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자극 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블럭 공중합체, 이의 고분자 브러쉬, 이의 초분자 자가조립 나노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 기술번호 : KST2020014750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자극 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블럭 공중합체, 이의 고분자 브러쉬, 이의 초분자 자가조립 나노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극 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블럭 공중합체와 이의 고분자 브러쉬를 이용하면, 온도 자극에 따라 가역적인 변화가 가능한,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실린더형 마이셀과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베지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실린더형 마이셀과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베지클은 pH 민감성 약물 전달체로 활용될 수 있다.
Int. CL C08G 81/00 (2006.01.01) C08G 61/08 (2006.01.01) H01B 1/12 (2006.01.01) A61K 47/30 (2017.01.01) A61L 27/14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46521 (2020.04.17)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23022 (2020.10.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45247   |   2019.04.18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4.17)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동우 서울특별시 서초구
2 황은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층(삼성동,고운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4.17 수리 (Accepted) 1-1-2020-0396346-9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i)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고분자 블럭; ii) 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 및 iii) 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성 고분자 블럭은 양전하성 고분자 블럭 또는 음전하성 블럭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고분자 블럭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폴리N-터트부틸아크릴아마이드(poly(N-tert-butylacrylamide)) 및 폴리옥타데실아크릴아마이드 (B-poly(N-octadecylacrylamide)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은,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poly(N-isopropylacrylamide)], 폴리(N-디에틸 아크릴아마이드)[poly (N,N'-diethyl acrylamide)], 폴리(N-하이드록시메틸 프로필 메타아크릴아마이드)[poly (N-(L)-(1-hydroxymethyl) propyl methacrylamide)], 폴리[올리고(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Poly[oligo(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폴리(2-비닐 피리딘)[poly(2-vinyl pyridine)], 및 폴리(4-비닐 피리딘) [poly(4-vinyl pyridine)]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
5 5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양전하성 고분자 블럭은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2-(dimethyl amino)ethylmethacrylate), 알릴아민(allylami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비닐아민(vinyl amine), 2-비닐피리딘(2-vinyl pyridine), 및 4-비닐피리딘(4-vinyl pyridine)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고,상기 음전하성 고분자 블럭은 아크릴릭 액시드(acrylic acid), 메타크릴릭 액시드 (metacrylic acid), 이타코닉 액시드(itaconic acid), 및 말레익 액시드(maleic acid)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
6 6
주쇄인 폴리노보넨; 및 상기 주쇄에 결합된 곁사슬인 소수성 고분자 블럭-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선형 삼중블럭 공중합체로 구성된,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 브러쉬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전하성 고분자 블럭은 양전하성 고분자 블럭 또는 음전하성 블럭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 브러쉬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고분자 블럭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폴리N-터트부틸아크릴아마이드(poly(N-tert-butylacrylamide)) 및 폴리옥타데실아크릴아마이드 B-poly(N-octadecylacrylamide)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 브러쉬
9 9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은,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poly(N-isopropylacrylamide)], 폴리(N-디에틸 아크릴아마이드)[poly (N,N'-diethyl acrylamide)], 폴리(N-하이드록시메틸 프로필 메타아크릴아마이드)[poly (N-(L)-(1-hydroxymethyl) propyl methacrylamide)], 폴리[올리고(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Poly[oligo(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폴리(2-비닐 피리딘)[poly(2-vinyl pyridine)], 및 폴리(4-비닐 피리딘) [poly(4-vinyl pyridine)]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 브러쉬
10 10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양전하성 고분자 블럭은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2-(dimethyl amino)ethylmethacrylate), 알릴아민(allylami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비닐아민(vinyl amine), 2-비닐피리딘(2-vinyl pyridine), 및 4-비닐피리딘(4-vinyl pyridine)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고,상기 음전하성 고분자 블럭은 아크릴릭 액시드(acrylic acid), 메타크릴릭 액시드 (metacrylic acid), 이타코닉 액시드(itaconic acid), 및 말레익 액시드(maleic acid) 중 1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 브러쉬
11 11
제 1 항의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가 자가조립되어 형성되고; 소수성 고분자 블럭이 코어(core)를, 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 및 전하성 고분자 블럭이 쉘(shell)을 구성하는 구형 마이셀 나노구조체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구조체는 동일한 전하성 고분자 블럭끼리 결합되어 자가조립된 것인, 구형 마이셀 나노구조체
13 13
제 6 항의 자극반응성을 가진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브러쉬가 자가조립되어 형성되고; 소수성 고분자 블럭이 코어(core)를, 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 및 전하성 고분자 블럭이 쉘(shell)을 구성하는 실린더형 마이셀 나노구조체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구조체는 동일한 전하성 고분자 블럭끼리 결합되어 자가조립된 것인, 실린더형 마이셀 나노구조체
15 15
i)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고분자 블럭; ii) 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 및 iii) 양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자극반응성 및 양전하를 가지는 양친성 노보넨 기반 선형 블럭 공중합체와; i)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고분자 블럭; ii) 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 및 iii) 음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자극반응성 및 음전하를 가지는 양친성 노보넨 기반 선형 블럭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전해질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베지클
16 16
제 15 항의 베지클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17 17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약물 전달체는 pH 민감성인 것인, 약물 전달체
18 18
주쇄인 폴리노보넨; 및 상기 주쇄에 결합된 곁사슬인 소수성 고분자 블럭-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양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선형 삼중블럭 공중합체로 구성된, 자극반응성 및 양전하를 가지는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브러쉬와,주쇄인 폴리노보넨; 및 상기 주쇄에 결합된 곁사슬인 소수성 고분자 블럭-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음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선형 삼중블럭 공중합체로 구성된, 자극반응성 및 음전하를 가지는 양친성 노보넨 기반 고분자브러쉬를 혼합하여 전해질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실린더형 마이셀
19 19
제 18 항의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실린더형 마이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20 20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약물 전달체는 pH 민감성인 것인, 약물 전달체
21 21
ROMP (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활성이 있고 노보넨 작용기로 기능화된 RAFT 연쇄이동반응제와 소수성 분자를 이용하여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고분자 블럭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블럭에, 자극반응성 분자 및 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을 진행하여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블럭-자극반응성 블럭의 이중블럭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블럭-자극반응성 블럭의 이중블럭 공중합체에, 전하성 분자를 첨가하여,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블럭-자극반응성 블럭-전하성 블럭으로 구성된 선형 블럭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극반응성을 가지는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2 22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선형 블럭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노보넨기가 링 오프닝 되면서 중합되는 것인, 양친성 노보넨 기반 삼중블럭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3 23
노보넨 말단기를 가진 소수성 고분자 블럭-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선형 삼중블럭 공중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상기 선형 삼중블럭 공중합체에 3세대 Grubbs 촉매를 첨가하고 ROMP(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를 통해 폴리노보넨을 주쇄로, 소수성 고분자 블럭-자극반응성 고분자 블럭-전하성 고분자 블럭으로 구성된 삼중블럭 공중합체를 곁사슬로 가지는 고분자 브러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브러쉬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역상전이 거동을 가진 자극 반응성 블록 코폴리펩타이드 및 구조 전환이 가능한 자가 조립된 다기능성 폴리펩타이드 나노구조체 개발
2 교육부(2013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나노센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