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리튬-황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 기술번호 : KST2021002701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황 전지는, 양극에 포함된, 지르코니아(ZrO2)를 포함하는 산 촉매, 예를 들면 WO3/ZrO2 산 촉매가 황 함유물질이 활성화되어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촉매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지동작 중 발생하는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흡착능력이 뛰어나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 내로 용출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수명 특성과 같은 전기화학적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Int. CL H01M 4/13 (2010.01.01) H01M 4/62 (2006.01.01) H01M 4/38 (2006.01.01) H01M 4/58 (2015.01.01) H01M 10/42 (2014.01.01) H01M 10/052 (2010.01.01) H01M 4/139 (2010.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58880 (2020.05.18)
출원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32773 (2020.11.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58193   |   2019.05.17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5.18)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선양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2 김희민 서울특별시 성동구
3 이선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5.18 수리 (Accepted) 1-1-2020-0496631-16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1.14 수리 (Accepted) 1-1-2021-0047904-1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지르코니아(ZrO2)를 포함하는 산 촉매(acidic catalyst);황 함유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산 촉매는 산화텅스텐(WO3), 산화몰리브데늄(MoO2), 산화니켈(NiO2) 및 산화코발트(CoO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산 촉매는 WO3/ZrO2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WO3/ZrO2 복합체 내의 WO3과 ZrO2의 함량은 금속 몰비로 1:9 내지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산 촉매는 평균 직경이 1㎛ 내지 99㎛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산 촉매는 양극의 전체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0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황 함유 물질은 Li2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황 함유 물질은 S8, 황화 고분자(sulfurized polymer),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물질은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10 10
지르코니아(ZrO2)를 포함하는 산 촉매(acidic catalyst), 탄소 물질 및 황 함유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상기 혼합물을 몰드에 넣고 가압하여 프리스탠딩 필름 양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산 촉매는 산화텅스텐(WO3), 산화몰리브데늄(MoO2), 산화니켈(NiO2) 및 산화코발트(CoO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산 촉매는 WO3/ZrO2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WO3/ZrO2 복합체 내의 WO3과 ZrO2의 함량은 금속 몰비로 1:9 내지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4 14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양극의 전체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산 촉매 0
15 15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가압은 250 내지 1200 MPa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6 16
제1항의 양극;상기 양극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리튬 음극; 및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업기술혁신사업 / 에너지인력양성사업 / 에너지인력양성사업(RCMS) 차세대 리튬이온전지 GET-Future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