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미세전류 자극 속옷

  • 기술번호 : KST2020008361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팬티 형상을 가지는 섬유부와, 섬유부 상에 결합되고,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서로 전위차를 가지게 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기자극을 통해 생식기의 기능을 활성화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균 가능한 미세전류 자극 속옷에 관한 것이다.
Int. CL A61N 1/32 (2006.01.01) A61N 1/04 (2006.01.01) A61N 1/36 (2006.01.01) A61C 19/06 (2006.01.01) A61N 1/14 (2006.01.01) A61C 8/02 (2006.01.01) A61C 7/08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166416 (2019.12.13)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79425 (2020.07.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160915   |   2018.12.13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2.13)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바른공학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홍진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이상민 경기도 광명시 목감로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플러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2.13 수리 (Accepted) 1-1-2019-1289071-68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9.12.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9-0202144-01
3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20.01.17 수리 (Accepted) 1-1-2020-0055644-33
4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20.02.17 수리 (Accepted) 1-1-2020-0164482-67
5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20.03.17 수리 (Accepted) 1-1-2020-0279824-42
6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0.06.01 수리 (Accepted) 1-1-2020-0555828-21
7 지정기간연장 관련 안내서
Notification for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20.06.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0-0078237-30
8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06.26 수리 (Accepted) 1-1-2020-0659840-86
9 [출원인지분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Applicant Share Change]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20.07.09 수리 (Accepted) 1-1-2020-0712020-42
10 [출원인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Change of Applicant]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20.10.05 수리 (Accepted) 1-1-2020-1046271-29
11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10.15 수리 (Accepted) 1-1-2020-1088637-1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속옷을 이루는 섬유부(100); 및상기 섬유부(100) 상에 결합되고,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서로 전위차를 가지게 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200);를 포함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섬유부(100)는 복수개의 상기 전극이 서로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저항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기자극부(200)의 전극은 상기 섬유부(100) 상에 서로 비접촉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을 포함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4 4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섬유부(100)는 생식기를 감싸는 생식기 보호부(110)와, 섬유부(100)를 인체에 밀착 시키는 밀착 고정부(120)와, 인체의 허벅지와 엉덩이를 감싸는 주변부 보호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은 상기 생식기 보호부(110)와, 밀착 고정부(120)와, 상기 주변부 보호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5 5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은 상기 생식기 보호부(110)와, 상기 밀착 고정부(120)와, 상기 주변부 보호부(130) 중 어느 하나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6 6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은 상기 생식기 보호부(110)와, 상기 밀착 고정부(120)와, 상기 주변부 보호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전극(220)은 상기 생식기 보호부(110)와, 상기 밀착 고정부(120)와, 상기 주변부 보호부(130) 중 상기 제1 전극(210)이 결합되지 않은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7 7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은 상기 생식기 보호부(110)와, 상기 밀착 고정부(120)와, 상기 주변부 보호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전극(220)은 상기 생식기 보호부(110)와, 상기 밀착 고정부(120)와, 상기 주변부 보호부(130) 중 상기 제1 전극(210)이 결합된 부위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부위에 결합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8 8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은 상기 섬유부(100)의 내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전극(220)은 상기 섬유부(100)의 외면에 위치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9 9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은 피부와 접하는 상기 섬유부(100)의 내면에 위치되고, 제2 전극(220)은 상기 섬유부(100) 내부에 삽입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0 10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섬유부(100)와 함께 직조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1 11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섬유부(100)에 프린팅 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2 12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은 상기 섬유부(100)에 패치 형태로 부착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3 13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이 서로 전위차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저항을 가지는 연결매체(300)를 더 포함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4 14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20)은 서로 다른 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이종의 재질 또는 형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5 15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은 남성의 성기와 접하는 제1-1 전극(211)과, 남성의 고환과 접하는 제1-2 전극(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6 16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제1-1 전극(211)은 남성의 성기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제1-1 전극 단위체(21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7 17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제1-2 전극(212)은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착용자의 허벅지와 마주보게 연장 형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제1-2 전극 단위체(2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18 18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210)은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고환과 접하고 중앙부가 성기와 접하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 속옷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200079426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20200079427 KR 대한민국 FAMILY
3 KR1020200079428 KR 대한민국 FAMILY
4 KR1020200079429 KR 대한민국 FAMILY
5 KR1020200080149 KR 대한민국 FAMILY
6 KR1020200080150 KR 대한민국 FAMILY
7 KR1020200090094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20200079426 KR 대한민국 DOCDBFAMILY
2 KR20200079427 KR 대한민국 DOCDBFAMILY
3 KR20200079428 KR 대한민국 DOCDBFAMILY
4 KR20200079429 KR 대한민국 DOCDBFAMILY
5 KR20200080149 KR 대한민국 DOCDBFAMILY
6 KR20200080150 KR 대한민국 DOCDBFAMILY
7 KR20200090094 KR 대한민국 DOCDBFAMILY
8 WO2020122668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전략공모 피부세포의 노화억제를 위한 산화질소 나노전달체 개발에 관한 연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나노·소재기술개발 자가발전 복합기능 패브릭 제조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