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모바일 기기와 다채널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위험상황 판단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000748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단말이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수집된 제 1 오디오 신호에 기초한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과 분리된 단말에 위치한 다채널 마이크로부터 제 2 오디오 신호가 수집되고,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제 1 오디오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로부터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G08B 13/16 (2006.01.01) G08B 21/04 (2006.01.01) G10L 25/27 (2013.01.01) G08B 21/18 (2006.01.01)
CPC G08B 13/1672(2013.01) G08B 13/1672(2013.01) G08B 13/1672(2013.01) G08B 13/167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60203 (2018.12.12)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72242 (2020.06.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치윤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무섭 세종특별자치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병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 **층 (서초동, 재우빌딩)(마루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2.12 수리 (Accepted) 1-1-2018-1248553-2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단말이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제 1 단말이 수집된 제 1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집된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이벤트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로부터 오디오 상황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오디오 이벤트 정보, 상기 오디오 상황 정보 및 센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분리된 제 2 단말에 위치한 다채널 마이크로부터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가 수집되고,상기 제 2 오디오 신호는 한 개 이상의 음원들로부터 수집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에는 한 개 이상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오디오 특징정보, 음원의 거리 및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3 3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수집된 제 1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관심소리가 있는지 판단하고,상기 관심소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채널 마이크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4 4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수집된 제 1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관심소리가 있는지 판단하는 경우,상기 수집된 제 1 오디오 신호의 변화량에 기초하여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의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5 5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관심소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상기 제 1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상기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6 6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상기 한 개 이상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고 빔포밍 오디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7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한 개 이상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상기 다채널 마이크들 간의 간격 정보, 상기 다채널 마이크에 도달하는 음향 신호의 시간 차이 정보 및 세기 차이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각 음원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8 8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한 개 이상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빔포밍 오디오를 생성하는 경우상기 확인된 위치의 음원의 소리 신호를 증폭시키고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음원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9 9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한 개 이상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빔포밍 오디오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오디오 특징 정보는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영역에서 정의된 특징, 주파수 영역에서 정의된 특징 및 다른 영역에서 정의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1 11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오디오 이벤트 정보는 단일 음원으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2 12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기 특징정보가 시간에 따라서 누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이벤트 정보를 파악하고,상기 오디오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주위에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3 1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이 기계학습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4 14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오디오 상황 정보는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음원들에 기초하여 파악하되,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5 15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이 기계학습으로 상기 오디오 상황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6 16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분석된 오디오 정보로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경우,상기 한 개 이상의 음원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각 음원의 접근 여부 및 접근 속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7 17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에는 단일마이크가 존재하고,상기 단일마이크로부터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가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방법
18 18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제 1 단말; 및상기 제 1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말은수집된 제 1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고,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집된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이벤트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로부터 오디오 상황 정보를 파악하고,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오디오 이벤트 정보, 상기 오디오 상황 정보 및 센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되,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분리된 제 2 단말에 위치한 다채널 마이크로부터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가 수집되고,상기 제 2 오디오 신호는 한 개 이상의 음원들로부터 수집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장치
19 19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단말은 오디오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분석부는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되,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분석 데이터에는 한 개 이상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오디오 특징정보, 음원의 거리 및 방향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장치
20 20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수집된 제 1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관심소리가 있는지 판단하고,상기 관심소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의 상기 다채널 마이크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상황 판단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ETRI ETRI연구개발지원사업 신체기능의 이상이나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휴먼 청각 및 근력 증강 원천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