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온 열전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열전 소자

  • 기술번호 : KST2020012742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이온 열전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열전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열전 물질은 상온에서 구동 가능하고, 높은 제벡 상수 및 높은 이온전도도와 낮은 열 전도도를 가져 높은 열전 성능 지수를 가지는 이온 열전 물질로서, 상기 이온 열전 물질을 포함하는 고효율의 이온 열전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이온 열전 물질로 구성된 이온 열전 소자는 장시간 안정성, 유연성, 안전성 등의 유용한 특징이 있어 에너지 수확 소자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온 열전 물질의 전하량 충전 특성을 이용해 에너지를 수확함과 동시에 전하량을 저장하여 커패시터로서 사용도 가능하여 장시간 구동 안정성이 요구되는 전자장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t. CL H01L 35/24 (2006.01.01) H01L 35/34 (2006.01.01) C08L 101/12 (2006.01.01) C08L 41/00 (2006.01.01) C08L 25/18 (2006.01.01) C08L 29/04 (2006.01.01) C08L 71/02 (2006.01.01) C08L 79/02 (2006.01.01) C08L 39/04 (2006.01.01) C08L 43/02 (2006.01.01) C08L 27/0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148188 (2019.11.19)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71001 (2020.06.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157999   |   2018.12.10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1.1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은경 서울특별시 용산구
2 김병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3 나종범 서울특별시 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1.19 수리 (Accepted) 1-1-2019-1184691-7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3.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5.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0-0061085-21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9.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660798-26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1.2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262388-73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11.24 수리 (Accepted) 1-1-2020-1262375-8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온성 고분자;산, 염기, 금속염 및 이온성 액체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이온 첨가 물질; 및용매를 포함하는 이온 열전 물질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염은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하고,상기 양이온은 알칼리금속 이온, 알칼리토금속 이온, 전이금속 이온, 전이후금속 이온, 란타넘족 이온 및 준금속 이온 중에서 선택되고,상기 음이온은 할로겐 이온, 수산화 이온, 탄산 이온, 아세테이트(acetate) 이온, 토실레이트(tosylate) 이온, 황산 이온, 시아나이드, 시안(cyanide) 이온, 염소산(chlorate) 이온, 디시안아미드(dicyanamide) 이온, 수산화붕소(borohydride) 이온, 티오아세테이트(thioacetate) 이온, 황화수소 이온, 아스코베이트(ascorbate) 이온,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hexafluoroantimonate) 이온, 살리실레이트(salicylate) 이온 및 테트라클로로플라티네이트(tetrachloroplatinate) 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이온 열전 물질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염은 LiCl, NaCl, NaCN, KCl, KBr, KF, KCN, MgCl2, MgBr2, FeCl2, NiCl2, CuSO4, Cu(Tos)2, CuCl2, CuBr2, ZnCl2, Ag2SO4, IrCl3, H2PtCl6, AuCl3 및 HgCl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온 열전 물질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고분자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PEDOT:PSS), poly(styrene sulfonate)계 고분자, Nafion계 고분자, poly(vinyl alcohol)계 고분자, poly(vinyl imidazolium)계 고분자, polyethylenimine계 고분자, poly(ethylene oxide)계 고분자, poly(amine)계 고분자, poly(vinyl pyridinium)계 고분자, poly(vinyl pyrrolidinium)계 고분자, poly(vinyl phosphonium)계 고분자, poly(vinyl pyrazolium)계 고분자, poly(vinyl sulfonium)계 고분자 및 poly(vinyl choline)계 고분자, poly(urethane)계 고분자, poly(vinyl amide)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온 열전 물질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다이옥세인,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에틸아세테이트, 다이메틸설폭시화물(DMSO),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온 열전 물질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고분자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PEDOT:PSS)이고, 상기 이온 첨가 물질은 금속염이고,상기 금속염은 CuCl2 및 CoCl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상기 용매는 물이고,상기 이온성 고분자 및 상기 이온 첨가 물질은 1:0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고분자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PEDOT:PSS)이고, 상기 이온 첨가 물질은 금속염이고,상기 금속염은 IrCl3, H2PtCl6 및 AuCl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상기 용매는 물이고,상기 이온성 고분자 및 상기 이온 첨가 물질은 1:0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액체 물질은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하고,상기 양이온은 암모늄(Ammonium)계 이온, 이미다졸륨(Imidazolium)계 이온, 피리디늄(Pyridinium)계 이온, 피롤리디늄(Pyrrolidinium)계 이온, 포스포늄(Phosphonium)계 이온, 피라졸륨(Pyrazolium)계 이온, 설포늄(Sulfonium)계 이온 및 콜린(Choline)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상기 음이온은 할로겐 이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이온, 디시안아미드(dicyanamide) 이온, 과염소산(perchlorate) 이온, 아세테이트(acetate) 이온, 락테이트(lactate) 이온, 황산 이온, 티오살리실레이트(thiosalicylate) 이온, 벤조산(benzoate) 이온, 아자이드(azide) 이온, 헵타데카플루오로옥테인설포네이트(heptadecafluorooctanesulfonate) 이온, 수산화 이온, 메탄설포네이트(methanesulfonate) 이온, 아질산염(nitrite) 이온, 노나플루오로부탄설포네이트(nonafluorobutanesulfonate) 이온, 석신이미드(succinimide) 이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trifluoromethanesulfonate) 이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etrafluoroborate) 이온, 다이부틸 포스페이트(dibutyl phosphate) 이온,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 이온,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hexafluoroantimonate) 이온, 옥틸 설페이트(octyl sulfate) 이온, 티오사이아네이트(thiocyanate) 이온 및 테트라클로로알루미네이트(tetrachloroaluminate)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온 열전 물질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액체 물질은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tetrabutylammonium hexafluorophosphate),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토실레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osylate), 나피온(Nafion) 용액 및 폴리(4-스티렌설포닉산)(poly(4-styrenesulfon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온 열전 물질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 열전 물질은 탄소계 무기 재료를 더욱 포함하는 이온 열전 물질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탄소계 무기 재료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및 풀러렌(fuller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온 열전 물질
12 12
제1 전극;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 및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온 열전 물질;을 포함하는 이온 열전 소자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이온 열전 소자는 상기 이온 열전 물질을 둘러싸는 수분 흡수층을 포함하는 이온 열전 소자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수분 흡수층은 Zn계 금속유기구조체(Metal-Organic Framework, MOF), Zr계 금속유기구조체, Cu계 금속유기구조체, Cd계 금속유기구조체, Mn계 금속유기구조체, Al계 금속유기구조체, Mg계 금속유기구조체, Fe계 금속유기구조체, Ni계 금속유기구조체, Co계 금속유기구조체, Ti계 금속유기구조체, Hf계 금속유기구조체, V계 금속유기구조체, Cr계 금속유기구조체, Li계 금속유기구조체, Ca계 금속유기구조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온 열전 소자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이온 열전 소자는 상기 이온 열전 물질을 둘러싸는 수분 함유층을 포함하는 이온 열전 소자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수분 함유층은 하이드로젤, 알킬 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오스, 폴리우레탄, 폴리에폭시, 페놀수지, 폴리에스터, 염화비닐, 요소수지, 폴리에틸렌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리그닌 수지,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락트산-글리콜산(PLGA) 공중합체,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온 열전 소자
17 17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탄소계 무기 재료 또는 금속나노와이어를 더욱 포함하는 이온 열전 소자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탄소계 무기 재료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및 풀러렌(fuller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이온 열전 소자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금속나노와이어는 금속 메시(mesh), 금속산화물 메시(mes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이온 열전 소자
20 20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이온 열전 물질은 벌크(bulk) 또는 필름(film)의 형태인 이온 열전 소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천기술개발사업 인공 공감각 유기 일렉트로닉스 소재 디스커버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연구실 저에너지 구동 전자 소자용 프로그램 가능한 공액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