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복합용매를 도입한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상기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제조방법 및 상기 고분자전해질 복합막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기술번호 : KST2021001401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제조시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용매 후보군의 평가를 통해, 복합용매 후보군을 선택하고 그 비율을 최적화하여 적용한 복합용매를 도입한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상기 고분자전해질 복 합막 제조방법 및 상기 고분자전해질 복합막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M 8/1044 (2016.01.01) H01M 8/1081 (2016.01.01) H01M 8/18 (2015.01.01) B01D 69/12 (2006.01.01) H01M 8/1018 (2016.01.01) B01D 71/0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71762 (2020.12.09)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41429 (2020.12.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8-0147641 (2018.11.26)
관련 출원번호 1020180147641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호영 광주광역시 광산구
2 노성희 광주광역시 서구
3 정지현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아이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 ***호 (역삼동, 혜전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09 수리 (Accepted) 1-1-2020-1337853-3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실리카계 기능성 고분자 및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데, 상기 실리카계 기능성 고분자는 D-ASFP (Diol Alkoxysilane-functionalized Polymer), BD-ASFP(bisphenol dimethylbenzanthracene ASFP), BDP-ASFP (Polydimethylsiloxane ASFP)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상기 실리카계 기능성 고분자 및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DMAc 및 NMP가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된 복합용매에 용해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2 2
제 1항에 있어서,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나피온, 3M아이오노머, 술폰화된 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폴리아릴렌아테르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라디에이션-그라프트된 FEP-g-폴리스티렌(radiation-grafted FEP-g-polystyrene), 라디에이션-그라프트된 PVDF-g-폴리스티렌(radiation-grafted PVDF-g-polystyrene)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3 3
복합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합용매에 실리카계 기능성 고분자 및 이온전도성고분자를 첨가하여 막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막전구체용액을 캐스팅하여 전구체막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막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전구체막을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상기 실리카계 기능성 고분자는 D-ASFP (Diol Alkoxysilane-functionalized Polymer), BD-ASFP(bisphenol dimethylbenzanthracene ASFP), BDP-ASFP (Polydimethylsiloxane ASFP)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상기 복합용매는 DMAc 및 NMP가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막전구체용액은 상기 실리카계 기능성 고분자 및 이온전도성고분자를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전구체막을 진공상태에서 70℃ 이하의 온도, 70℃ 내지 90℃의 온도 및 100℃이상의 온도로 승온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제조방법
4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된 전구체막을 염기성수용액에 침지시켜 처리한 후 증류수에 침지시키고, 다시 산성수용액에 침지시켜 처리한 후 증류수에 침지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제조방법
5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전해질 복합막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6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레독스 흐름전지 또는 연료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장치
7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전해질 복합막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환경부 (주)이노켐텍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R&D) 부분불소계 강화복합막을 도입한 살균수 시스템 개발
2 환경부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R&D) 살균수 시스템 적용을 위한 부분불소계 강화복합막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