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 기술번호 : KST202000981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철도궤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철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RP rebar)으로 대체하고, 이로 인한 휨강성, 전단강도, 연성 및 균열저항성능의 저하를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보상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역학적 요구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면서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폐색구간을 확보하여 철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가 제공된다.
Int. CL E01B 1/00 (2006.01.01) C04B 14/38 (2006.01.01)
CPC E01B 1/002(2013.01) E01B 1/002(2013.01) E01B 1/0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67269 (2018.12.21)
출원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78762 (2020.07.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4.17)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
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의왕시 철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오홍섭 서울시 용산구
2 문도영 부산 남구
3 이승정 서울시 강남구
4 이현기 경남 진주시 남강
5 김영환 경남 진주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세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 **층 ****호 한영국제특허법률사무소 (서초동, 서초지웰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2.21 수리 (Accepted) 1-1-2018-1290778-18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9.01.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9-0000363-11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9.01.31 수리 (Accepted) 1-1-2019-0115129-14
4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04.17 수리 (Accepted) 1-1-2019-0395070-08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7 수리 (Accepted) 4-1-2020-5109054-92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9 수리 (Accepted) 4-1-2020-5153432-13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9.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641655-16
8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0.11.16 수리 (Accepted) 1-1-2020-1222243-3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프리캐스트 또는 현장타설 제작되어 노반 상에 거치되는 콘크리트슬래브(110);상기 콘크리트슬래브(110) 내에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종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FRP rebar)(120);상기 콘크리트슬래브(110) 내에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30);상기 콘크리트슬래브(110) 상에 안착되는 레일 체결장치(140); 및상기 레일 체결장치(140)에 체결되는 레일(150)을 포함하되,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은 철도 콘크리트슬래브 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수신 교란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RP rebar)은 절연성능을 갖고 있는 섬유보강재인 유리섬유 폴리머(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현무암섬유 폴리머(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BFRP) 또는 아라미드섬유 폴리머(Aramid Fiber Reinforced Polymer: A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가 혼합되는 탄소섬유 폴리머(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로 형성되는 강봉 형태의 하이브리드 보강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은 그리드(Grid) 형태로 일체화된 그리드형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8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4 4
제1항에 있어서, 절연섬유폴리머로 형성되는 정착용 앵커로서,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을 지지함으로써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의 양단 끝단에 설치하는 보강근 앵커(190)를 추가로 포함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5 5
프리캐스트 또는 현장타설 제작되어 노반 상에 거치되는 콘크리트슬래브(110);상기 콘크리트슬래브(110) 내에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종방향 철근(160);상기 콘크리트슬래브(110) 내에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FRP rebar)(130);상기 콘크리트슬래브(110) 상에 안착되는 레일 체결장치(140); 및상기 레일 체결장치(140)에 체결되는 레일(150)을 포함하되,상기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30)은 철도 콘크리트슬래브 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수신 교란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6 6
제5항에 있어서, 종방향 배근으로 상기 종방향 철근(160)을 배근하고 횡방향 보강재로 상기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30)을 배근하여, 철근으로 인한 폐루프 발생을 억제하여 궤도회로 수신전압이 1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RP rebar)은 절연성능을 갖고 있는 섬유보강재인 유리섬유 폴리머(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현무암섬유 폴리머(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BFRP) 또는 아라미드섬유 폴리머(Aramid Fiber Reinforced Polymer: A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가 혼합되는 탄소섬유 폴리머(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로 형성되는 강봉 형태의 하이브리드 보강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8 8
섬유가 혼입되도록 프리캐스트 또는 현장타설 제작되어 노반 상에 거치되는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 내에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종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FRP rebar)(120);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 내에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30);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 상에 안착되는 레일 체결장치(140); 및상기 레일 체결장치(140)에 체결되는 레일(150)을 포함하되,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은 철도 콘크리트슬래브 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수신 교란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RP rebar)은 절연성능을 갖고 있는 섬유보강재인 유리섬유 폴리머(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현무암섬유 폴리머(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BFRP) 또는 아라미드섬유 폴리머(Aramid Fiber Reinforced Polymer: A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가 혼합되는 탄소섬유 폴리머(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로 형성되는 강봉 형태의 하이브리드 보강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의 혼입 섬유는 콘크리트슬래브의 균열저항 성능을 보완하고 연성을 확보하도록 강섬유, 폴리프로필렌 또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섬유를 균열저항 성능 보완을 위해 사용할 경우, 최소철근비에 준하는 강섬유를 혼입하되, 상기 강섬유의 혼입량은 시멘트 부피대비 0
12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섬유의 분산을 위해 고유동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은 그리드(Grid) 형태로 일체화된 그리드형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8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4 14
제8항에 있어서, 절연섬유폴리머로 형성되는 정착용 앵커로서,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을 지지함으로써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의 양단 끝단에 설치하는 보강근 앵커(190)를 추가로 포함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5 15
섬유가 혼입되도록 프리캐스트 또는 현장타설 제작되어 노반 상에 거치되는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 내에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종방향 철근(160);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 내에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매립되는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FRP rebar)(130);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 상에 안착되는 레일 체결장치(140); 및상기 레일 체결장치(140)에 체결되는 레일(150)을 포함하되,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20, 130)은 철도 콘크리트슬래브 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수신 교란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종방향 배근으로 상기 종방향 철근(160)을 배근하고 횡방향 보강재로 상기 횡방향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130)을 배근하여, 철근으로 인한 폐루프 발생을 억제하여 궤도회로 수신전압이 1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섬유폴리머 보강근(FRP rebar)은 절연성능을 갖고 있는 섬유보강재인 유리섬유 폴리머(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현무암섬유 폴리머(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BFRP) 또는 아라미드섬유 폴리머(Aramid Fiber Reinforced Polymer: A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가 혼합되는 탄소섬유 폴리머(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로 형성되는 보강근이거나, 상기 GFRP, BFRP 또는 AFRP로 형성되는 강봉 형태의 하이브리드 보강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8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혼입 콘크리트슬래브(170)의 혼입 섬유는 콘크리트슬래브의 균열저항 성능을 보완하고 연성을 확보하도록 강섬유, 폴리프로필렌 또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강섬유를 균열저항 성능 보완을 위해 사용할 경우, 최소철근비에 준하는 강섬유를 혼입하되, 상기 강섬유의 혼입량은 시멘트 부피대비 0
2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강섬유의 분산을 위해 고유동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궤도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국토교통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GFRP와 섬유보강 콘크리트 기술을 활용한 신호교란 없는 고성능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