S(PATSPKPSVASSQLALLLSSEAH, 서열번호 83), PRGR_42_64_C64S(SDTLPEVSAIPISLDGLLFPRPS, 서열번호 84), LCOR_40_62(TTSPTAATTQNPVLSKLLMADQD, 서열번호 85) 또는 WIPI1_313_335_C318S(GQRNISTLSTIQKLPRLLVASSS, 서열번호 86)인, 방법
6 6
실험동물에 대하여 수면박탈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수면박탈이 되기 전, 동시에 또는 후에 실험동물에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및상기 실험동물의 뇌에서의 OGT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킨 피검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학습 및 기억 장애 치료제 후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실험동물은 마우스, 랫트, 개, 돼지, 기니피크, 햄스터, 또는 제브라피쉬인,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뇌는 종뇌(telencephalon)인, 방법
9 9
삭제
10 10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 헥소오스아민 생합성경로 (HBP)를 타겟으로하는 염증성 대사질환 조절 및 제어기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