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지카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100204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지카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용 조성물;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용 키트 및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도마 세포로부터 생산되는 단일클론항체는 '지카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에만 특이적으로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가지는 반면, 동시에 다른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과는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단일클론항체는 지카 바이러스 검출 또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하이브리도마 세포로부터 생산되는 단일클론항체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예후 관찰, 지카 바이러스 또는 지카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의 검출 및 정량적 분석 등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C07K 16/10 (2006.01.01) G01N 33/569 (2017.01.01)
CPC C07K 16/1081(2013.01) G01N 33/56983(2013.01) C07K 2317/92(2013.01) G01N 2333/18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088513 (2019.07.22)
출원인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227251-0000 (2021.03.08)
공개번호/일자 10-2021-0011273 (2021.02.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1031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7.22)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재원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2 김학용 세종특별자치시 달빛로 **,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남앤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서소문동, 정안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7.22 수리 (Accepted) 1-1-2019-0751804-65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6 수리 (Accepted) 4-1-2020-5149268-82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9.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672134-67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1.2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259900-80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11.23 수리 (Accepted) 1-1-2020-1259899-10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12.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916278-89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1.22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089474-43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1.22 수리 (Accepted) 1-1-2021-0089473-08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1.02.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69299-5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지카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며,기탁번호 KCTC18777P의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
2 2
삭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일클론항체는 IgG1 이소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일클론항체는 0
5 5
지카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Ⅲ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기탁번호 KCTC18777P의 하이브리도마 세포
6 6
제1항의 단일클론항체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의 검출용 또는 감염 진단용 조성물
7 7
제1항의 단일클론항체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의 검출용 또는 감염 진단용 키트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제1항의 단일클론항체 이외에 표지체와 축합된 항체; 및 발색기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표지체는 겨자무 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 HRP), 알칼리성 탈인산화효소(Alkaline phosphatase, AP), 글루코오즈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 루시퍼라아제(Luciferase), 베타-디-갈락토시다아제(β-D-galactosidase), 말산탈수소효소(Malate dehydrogenase, MDH),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콜로이드 금(colloidal gold), 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 실리카 나노입자(Silica nanoparticle), 유기 형광물질(Organic fluorescent material), 형광 단백질(Fluorescent protein), 양자점(Quantum dot), 방사성 물질(Radioactive material), 방사성 동위원소(Isotope), 색소(Dy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tube), 그래핀(Graphene) 및 풀러렌(Fulleren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발색기질은 DAB (diaminobenzidine), AEC(3-amino-9-ethylcarbazole), BCIP/NBT (5-bromo-4-chloro-3-indolyl phosphate/nitroblue tetrazolium), BCIP/INT (5-bromo-4-chloro-3-indolyl phosphate/iodonitrotetrazolium), NF (New fuchsin), FRT(Fast Red TR Salt), TMB (3,3',5,5'-tetramethyl bezidine),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및 OPD (o-phenylenediamin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1 11
제1항의 단일클론항체를 지카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료와 접촉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
12 12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이 의심되는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시료에 제1항의 단일클론항체를 적용하는 단계; 및항원-항체 반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분리된 시료는 전혈, 혈장, 혈청, 조직, 세포, 세포파쇄물, 체액, 타액, 뇌척수액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항원-항체 반응은 효소면역흡착검사법(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사선 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 샌드위치 효소면역흡착검사법(Sandwich ELISA),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면역 점 블롯 분석법 (Immunodot blot assay), 면역형광측정법(Immunofluorescence assay, IFA), 면역발광측정법(Immunochemiluminescence assay),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stry), 면역크로마토그래피측정법(Immunochromatography), 측방 유동 면역분석법(Lateral flow immunoassay, LFA), 비색 면역분석법(Colorimetric immunoassay), 분광 면역분석법(Spectrometric immunoassay), 라만 분광 면역분석법(Raman spectroscopic immunoassay), 표면 플라즈몬 공명 면역분석법(Surface plasmon resonance immunoassay), 간섭계 면역분석법(Interferometric immunoassay) 및 육안 측정법(Visual assessmen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충북대학교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지카바이러스 고감도 검출용 단일클론항체 및 랩온어칩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충북대학교 중견연구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조기 진단을 위한 고감도 항체 칩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