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 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1380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을 분산매에 분산시켜서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 분산액으로부터 탄소 섬유, 탄소 에어로겔 및 탄소 섬유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 가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소 가공물을 이온화된 금속이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복합화하여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를 환원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B01J 20/30 (2006.01.01) B01J 20/02 (2006.01.01) B01J 20/28 (2006.01.01) G21F 9/12 (2006.01.01)
CPC B01J 20/3085(2013.01) B01J 20/3085(2013.01) B01J 20/3085(2013.01) B01J 20/3085(2013.01) B01J 20/308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033576 (2019.03.25)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13420 (2020.10.0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3.25)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류호진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준희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아흐메드 모바셔 대전광역시 유성구
4 하싼 무하마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3.25 수리 (Accepted) 1-1-2019-0303368-18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5.2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6.0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0-0097598-18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7.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491370-80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9.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999870-20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09.21 수리 (Accepted) 1-1-2020-0999871-7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을 분산매에 분산시켜서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 분산액으로부터 탄소 섬유, 탄소 에어로겔 및 탄소 섬유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 가공물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탄소 가공물을 이온화된 금속이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복합화하여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를 환원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차원 탄소물질은,그래핀 나노플레이트렛, 흑연, 단일 벽 탄소나노튜브(SWCNT), 이중 벽 탄소나노튜브(DWCNT) 및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분산매는,증류수; NMP(N-methylpyrrolidone), 에틸렌글리콜(Etyh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디메틸피롤리돈(Dimethylpyrrolidone), 테트라히드로프란(Tetrahydrofuran),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sulphoxid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크실렌(Xylene), 헥센(Hexene), 아세톤(Acetone), IPA,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용매; 또는 클로로설폰산(Chlorosulfonic acid), 황산, 염산, 아세트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 분산액 중, 저차원 탄소물질의 농도는 6 mg/ml 내지 20 mg/ml인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가공물을 제조하는 단계는,상기 저차원 탄소물질 산화물 분산액을 습식방사하여 탄소 섬유를 제조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습식방사의 응고 용매는,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콜 용매; NMP(N-methylpyrrolidone), 에틸렌글리콜(Etyh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디메틸피롤리돈(Dimethylpyrrolidone), 테트라히드로프란(Tetrahydrofuran),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sulphoxide)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응고 용매는 CaCl2, CoCl2, AlCl3, FeCl3, NaCl 및 (NH4)2SO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염을 더 포함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염의 농도는 0
9 9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조된 탄소 섬유의 평균 직경은 1 ㎛ 내지 1000 ㎛인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은,은(Ag) 황(S), 셀레늄(Se), 텔루륨(Te), 폴로늄(Po) 및 납(P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상기 금속의 비중은 상기 탄소 가공물 중 1 중량% 내지 900 중량%인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건조는,10 ℃ 내지 100 ℃의 온도 조건에서 3 시간 내지 48 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환원은,비활성 기체분위기에서, 300 ℃ 내지 700 ℃의 온도 조건으로 열환원하거나, 진공에서 900 ℃ 내지 1100 ℃의 온도 조건으로 열처리하거나, 80 ℃ 내지 200 ℃ 의 온도 조건에서 아이오딘화수소산, 수산화나트륨 또는 히드라진으로 화학처리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는,그래핀-은(Ag) 복합섬유이고,상기 그래핀-은(Ag) 복합섬유는, 종횡비가 100 내지 100,000인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는, 10 ℃ 내지 80 ℃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 중량 대비 60 % 이상의 요오드를 흡수하는 것인,탄소 가공물-금속 복합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원천기술개발사업 (EZBARO)그래핀산화물 액정섬유의 방사공정에 따른 물성 향상 연구(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