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환원 그래핀 산화물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이용한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2635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개시 내용에서는 환원된 후에도 양호한 분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을 개질시킨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켜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을 제조하고, 이를 함유하는 슬러리로 금속 산화물, 예를 들면 (리튬)-니켈-코발트-망간 기반 산화물(NCM)과 같이 열 안정성이 낮은 금속 산화물의 표면을 코팅 또는 캡슐화함으로써 출력 및 수명안정성이 개선된 복합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리튬 2차전지의 양극재가 기재된다.
Int. CL C01B 32/198 (2017.01.01) C01G 53/00 (2006.01.01) H01M 4/36 (2006.01.01) H01M 4/525 (2010.01.01) H01M 4/505 (2010.01.01) H01M 4/6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68360 (2020.06.05)
출원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12899 (2021.02.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90144   |   2019.07.25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6.05)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안희준 서울특별시 용산구
2 황정욱 서울특별시 성북구
3 도광현 서울특별시 성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도담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 에스동 ***호(삼평동,에이치스퀘어)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6.05 수리 (Accepted) 1-1-2020-0581237-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그래핀 산화물 내 에폭시기를 개환시키면서 탄소 원자와 결합하여 수계 매질 내에서 그래핀 산화물의 표면이 음(-)의 전하를 띄도록 하는 아미노기-함유 화합물을 이용하여 그래핀 산화물을 표면 개질하는 단계;b) 상기 표면 개질된 그래핀 산화물을 환원 처리하여 환원 그래핀 산화물(rGO)을 형성하는 단계;c) 액상 매질 내에 상기 환원 그래핀 산화물 및 도전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제1 분산물을 제조하는 단계;d) 상기 제1 분산물을 농축하여 슬러리 형태의 제2 분산물을 형성하는 단계;e) 상기 제2 분산물 및 금속 산화물 입자를 조합하여 제3 분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f) 상기 제3 분산물로부터 액상 매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기-함유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이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일반식 1]NH2-R1-SO3H[일반식 2]NH2-R2-PO3H2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렌기, 방향족 고리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여기서, 치환기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수산화기, 케톤기, 카르복시기, 또는 할로겐기임)
3 3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은 니켈-코발트-망간계 산화물(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일반식 3]Li(NixCoyMnz)O2상기 식에서 x는 0
5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기-함유 화합물은 아미노메탄설폰산(Aminomethanesulfonic acid), 2-아미노에탄설폰산(2-aminoethanesulfonic acid), 3-아미노-1-프로판설폰산(3-amino-1-propanesulfonic acid), 설파닐산(sulfanilic acid), 6-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탈렌설폰산(6-amino-4-hydroxy-2-naphthalenesulfonic acid), 4-아미노-3-히드록시-1-나프탈렌설폰산(4-amino-3-hydroxy-1-naphthalenesulfonic acid), 4-아미노-3-메틸벤젠설폰산(4-amino-3-methylbenzenesulfonic acid), 소디움 5-아미노-9,10-디하이드로안트라센-1-설포네이트(sodium 5-amino-9,10-dihydroanthracene-1-sulfonate), (4-아미노페닐)포스폰산((4-aminophenyl)phosphonic acid), 아미노메틸포스폰산 ((Aminomethyl)phosphonic acid), 3-아미노프로필포스폰산(3-aminopropylphosphonic acid), 4-아미노부틸포스폰산((4-aminobutyl)phosphonic acid), L-2-아미노-4-포스포노부티르산 (L-2-amino-4-phosphonobutyric acid), 및 모노소디움 4-아미노-1-히드록시-1-포스포노부틸포스포네이트 트리히드레이트 (Monosodium (4-Amino-1-hydroxy-1-phosphonobutyl)phosphonate Trihyd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기-함유 화합물은 6-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탈렌설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열 환원 또는 환원제를 이용한 화학적 환원 반응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 환원은 비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그래핀 산화물을 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상기 화학적 환원 반응은 환원제로서, 히드라진(hydrazine), 히드라진 수화물(hydrazine hydrate, N2H4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사용되는 액상 매질은 알코올, 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제1 분산물에 함유된 도전성 나노입자는 탄소 나노튜브(CNT), 카본블랙 및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며, 그리고 상기 도전성 나노입자는, 환원 그래핀 산화물의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300 중량%의 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3 내지 20 nm의 평균 직경, 1 내지 100 ㎛의 평균 길이, 그리고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면 비)는, 적어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는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로듐(Rh)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의 사이즈는 1 내지 100 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물 내 환원 그래핀 산화물의 농도는 1 내지 20 mg/ml이고, 그리고 상기 제2 분산물 내 환원 그래핀 산화물의 농도는 20 내지 100 mg/ml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입자 형태로서, 이의 사이즈는 1 내지 50 ㎛ 범위이고, 그리고상기 제3 분산물 내에서 금속 산화물은 환원 그래핀 산화물 기준으로, 1000 내지 10000 중량% 범위의 량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5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교반 및 10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3 내지 15분에 걸쳐 상기 제2 분산물 및 금속 산화물 입자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
16 16
금속 산화물 입자; 및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 상에 형성되고, 환원 그래핀 산화물 및 도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캡슐화 층;을 포함하는 복합 소재로서,상기 복합 소재 중량을 기준으로, 탄소 성분의 함량은 0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는 니켈-코발트-망간계 산화물(NCM) 재질이고, 이때, 금속 산화물 입자는 1차 입자, 또는 1차 입자가 집합하여 형성된 2차 입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는 5 내지 40 nm 범위의 포어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소재
19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는 적어도 0
20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2차전지용 양극재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기술혁신사업 /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 전략적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RCMS) 고효율 에너지 부품을 위한 용액공정용 전하 전달 소재
2 교육부(2013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생체모방 나노센서시스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