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0677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막전극 집합체에서 기체확산층과 촉매층 사이에 탄소기재와 소수성 불소계 고분자로 구성된 계면접착층을 도입하여 기체확산층과는 소수성 계면을 형성하고, 촉매층과는 기계적 결착이 가능하여 연료전지 구동 중 기체확산층이 막전극 집합체를 지지하여 막전극 집합체의 수축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M 8/1004 (2016.01.01) H01M 8/0245 (2016.01.01) H01M 8/0243 (2016.01.01) H01M 4/86 (2006.01.01) H01M 4/92 (2006.01.01) H01M 4/88 (2006.01.01) H01M 8/0234 (2016.01.01) H01M 8/241 (2016.01.01) H01M 8/248 (2016.01.01) H01M 8/1018 (2016.01.01)
CPC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H01M 8/10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58455 (2018.12.10)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71199 (2020.06.1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1.26)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희탁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현종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육성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동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장제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2.10 수리 (Accepted) 1-1-2018-1236619-1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11.26 수리 (Accepted) 1-1-2019-1216185-75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6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11.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음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A) 고분자 전해질막;(B)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양쪽에 각각 형성된 제1 촉매층 및 제2 촉매층;(C) 상기 제1 촉매층 및 제2 촉매층 상에 각각 접착되어 있는 제1 계면접착층 및 제2 계면접착층; 및(D) 상기 제1 계면접착층 및 제2 계면접착층 상에 각각 접착되어 있는 제1 기체확산층 및 제2 기체확산층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접착층은 다공성 선형 탄소기재와 소수성 불소계 고분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선형 탄소기재는 VGCF(Vapor grown carbon fiber), CNT(carbon nanotube) 또는 CNF(carbon nanofi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불소계 고분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불소계 이오노머 또는 탄화수소계 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Pt/C 또는 불소계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확산층은 탄소기재와 소수성 불소계 고분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
8 8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의 제조방법:(a) 다공성 선형 탄소기재와 소수성 불소계 고분자를 혼합한 슬러리를 제1 기체확산층에 블레이드 캐스팅하고 열처리 및 열압착하여 제1 기체확산층 상에 제1 계면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b) 다공성 선형 탄소기재와 소수성 불소계 고분자를 혼합한 슬러리를 제2 기체확산층에 블레이드 캐스팅하고 열처리 및 열압착하여 제2 기체확산층 상에 제2 계면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c) 상기 제1 계면접착층 및 상기 제2 계면접착층 각각에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포하여 제1 촉매층 및 제2 촉매층을 각각 형성하여 제1 기체확산층-제1 계면접착층-제1 촉매층과 제2 기체확산층-제2 계면접착층-제2 촉매층을 제작하는 단계; 및(d) 상기 제1 기체확산층-제1 계면접착층-제1 촉매층과 상기 제2 기체확산층-제2 계면접착층-제2 촉매층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위치시키고 열압착하는 단계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 단계의 열처리 및 열압착 후처리는 100~350℃의 온도에서 1~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의 제조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열압착은 100~150℃의 온도에서 1~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 집합체의 제조방법
11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막전극 집합체를 중심에 두고 이의 양측에 세퍼레이터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전기 생성 유닛; 및상기 전기 생성 유닛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 (RCMS)건물용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고분자 막-전극 접합체 내구성 향상 기술 개발(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