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규한 락토코커스 중앙젠시스 CAU 1447 균주

  • 기술번호 : KST202100039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新)균주인 락토코커스 중앙젠시스(Lactococcus chungangensis) CAU 1447 (균주기탁번호: KCTC 13873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들의 간보호, 숙취해소, 알콜성 간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개선) 용도,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장제, 생균제, 사료용 조성물 및 발효제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토코커스 중앙젠시스 CAU 1447은 ADH 및 ALDH 관련 기능성을 가질뿐만아니라,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기 때문에 동물(특히, 인간)의 소화관 내에서 균주가 가지는 기능성을 잘 나타내며 생육하는 능력이 우수하고, 간 보호,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Int. CL C12N 1/20 (2006.01.01) A23C 19/032 (2017.01.01) A23L 29/00 (2016.01.01) A23L 33/135 (2016.01.01) A61K 35/744 (2014.01.01) A61P 1/00 (2006.01.01) A61P 1/16 (2006.01.01) C12R 1/4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83948 (2020.07.08)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06865 (2021.01.1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82691   |   2019.07.09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7.08)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원용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석만 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 (역삼동, JS빌딩)(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희숙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 (역삼동, JS빌딩)(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7.08 수리 (Accepted) 1-1-2020-0708154-1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락토코커스 중앙젠시스(Lactococcus chungangensis) CAU 1447 (균주기탁번호: KCTC 13873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D-글루코오스(D-glucose), D-프룩토오스(D-Fructose), D-만노스(D-Mannose), D-만니톨(D-mannitol), N-아세틸 글루코사민(N-Acethyl glucosamine), 에스쿨린(Esculin), D-셀로비오스(D-Cellobiose), D-말토오스(D-Maltose), D-수크로스(D-sucrose), D-트레할로오스(D-Trehalose) 및 겐티오비오스(Gentiobi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균주
4 4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장용 조성물
5 5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6 6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
7 7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제품
8 8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질환(Alcoholic liver disease)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성 간 질환은 알콜성 간염, 알콜성 간경화 또는 알콜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치즈, 요거트, 버터, 크림, 아이스크림, 유산균 음료, 캐피어, 김치 또는 유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즈는 크림치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12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질환(Alcoholic liver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13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14 14
(1)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우유에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2) 상기 (1) 단계에서 배양된 배양액을 저온 살균하는 단계;(3) 상기 저온 살균한 배양액을 우유와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4) 상기 가열하여 얻어진 치즈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크림치즈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