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플라젤린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0014664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플라젤린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젤린(Flagellin),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톨-유사 수용체 5(TLR5) 자극 활성을 이용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융합 단백질은 야생형 플라젤린,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와 비교하여 톨-유사 수용체 5(TLR5) 경로 활성화능이 현저히 우수하여, TLR5 경로 활성화를 통해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의 치료제 개발 및/또는 백신 보조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다.
Int. CL C07K 14/195 (2006.01.01) A61K 39/39 (2006.01.01) A61K 47/68 (2017.01.01) A61P 1/00 (2006.01.01) A61P 7/00 (2006.01.01) A61P 27/12 (2006.01.01) A61P 43/00 (2006.01.01) A61K 38/00 (2006.01.01) A61K 39/00 (2006.01.01) A61P 17/14 (2006.01.01) A61P 19/08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48368 (2020.04.21)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23751 (2020.10.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46866   |   2019.04.2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4.21)
심사청구항수 2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경아 광주광역시 북구
2 임재성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석만 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 (역삼동, JS빌딩)(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희숙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 (역삼동, JS빌딩)(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4.21 수리 (Accepted) 1-1-2020-0411836-5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플라젤린(Flagellin),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젤린은 바실러스(Bacillus)속, 살모넬라(Salmonella)속, 헬리코박터(Helicobacter) 속, 비브리오(Vibrio)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시겔라(Shigella) 속,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레기오넬라(Legionella) 속, 보렐리아(Borrelia) 속,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속,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속, 바르토넬라(Bartonella) 속, 프로튜스(Proteus)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에스케리치아(Escherichia) 속, 리스테리아(Listeria) 속, 여시니아(Yersinia) 속,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속, 로세부리아(Roseburia) 속 및 마리노박터(Marinobacter)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미생물 유래의 플라젤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젤린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살모넬라 듀블린(Salmonella Dublin),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a),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피브리솔벤스(Vibrio fibrisolvens), 세라티아 마세센스(Serratia marcesens),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 보렐리아 버그도페레이(Borrelia burgdorferei),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바르토넬라 클라리제이애(Bartonella clarridgeiae), 프로튜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바실러스 할로듀란스(Bacillus halodurans),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에스테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젠스(Listeria monocytogenes), 여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spp), 로세부리아(Roseburia spp) 및 마리노박터(Marinobacter sp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미생물 유래의 플라젤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젤린은 TLR5 (toll-like receptor 5)에 의해 인식되는 보존된 서열(conserved sequenc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편은 야생형(wild-type) 플라젤린에서 초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편은 야생형(wild type) 플라젤린의 C-말단 도메인 0, C-말단 도메인 1, C-말단 도메인 2, N-말단 도메인 2, N-말단 도메인 1, N-말단 도메인 0 및 상기 각 도메인들과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체는 야생형(wild-type) 플라젤린과 80%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며 톨-유사 수용체 5(Toll-like receptor 5, TLR5) 자극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또는 동물 면역글로불린 IgG, IgM, IgD, IgA 또는 IgE의 Fc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또는 동물 면역글로불린 IgG1, IgG2, IgG3 또는 IgG4의 Fc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CH1, CH2, CH3 및 CH4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힌지(hinge)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젤린,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의 N-말단 또는 C-말단이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젤린,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 및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링커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젤린, 이의 단편 또는 이의 변이체는 서열번호 1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5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서열번호 6 또는 7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6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서열번호 8 또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7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서열번호 10 내지 1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18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9 19
제18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20 20
제19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21 21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2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톨-유사 수용체 5(TLR5) 자극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3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방사선 노출에 의한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재관류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염증성 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면역기능 증강용;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4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노출에 의한 손상은 위장 증후군 또는 조혈 증후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5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는 노화에 의한 탈모, 백내장, 탈장, 대장염, 골다공증 및 골연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6 26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보조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남대학교 개인기초연구(미래부) 다수의 질병 예방에 효과적인 새로운 항노화 백신의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천연물 기반 세놀리틱 제제의 발굴 및 기전 연구
3 교육부 전남대학교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점막면역 유도체 FlaB/PspA의 신호전달 조절을 통한 항노화 효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