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뇌경색 아형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0010189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뇌경색 아형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뇌경색 기전에 따라 분리된 환자의 혈전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수행한 결과, 최소 두 군에서 두 배 이상의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총 10개의 microRNA를 선별하였으며, 상기 microRNA들은 뇌경색 아형 진단에 활용이 가능한 바, 뇌경색 아형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뇌경색 아형 진단용 조성물, 뇌경색 아형 진단용 키트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t. CL C12Q 1/6883 (2018.01.01)
CPC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C12Q 1/688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098971 (2019.08.13)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140581-0000 (2020.07.28)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0080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8.13)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정민 서울특별시 양천구
2 박광열 서울특별시 서초구
3 김혜련 서울특별시 송파구
4 변준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백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이노플렉스 *차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동작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8.13 수리 (Accepted) 1-1-2019-0830632-95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2.1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3.09 수리 (Accepted) 9-1-2020-0008636-30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7.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494142-0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miR-210-3p, miR-93-5p, miR-629-5p, miR-652-3p, miR-20a-5p, miR-107, miR-532-5p, miR-450b-5p, let7i-5p 및 miR-378f를 포함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뇌경색 아형은 죽상동맥경화반 기원(Large Artery Atherosclerosis; LAA) 뇌경색, 심방세동 심장기원(Cardioembolism due to atrial fibrillation; CEA) 뇌경색 및 판막질환 심장기원(Cardioembolism with valvular heart disease; CEV)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3 3
miR-210-3p, miR-93-5p, miR-629-5p, miR-652-3p, miR-20a-5p, miR-107, miR-532-5p, miR-450b-5p, let7i-5p 및 miR-378f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용 조성물
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뇌경색 아형은 죽상동맥경화반 기원(Large Artery Atherosclerosis; LAA) 뇌경색, 심방세동 심장기원(Cardioembolism due to atrial fibrillation; CEA) 뇌경색 및 판막질환 심장기원(Cardioembolism with valvular heart disease; CEV)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용 조성물
5 5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용 키트
6 6
뇌경색 환자에서 분리된 시료로부터 miR-210-3p, miR-93-5p, miR-629-5p, miR-652-3p, miR-20a-5p, miR-107, miR-532-5p, miR-450b-5p, let7i-5p 및 miR-378f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 1단계; 및상기 microRNA의 발현 수준을 뇌경색 아형에 따라 비교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뇌경색 아형은 죽상동맥경화반 기원(Large Artery Atherosclerosis; LAA) 뇌경색, 심방세동 심장기원(Cardioembolism due to atrial fibrillation; CEA) 뇌경색 및 판막질환 심장기원(Cardioembolism with valvular heart disease; CEV)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죽상동맥경화반 기원(Large Artery Atherosclerosis; LAA) 뇌경색은 miR-210-3p, miR-93-5p, miR-629-5p, miR-652-3p, miR-20a-5p, miR-107, miR-532-5p, let7i-5p 및 miR-378f의 발현 수준이 낮고, miR-450b-5p의 발현 수준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심방세동 심장기원(Cardioembolism due to atrial fibrillation; CEA) 뇌경색은 miR-210-3p, miR-93-5p, miR-629-5p, miR-652-3p, miR-20a-5p, miR-107, miR-532-5p, let7i-5p 및 miR-378f의 발현 수준이 높고, miR-450b-5p의 발현 수준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막질환 심장기원(Cardioembolism with valvular heart disease; CEV) 뇌경색은 miR-210-3p, miR-93-5p 및 miR-378f의 발현 수준이 높고, miR-629-5p, miR-652-3p, miR-20a-5p, miR-107, miR-532-5p, let7i-5p 및 miR-450b-5p의 발현 수준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경색 아형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비부호화 알엔에이 분석을 통한 뇌졸중 치료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