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

  • 기술번호 : KST2021001661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브레이스의 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철골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브레이스의 내부에 상변화물질을 충전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브레이스를 구성하는 관체와 심재 사이에 상변화물질을 충전하여 안정적인 에너지 소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브레이스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철골 구조물에 오차 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t. CL E04H 9/02 (2006.01.01) C09K 5/0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25986 (2021.02.25)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28173 (2021.03.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10190   |   2019.01.25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9-0052590 (2019.05.03)
관련 출원번호 1020190052590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25)
심사청구항수 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영규 서울특별시 송파구
2 홍석호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귀용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길 **, **층 (여의도동, 한국화재보험협회)(이로재 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김수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길 **, **층 이로재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여의도동, 한국화재보험협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25 수리 (Accepted) 1-1-2021-0232630-92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1.03.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95613-5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관체(100);T형, I형, H형 및 +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체(100)에 수용되며, 양단에는 철골 구조물(1)에 연결되는 엔드 플레이트(210)와 내부에 다각형 형상의 중공홀(220)이 구비된 심재(200); 및상기 관체(100)와 심재(200) 사이 공간에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이 충진되어, 관체(100) 내주면과 심재(200) 외주면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PCM층(300);으로 구성되고,상기 엔드 플레이트(210)의 일단에는 심재(200)에 형성된 중공홀(220)에 삽입되어 중공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조절되는 로드봉(211)을 더 포함하되,상기 중공홀(220)은 로드봉(211)과 연결되어 좌굴응력이 설정 값 이상으로 작용시 로드봉(211)의 신축 이동이 허용되도록 중공홀(22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체(221) 또는 유압실린더(222)와, 중공홀(220)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심재 지지부(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21)는 스프링, 고무블록,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222)는 심재(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유체가 투입, 배출되는 제1, 2포트(222a, 222b)와, 제1, 2포트(222a, 222b)가 연결/폐쇄되도록 on/off작동되는 유량제어밸브(222c)와, 유량제어밸브(222c)와 연결되며, 심재(200)에 형성된 중공홀(220)의 중앙에 설치되는 좌굴감지부(222d)을 더 포함하여, 좌굴감지부(222d)의 검출값이 좌굴응력 설정 값에 도달하면 유량제어밸브(222c)가 on작동되어 엔드 플레이트(210)의 신축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
4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감지부(222d)는 좌굴에 의해 휘어진 심재(200)가 좌굴감지부(222d)를 가압하면, 제어부가 유량제어밸브(222c)를 on작동되도록 제어부 및 유량제어밸브(222c)와 연결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
5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감지부(222d)는 좌굴에 의해 휘어진 심재(200)가 좌굴감지부(222d)를 가압하면, 압축 유압에 의해 유량제어밸브(222c)가 on작동되도록 중공홀(220)의 내벽면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유량제어밸브(222c)와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 지지부(223)는 중공홀(220) 내부에 위치되는 블록본체(223a)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블록본체(223a)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몸체(223b)와, 몸체(223b)의 타측 내부면에 구비되는 스프링(223c)과, 몸체(223b)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홈(223d)과, 몸체(223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스프링(223c)과 연결되고 타측은 중공홀(22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완충부재(223e)를 더 포함하여, 심재(200)가 심재 지지부(223)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물질이 충진된 신축조절 브레이스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