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다가성 신혈관 생성 억제용 펩타이드를 가진 융합단백질 나노케이지 및 이의 테라노스틱스 용도

  • 기술번호 : KST2020014747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이 신혈관 생성 억제용 펩타이드를 가진 융합단백질 나노케이지 및 이의 진단 및 치료(테라노스틱스) 용도를 제공한다.
Int. CL C07K 16/28 (2006.01.01) C07K 14/78 (2006.01.01) C07K 14/79 (2006.01.01) C07K 14/81 (2006.01.01) G01N 33/543 (2006.01.01) A61K 9/51 (2006.01.01) A61K 38/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46920 (2020.04.17)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23027 (2020.10.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45484   |   2019.04.18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4.17)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동우 서울특별시 서초구
2 강민정 경기도 부천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층(삼성동,고운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4.17 수리 (Accepted) 1-1-2020-0399489-2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i) 항-혈관신생 펩타이드; 상기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 상기 헬릭스 기반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친수성인 엘라스틴 기반 폴리펩타이드(친수성 EBP); 상기 친수성 EBP에 연결되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거나, ii)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 상기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친수성 EBP; 상기 제1 친수성 EBP에 연결되는 항-혈관신생 펩타이드; 상기 항-혈관신생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제2친수성 EBP; 및 상기 친수성 EBP에 연결되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거나, 또는iii) 항-혈관신생 펩타이드; 상기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 상기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친수성 EBP; 상기 친수성 EBP에 연결되는 항-혈관신생 펩타이드; 상기 항-혈관신생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친수성 EBP; 및 상기 친수성 EBP에 연결되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혈관신생 펩타이드는 항-Flt1 펩타이드[서열번호 3] 또는PEDF(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34-mer [서열번호 4]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EBP는, 서열번호 5 내지 14 중 하나로 표시되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은 [서열번호 3의 항-Flt1 펩타이드]-[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친수성 EBP]-[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친수성 EBP]-[서열번호 4의 PEDF 34-mer]-[친수성 EBP]-[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iii)은 [서열번호 3의 항-Flt1 펩타이드]-[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친수성 EBP]-[서열번호 4의 PEDF 34-mer]-[친수성 EBP]-[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은 서열번호 16, 상기 ii)는 서열번호 17, 그리고 상기 iii)은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
8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은,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조숙아의 망막증, 황반부변성증, 맥락막 신생혈관생성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각막혈관신생에 의한 안구질환, 각막 이식 시의 거부반응, 각막 부종, 각막 혼탁, 암(cancer), 혈관종, 혈관섬유종,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및 건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10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에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헬릭스 기반 폴리펩타이드가 자가조립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펩타이드를 가진 융합 단백질 나노케이지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케이지는 다가(multivalent)의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폴리펩타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펩타이드를 가진 융합 단백질 나노케이지
12 12
형광 염료; 및제10항에 따른 신혈관 생성 억제용 펩타이드를 가진 융합 단백질 나노케이지;를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형광 염료는 상기 나노케이지 안에 들어 있는 것인,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을 위한 테라노스틱스 나노프로브(theranostic nanoprobe)
13 13
라만 염료가 결합된 금속 나노입자; 및제10항에 따른 신혈관 생성 억제용 펩타이드를 가진 융합 단백질 나노케이지;를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라만 염료가 결합된 금속 나노입자는 상기 나노케이지 안에 들어 있는 것인,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을 위한 테라노스틱스 나노프로브
14 14
제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은,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조숙아의 망막증, 황반부변성증, 맥락막 신생혈관생성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각막혈관신생에 의한 안구질환, 각막 이식 시의 거부반응, 각막 부종, 각막 혼탁, 암(cancer), 혈관종, 혈관섬유종,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및 건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테라노스틱스 나노프로브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역상전이 거동을 가진 자극 반응성 블록 코폴리펩타이드 및 구조 전환이 가능한 자가 조립된 다기능성 폴리펩타이드 나노구조체 개발
2 교육부(2013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나노센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