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및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음극 소재

  • 기술번호 : KST2020007704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및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음극소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은, 분산상(disperse phase) 및 연속상(continuous phase)을 제조하여 에멀젼(emulsions)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멀젼을 시라수 다공성 유리 멤브레인(Shirasu porous glass(SPG) membrane)의 기공을 통과시켜 에멀젼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표면 상에 형성된 액적으로부터 연속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에멀젼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BCP)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하이퍼 가교(Hyper Cross Link) 및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다공성 하이퍼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하이퍼 블록 공중합체 입자에 금속 원자를 도핑한 후 탄화시켜 금속 원자/탄화된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원자/탄화된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백금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용해시켜 열 환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1M 4/92 (2006.01.01) C08J 3/12 (2006.01.01) C08J 3/24 (2006.01.01) H01M 8/1018 (2016.01.01)
CPC H01M 4/925(2013.01) H01M 4/925(2013.01) H01M 4/925(2013.01) H01M 4/92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25494 (2019.10.10)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125652-0000 (2020.06.16)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0062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10)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범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현주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영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최주혁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1-1-2019-1033503-10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10.14 수리 (Accepted) 1-1-2019-1041351-09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12.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876576-38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12.31 수리 (Accepted) 1-1-2019-1361688-96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12.3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1361687-40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3.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202441-23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분산상(disperse phase) 및 연속상(continuous phase)을 제조하여 에멀젼(emulsions)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에멀젼을 시라수 다공성 유리 멤브레인(Shirasu porous glass(SPG) membrane)의 기공을 통과시켜 에멀젼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멤브레인 표면 상에 형성된 액적으로부터 연속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에멀젼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BCP)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하이퍼 가교(Hyper Cross Link) 및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다공성 하이퍼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다공성 하이퍼 블록 공중합체 입자에 금속 원자를 도핑한 후 탄화시켜 금속 원자/탄화된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금속 원자/탄화된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백금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용해시켜 열 환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는,클로로포름에 폴리(스티렌-b-폴리디메틸실록산)(PS-b-PDMS), 폴리(2-비닐피리딘)(Poly(2-vinylpyridine; P2VP), 폴리(4-비닐피리딘)(poly(4-vinylpyridine); P4VP), 폴리(1,4-부타디엔)(Poly(1,4-butadiene); PB),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용해시킨 분산상; 및물에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SDS)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연속상;을 제조하여 수중 클로로포름 에멀젼(chloroform-in-water emulsions)을 형성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분산상의 클로로포름을 증발시키고, 상기 SDS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여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수득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 가교는, 프리델-크래프트(Friedel-Craft) 반응인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 가교는,상기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촉매, 가교제 및 가교용 용매의 혼합물에 30 ℃ 내지 90 ℃의 온도 범위에서 12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FeCl3, FeCl3·6H2O, AlCl3, CoCl3, ZnCl3 및 CrCl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포름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formaldehyde dimethyl acethal; FDA), 트리클로로메테인(Trichloromethane, CHCl3) 및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Carbon tetrachloride, CCl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8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용 용매는, 1,2-디클로로에탄(1,2 dichloroethane; DCE), 1,2-디클로로프로판(1,2-dichloropropane; DCP) 및 1,4-디클로로벤젠(1,4-dichlorobenzene; DC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칭은, 상기 분산상의 PDMS 블록을 에칭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칭은, 상기 하이퍼 가교 후에, 테트라메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MAF), 테트라에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플루오라이드, 트리메틸에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2-하이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2-하이드록시에틸)트리에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2-하이드록시에틸)트리프로필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에틸트리메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디에틸디메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및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에칭 용액을 이용하여 에칭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라수 다공성 유리 멤브레인의 기공은 0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600 ℃ 내지 1100 ℃의 온도 범위에서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원자/탄화된 블록 공중합체 입자를 백금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용해시켜 열 환원하는 단계는,상기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 중 백금이 0
14 1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열 환원은, H2/N2 분위기 하에서 300 ℃ 내지 700 ℃의 온도 범위에서 1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5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로서,상기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는,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및 상기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에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의 크기는 700 nm 내지 870 nm인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17 17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는 20 nm 내지 25 nm 기공을 포함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18 18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는,Fe-C 구조가 산소 환원 반응(oxygen reduction reaction; ORR)에 대한 촉매의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활성 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인,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19 19
제15항의 탄화된 메조포러스 블록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음극 소재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수질 관리를 위한 그래핀-고분자 기반의 센서 Kit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고효율 및 고안정성을 가지는 유기태양전지용 유기/고분자 신소재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R&D) 카보-올가닉 에너지 소재의 합성 및 고효율 계층화 전극 생산 공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