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0642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2차원 상에, 복수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열된 한 쌍의 마이크 어레이; 각 마이크 어레이에 연결되고,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 사이의 방향을 구하고, 이 방향에 따라 3차원 벡터를 구하는 한 쌍의 DSBF 컨트롤러; 및 한 쌍의 DSBF 컨트롤러를 통해 구해진 두 개의 3차원 벡터를 기반으로 두 3차원 벡터간 가장 가까운 위치를 3차원 음원 위치로 결정하는 음원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Int. CL H04R 3/00 (2006.01.01) H04R 1/40 (2006.01.01)
CPC H04R 3/005(2013.01) H04R 3/00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53582 (2018.12.0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66891 (2020.06.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상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명규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우석 대전광역시 서구
4 김종성 대전광역시 서구
5 백성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6 홍성진 인천광역시 연수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차우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2.03 수리 (Accepted) 1-1-2018-1207985-3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2차원 상에, 복수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열된 한 쌍의 마이크 어레이; 상기 각 마이크 어레이에 연결되고,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 사이의 방향을 구하고, 이 방향에 따라 3차원 벡터를 구하는 한 쌍의 DSBF 컨트롤러; 및 상기 한 쌍의 DSBF 컨트롤러를 통해 구해진 두 개의 3차원 벡터를 기반으로 두 3차원 벡터간 가장 가까운 위치를 3차원 음원 위치로 결정하는 음원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또는 의 Free-field calibration of MEMS microphone array used for acoustic holography 기법을 통해 보정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3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SBF 컨트롤러는, 마이크 어레이로부터 모든 음원 신호를 입력받아 동시에 제공하는 음원 입력기; 모든 마이크로폰과 후보 각도 사이의 지연 정보를 계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및 모든 마이크로폰에 병렬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음원과 마이크로폰 간의 조종 각도를 추정하는 비파라메트릭 처리부;를 포함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SBF 컨트롤러는, 음원이 생성되고 데시벨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피드 포워드 신경망(MFCC-FFNN)을 기반으로 올바른 대상 사운드로 분류하는 사운드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올바른 대상 사운드(유효 사운드)가 분류되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모든 마이크로폰과 후보 각도 사이의 지연 정보를 계산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5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라메트릭 처리부는, 평면파형 모델에 의해 원과 2차원 상에 배치된 마이크 어레이 사이의 각도를 추정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6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라메트릭 처리부는, 인접한 마이크 사이의 거리, 단일 축에 대한 마이크의 개수 및 소리 파장의 길이를 통해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와의 거리를 정의한 후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라고 가정하고, 3차원 공간에서의 음원의 위치, 소리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마이크들을 통과할 때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임의의 시간에 각 마이크에서 측정된 음원을 추정한 후 시간과 후보 각도에 대한 평면파 모델 기반의 빔포밍을 출력하고 모든 실제 음원과 모든 마이크 사이의 조향각들 중 가장 큰 조향각을 산출하며, 추정된 조향각을 이용하여 마이크와 음원간 단위 백터를 정의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7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파 모델 기반의 빔포밍은 충격 음원에 대하여 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8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위치 검출 수단은, 각 상기 비파라메트릭 처리부에 의해 정의된 마이크와 음원간 단위 백터를 통해 각 마이크 어레이의 중심점 위치에서 각 음원까지의 선에 대한 파라미터 폼을 각각 정의하고, 각 마이크 어레이의 중심점 위치에서 각 음원까지의 선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벡터(w)를 통해 각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벡터 음원 위치를 각각 산출하며, 각 벡터 음원 위치를 통해 3D 음원 위치를 산출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9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정보는, 지연 및 합산 빔 형성 처리 전, 1회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1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SBF 컨트롤러는, 배정도 삼각 함수의 결과 값을 미리 저장하여 계산 및 설계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장치
11 11
2차원 상에, 복수개의 마이크로폰이 배열된 한 쌍의 마이크 어레이가 음원을 각각 입력받는 단계; 한 쌍의 DSBF 컨트롤러가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 사이의 방향을 구하고, 이 방향에 따라 3차원 벡터를 각각 구하는 단계; 및 음원 위치 검출 수단이 상기 한 쌍의 DSBF 컨트롤러를 통해 구해진 두 개의 3차원 벡터를 기반으로 두 3차원 벡터간 가장 가까운 위치를 3차원 음원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2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또는 의 Free-field calibration of MEMS microphone array used for acoustic holography 기법을 통해 보정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3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벡터를 각각 구하는 단계는, 사운드 감지기가 음원이 생성되고 데시벨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피드 포워드 신경망(MFCC-FFNN)을 기반으로 올바른 대상 사운드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4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벡터를 각각 구하는 단계는, 음원 입력기가 마이크 어레이로부터 모든 음원 신호를 입력받아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올바른 대상 사운드(유효 사운드)가 분류되면, 모든 마이크로폰과 후보 각도 사이의 지연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비파라메트릭 처리부가 모든 마이크로폰에 병렬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음원과 마이크로폰 간의 조종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5 15
제 14항에 있어서, 음원과 마이크로폰 간의 조종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파라메트릭 처리부가 평면파형 모델에 의해 원과 2차원 상에 배치된 마이크 어레이 사이의 각도를 추정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6 16
제 15항에 있어서, 음원과 마이크로폰 간의 조종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파라메트릭 처리부가 인접한 마이크 사이의 거리, 단일 축에 대한 마이크의 개수 및 소리 파장의 길이를 통해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와의 거리를 정의한 후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라고 가정하고, 3차원 공간에서의 음원의 위치, 소리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마이크들을 통과할 때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임의의 시간에 각 마이크에서 측정된 음원을 추정한 후 시간과 후보 각도에 대한 평면파 모델 기반의 빔포밍을 출력하고 모든 실제 음원과 모든 마이크 사이의 조향각들 중 가장 큰 조향각을 산출하며, 추정된 조향각을 이용하여 마이크와 음원간 단위 백터를 정의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7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파 모델 기반의 빔포밍은 충격 음원에 대하여 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8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음원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음원 위치 검출 수단이, 각 상기 비파라메트릭 처리부에 의해 정의된 마이크와 음원간 단위 백터를 통해 각 마이크 어레이의 중심점 위치에서 각 음원까지의 선에 대한 파라미터 폼을 각각 정의하는 단계; 각 마이크 어레이의 중심점 위치에서 각 음원까지의 선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벡터(w)를 통해 각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벡터 음원 위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각 벡터 음원 위치를 통해 3D 음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19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정보는, 지연 및 합산 빔 형성 처리 전, 1회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20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SBF 컨트롤러는, 배정도 삼각 함수의 결과 값을 미리 저장하여 계산 및 설계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것인 2차원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음원 위치 검출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포츠산업기술기반조성(R&D) 청소년용 실감 체험형 스포츠 통합플랫폼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