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세포 배양용 지지섬유-기반 다층 구조 3D 지지체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0013772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세포 배양용 지지섬유-기반 다층 구조 3D 지지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in vitro 실험모델로 적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도록 종양 조직의 대표적인 환경인 저산소 환경을 구축하여 세포의 형상/구조를 실제 체내와 유사하게 배양할 수 있어, 실제 조직과 유사한 밀집된 형태의 3 차원 생체 모사 배양 시스템을 입체적형상으로 용이하게 구현하므로, 암 치료제의 효능 평가를 위한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다.
Int. CL C12N 5/00 (2006.01.01) C12M 1/12 (2006.01.01) C12N 5/09 (2010.01.01) G01N 33/50 (2017.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38330 (2020.03.30)
출원인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15374 (2020.10.0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36890   |   2019.03.29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3.30)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헌주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오은택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3 김하경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4 이재선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 (구로동,에이스테크노타워*차)(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3.30 수리 (Accepted) 1-1-2020-0330535-9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6.0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7.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0-0088285-2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4개 이상의 지지섬유-단층이 적층된 지지섬유-다층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을 포함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섬유-단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섬유-단층은 각 단층 간 간극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의 두께는 20㎛ 내지 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은 세포 배양 배지와 접촉하는 표면으로부터 두께 70㎛ 이상이 이격된 위치에서 저산소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 차원 지지체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산소 환경은 Glut1 (Glucose transporter 1), Ca9 (Carbonic anhydrase IX),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LDHA (Lactate dehydrogenase 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HIF 표적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 차원 지지체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섬유는 PCL(polycaprolactone), PDO(polydioxanone), PLLA(poly(L-lactide)), PLGA(poly(DL-lactide-co-glycolide)), PEO(polyethylene oxide), PLA(Polylactic acid), PVA(polyvinyl alcohol), 폴리스티렌(Poly styr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섬유형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
9 9
4개 이상의 지지섬유-단층이 적층된 지지섬유-다층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을 포함하는,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부; 및 상기 지지체부에서 세포 배양 배지와 접촉하는 표면으로부터 두께 70㎛ 이상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저산소 환경하에 존재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저산소 환경-모사 세포 배양 시스템
10 10
(a) 지지섬유-단층에 세포를 배양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및(b) 상기 (a) 단계의 세포가 부착된 지지섬유-단층을 4개 이상 적층하여 다층 구조 3D 지지체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산소 환경-모사 세포 배양 시스템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b) 단계의 지지체는 세포 배양 배지와 접촉하는 표면으로부터 두께 70㎛ 이상이 이격된 위치에서 저산소 환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산소 환경-모사 세포 배양 시스템 제조 방법
11 1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에 대한 치료 효능 평가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저산소 환경하에서의 세포 배양용 3차원 지지체에서 암세포를 배양하는 단계;(b) 상기 (a) 단계의 암세포에 목적의 암 치료제 또는 치료제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c) 상기 (b) 단계의 암세포에서 암과 상관 관계가 있는 지표 값을 측정하는 단계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사업 저산소 표적 질환 연구센터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미래원자력연구센터) 종양조직환경 타겟팅 바이오-나노 방사선 치료 기술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 NQO1에 의한 암줄기세포 형성 조절을 통한 암치료 효능 증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