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나노입자 기반 약물과 유전자 동시전달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0012854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홍합 접착 단백질기반의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를 통한 약물과 유전자 동시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을 이용하면, 홍합 접착 단백질의 세포 내 투과도가 상승하여 세포 내 전달 효율이 증가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약물 및 유전자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 내 투과도가 증가하여 목적하는 약물 또는 유전자를 세포 내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통해, 원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t. CL C07K 14/435 (2006.01.01) A61K 47/42 (2017.01.01) A61K 45/06 (2006.01.01) A61K 48/00 (2006.01.01) A61K 9/51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108873 (2019.09.03)
출원인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26757 (2020.03.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104699   |   2018.09.03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9.03)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형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 정연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3 조윤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 (구로동,에이스테크노타워*차)(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9.03 수리 (Accepted) 1-1-2019-0906983-10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0 수리 (Accepted) 4-1-2019-5243581-2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2 수리 (Accepted) 4-1-2019-5245997-53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5 수리 (Accepted) 4-1-2019-5247115-68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6.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홍합 접착 단백질과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Cell Penetrating Peptides, CPP)가 융합된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합 접착 단백질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융합 단백질인,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융합 단백질인,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합 접착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데카펩타이드가 1 내지 80번으로 구성된 횟수에서 선택된 어느 한 횟수로 반복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인,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TAT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iRGD 펩타이드인,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은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MAP-TAT 단백질 또는 서열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MAP-iRGD 단백질인,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합 접착 단백질은 티로신 잔기가 도파(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로 변환된 것인,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8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의 티로신 잔기가 도파(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로 변환된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상기 도파와 배위결합 가능한 철 이온; 및 나노입자 내에 적재되는 약물 또는 유전자;로 구성된,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약물 및 유전자를 동시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의 티로신 잔기의 10 내지 100%가 도파로 변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저분자량 약물, 단백질 약물, 항체 약물, 합성화합물 약물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2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독소루비신,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시스플레틴, 카보플래틴, 5-FU, 에토포시드, 및 캄토테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DNA, RNA, 마이크로 RNA(microRNA, miRNA), 작은 RNA(Small RNA, smRNA),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파이RNA(Piwi-interacting RNA, piRNA), 소핵소체RNA(small nucleolar RNA, snoRNA), t-RNA-유래 작은 RNA(tRNA-derived small RNA, tsRNA), 작은 rDNA-유래 RNA(small rDNA-derived RNA, srRNA), 소핵 RNA(small nuclear RNA, U-RNA) 및 긴 비암호화 RNA(long noncoding RNA, lnc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핵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4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종양 억제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억제 유전자는 WT1, p53, p16, Rb, BRCA1 및 LK8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6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피부암, 흑색종, 위암, 식도암, 결장암, 직장결장암, 췌장암, 대장암, 직장암, 담관암, 간암, 뇌종양, 백혈병, 육종, 골암, 유방암, 갑상선암, 폐선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방광암, 내분비선암, 요도암, 난소암, 고환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및 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인,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7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18 18
제12항의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암제
19 19
제14항의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암제
20 20
(1) 홍합 접착 단백질에 세포 투과 펩타이드를 연결하여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을 제조하는 단계;(2) 상기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의 티로신 잔기를 도파(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로 변환하는 단계;(3) 상기 티로신 잔기가 도파(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로 변환된 세포 투과성 접착 단백질 및 배위결합 가능한 철 이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4) 상기 혼합물에 약물 또는 유전자를 혼합하여 전기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1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혼합은 철이온과 도파의 비율이 1:1 내지 1:5의 몰(molar)비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인,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2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홍합 접착 단백질에 존재하는 질소 원자와 상기 유전자에 존재하는 인 원자의 비율(N/P ratio)이 4 이상 1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해양수산부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R&D) 해양 섬유복합소재 및 바이오플라스틱소재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