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 및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0010733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서로 접촉하고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리포좀, 및 상기 둘 이상의 리포좀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 및 나노리포좀을 포함하고, 상기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은 소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유기상과,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상으로 이루어지고 음전하를 가지며, 상기 나노리포좀은 양전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은, 다양한 소수성 및 친수성 약물의 봉입효율을 높힐 수 있으면서도, 단일 시린지를 이용하여 쉽게 주입이 가능하며 주입 후에 체내에서 겔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단독 사용시 주변 조직으로 이동되어 서방형 방출거동을 유도하기 어려웠던 베시클 또는 리포좀 기반 약물전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술부위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암세포 및 다양한 면역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약물이 로딩된 본 발명에 따른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은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하였을 경우, 항암면역치료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
Int. CL A61K 9/127 (2006.01.01) A61K 9/06 (2006.01.01) A61K 9/00 (2006.01.01) A61K 31/4745 (2006.01.01) A61K 31/7068 (2006.01.01) A61K 31/663 (2006.01.01) A61K 45/06 (2006.01.01) A61P 35/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08381 (2020.01.22)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95394 (2020.08.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13086   |   2019.01.3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1.22)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용택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송찬영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 하타이차녹 푸엥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길 ** (대치동) 성원타워 *층(명진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1.22 수리 (Accepted) 1-1-2020-0074079-3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서로 접촉하고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리포좀, 및 상기 둘 이상의 리포좀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 및 나노리포좀을 포함하고,상기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은 음전하를 가지며 유기상과 수용액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노리포좀은 양전하를 가지는 것인,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과 나노리포좀의 비율은 10:1(w/w) 내지 10:9(w/w)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과 나노리포좀의 비율은 10:3(w/w)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의 직경은 1μm 내지 100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의 직경은 20nm 내지 9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의 유기상, 리포좀 멤브레인, 및/또는 외벽에는 소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심 다중나노도메인 베시클의 수용액상에는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의 내부에는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의 멤브레인에는 소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10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약물은 면역활성화 물질 또는 면역억제인자 제어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11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친수성 약물은 면역활성화 물질 또는 면역억제인자 제어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은 주입된 부위에서 주위로 퍼지거나 구조가 붕괴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약물을 서방형으로 방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13 13
제1항의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및 소수성 약물 및 친수성 약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제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15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관문억제제는 anti-PD-1, anti-PD-L1, 및 anti-CTLA-4, anti-KIR, anti-LAG3, anti-CD137, anti-OX40, anti-CD276, anti-CD27, anti-GITR, anti-TIM3, anti-41BB, anti-CD226, anti-CD40, anti-CD70, anti-ICOS, anti-CD40L, anti-BTLA, anti-TCR, 및 anti TIGI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17 17
제1항의 비경구 약물전달용 가역적 겔; 및 소수성 약물 및 친수성 약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면역원성 세포사멸(immunogenic cell death)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수지상세포, 자연살해세포, 및/또는 T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0 20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regulatory T cell,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s, M2 macrophage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1 21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전신 항암면역(systemic antitumor immune response)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2 22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재발(recurrence), 전이(metastasis) 또는 항암 치료 요법에 대한 내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3 23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종양과 같은 국소부위(local injection)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중견후속연구지원(전략 연구분야지정) 면역바이오공학기반 아주번트 의약소재를 활용한 면역세포 맞춤형 활성화 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 (재난형동물감염병대응원천기술개발) 안전성 및 면역원 유도능이 향상된 신규 구제역 백신 아주번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