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유방 부피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방 부피 측정 디바이스

  • 기술번호 : KST2020012131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피검자의 유방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3D 영상 내에서 미리 결정된 랜드마크를 결정하는 단계, 랜드마크를 기초로 표준 평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 표준 평면을 기초로 피검자의 유방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Int. CL A61B 5/107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162396 (2019.12.09)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83224 (2020.07.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173342   |   2018.12.3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2.0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승용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인벤싱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아레나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2.09 수리 (Accepted) 1-1-2019-1267107-1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피검자의 유방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3D 영상 내에서 미리 결정된 랜드마크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랜드마크를 기초로 표준 평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표준 평면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유방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흉골 전흔 (sternal notch) 및 흉골병 (manubrium) 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notch) 중 선택된 적어도 세 개인,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을 포함하고,상기 표준 평면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에 의해 형성된 면을 흉골 절흔 기준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을 더 포함하고,상기 유방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는,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흉골 절흔 기준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는 단계;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우측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유방부 3D 영상을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전흔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컷팅하는 단계, 및상기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상기 우측 유방부 3D 영상 각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좌측 유방부 및 우측 유방부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을 포함하고,상기 표준 평면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에 의해 형성된 면을 흉골병 기준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흉골 전흔을 더 포함하고,상기 유방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는,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흉골병 기준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는 단계;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우측 유방부 3D 영상을 각각 획득하도록, 상기 유방부 3D 영상을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전흔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컷팅하는 단계, 및상기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상기 우측 유방부 3D 영상 각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좌측 유방부 및 우측 유방부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7 7
제2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을 포함하고,상기 표준 평면을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에 의해 형성된 면을 제1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에 의해 형성된 면을 제2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유방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는,좌측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제1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는 단계;우측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제2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는 단계, 및상기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상기 우측 유방부 3D 영상 각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좌측 유방부 및 우측 유방부의 부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는,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 내에서 상기 랜드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는,3D 영상 내에서 상기 랜드마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랜드마크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랜드마크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3D 영상 내에서 랜드마크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및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랜드마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부피의 측정 방법
12 12
피검자의 유방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통신하도록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D 영상 내에서 미리 결정된 랜드마크를 결정하고, 상기 랜드마크를 기초로 표준 평면을 결정하고, 상기 표준 평면, 상기 3D 영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유방의 부피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흉골 전흔 (sternal notch) 및 흉골병 (manubrium) 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notch) 중 선택된 적어도 세 개인,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을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에 의해 형성된 면을 흉골 절흔 기준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을 더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흉골 절흔 기준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고,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우측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유방부 3D 영상을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전흔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컷팅하고, 상기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상기 우측 유방부 3D 영상 각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좌측 유방부 및 우측 유방부의 부피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16 16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을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및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에 의해 형성된 면을 흉골병 기준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흉골 전흔을 더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흉골병 기준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고,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우측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유방부 3D 영상을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전흔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컷팅하고, 상기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상기 우측 유방부 3D 영상 각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좌측 유방부 및 우측 유방부의 부피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18 18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랜드마크는,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을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좌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에 의해 형성된 면을 제1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우측 겨드랑이가 접히는 지점, 상기 흉골병의 오목한 부분의 최저점 및 상기 흉골 절흔에 의해 형성된 면을 제2 표준 평면으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좌측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제1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고, 우측 유방부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3D 영상을 상기 제2 표준 평면의 축 방향으로 컷팅하고, 상기 좌측 유방부 3D 영상 및 상기 우측 유방부 3D 영상 각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좌측 유방부 및 우측 유방부의 부피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유방 부피 측정용 디바이스
20 20
3D 영상을 획득하도록, 피검자의 유방부를 3D 스캔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부, 및상기 카메라부와 통신하도록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 3D 영상 내에서 미리 결정된 랜드마크를 결정하고, 상기 랜드마크를 기초로 표준 평면을 결정하고, 상기 표준 평면, 상기 3D 영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유방의 부피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3D 스캐너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