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항-바이러스 활성이 향상된 나노천공자

  • 기술번호 : KST202100318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나노천공자의 구조적 변형 또는 개선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치료 효능 향상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면적, 형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특성이 변형된 나노천공자는 열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천공 작용의 효율 증가, 나노천공자의 안정성 증대 및 바이러스 특이성 부여를 통해 항 바이러스 활성이 극대화되었으므로,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t. CL C07K 14/705 (2006.01.01) A61K 38/17 (2006.01.01) A61P 31/14 (2006.01.01) A61P 31/2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22033 (2020.09.22)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35753 (2021.04.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17177   |   2019.09.24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9.22)
심사청구항수 3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권대혁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정영훈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 문석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4 오현석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5 유석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6 황재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2 공병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봉천동), ***호(제니스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9.22 수리 (Accepted) 1-1-2020-1005075-82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1.01.14 수리 (Accepted) 1-1-2021-0049398-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Fc region binding peptide, Fcbp)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2 2
제 1항에 있어서, 융합 단백질은 C-말단에 인테인의 N-말단 도메인이, N-말단에 인테인의 C-말단 도메인이 융합된, 플라스미드
3 3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반복된 2개 이상의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로서, 상기 대형 융합 단백질은 C-말단에 인테인의 N-말단 도메인이, N-말단에 인테인의 C-말단 도메인이 융합된, 플라스미드
4 4
제 3항에 있어서, 융합 단백질은 인테인의 C-말단 도메인,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2개 이상의 막 구조화 단백질 및 인테인의 N-말단 도메인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5 5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로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 인테인의 C-말단 도메인이 융합된, 플라스미드
6 6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로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C-말단에 인테인의 N-말단 도메인이 융합된, 플라스미드
7 7
제 1항의 플라스미드를 발현 및 정제한, 항체에 결합 가능한 막 구조화 단백질(FcBP-MSP)
8 8
제 7항에 있어서,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의 C-말단에 인테인의 N-말단 도메인이, N-말단에 인테인의 C-말단 도메인이 융합된, 항체에 결합 가능한 막 구조화 단백질(FcBP-MSP)
9 9
제 8항에 있어서,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의 N 말단과 C 말단이 접합되어 환형인, 항체에 결합 가능한 막 구조화 단백질(FcBP-MSP)
10 10
제 7항에 있어서, 환원제를 처리하여 정제한, 항체에 결합 가능한 막 구조화 단백질(FcBP-MSP)
11 11
제 1항의 플라스미드를 발현시키고 환원제를 처리하지 않고 정제하여 항체에 결합 가능한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 두 개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된, 항체에 결합 가능한 이중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FcBP-esdMSP)
12 12
제 3항의 플라스미드에 의해 암호화되는, 항체에 결합 가능한 대형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Fc-eslMSP)
13 13
제 5항의 플라스미드에 의해 암호화되고 융합 단백질의 N-말단에 인테인의 C-말단 도메인이 융합된,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
14 14
제 6항의 플라스미드에 의해 암호화되고 융합 단백질의 C-말단에 인테인의 N-말단 도메인이 융합된,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
15 15
제 7항의 항체에 결합 가능한 막 구조화 단백질(FcBP-MSP)을 포함하는 나노천공자
16 16
제 15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미니항체가 결합된, 나노천공자
17 17
제 15항에 있어서, 페길화된(pegylation), 나노천공자
18 18
제 15항에 있어서,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에 대한 수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나노천공자
19 19
제 11항의 항체에 결합 가능한 이중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FcBP-esdMSP)을 포함하는 이중 나노천공자
20 20
제 19항에 있어서, 이황화 결합(disulfide bond)으로 두 개의 나노천공자가 연결된, 이중 나노천공자
21 21
제 19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미니항체가 결합된, 이중 나노천공자
22 22
제 19항에 있어서,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에 대한 수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중 나노천공자
23 23
제 19항에 있어서, 페길화된, 이중 나노천공자
24 24
제 12항의 항체에 결합 가능한 대형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Fc-eslMSP)을 포함하는 나노천공자
25 25
제 24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미니항체가 결합된, 나노천공자
26 26
제 24항에 있어서, 페길화된, 나노천공자
27 27
제 24항에 있어서,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에 대한 수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나노천공자
28 28
제 13항의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천공자, 및 제 14항의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천공자가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이중 나노천공자
29 29
제 28항에 있어서, 두 나노천공자의 인테인의 N-말단 도메인 및 인테인의 C-말단 도메인이 결합하여 형성된 인테인이 제거되어 두 나노천공자가 공유결합된, 이중 나노천공자
30 30
제 28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미니항체가 결합된, 이중 나노천공자
31 31
제 28항에 있어서, 페길화된, 이중 나노천공자
32 32
제 28항에 있어서,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에 대한 수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중 나노천공자
33 33
제 15항, 제 19항, 제 24항 또는 제 28항의 나노천공자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4 34
제 33항에 있어서,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 과(Family Coronaviridae), 버니아바이러스 과(Bunyaviridae), 필로바이러스 과(Filoviridae), 플라비바이러스 과(Flaviviridae), 헤파드나바이러스 과(Hepadnaviridae), 헤르페스바이러스 과(Herpesviridae), 오스소믹소바이러스 과(Orthomyxoviridae), 폭스바이러스 과(Poxviridae), 랍도바이러스 과(Rhabdoviridae), 레트로바이러스 과(Retroviridae) 및 토가바이러스 과(Togavirida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바이러스인,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5 35
제 1항의 플라스미드를 발현시키는 단계;환원제를 처리하여 항체에 결합 가능한 막 구조화 단백질(FcBP-MSP)을 정제하는 단계; 및자가조립과정으로 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방법
36 36
제 1항의 플라스미드를 발현시키는 단계;환원제를 배제하여 두 개의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이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된 항체에 결합 가능한 이중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FcBP-esdMSP)을 정제하는 단계; 및자가조립과정으로 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방법
37 37
제 3항의 플라스미드를 발현시키는 단계;반복된 2개 이상의 막 구조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항체에 결합 가능한 대형 환형 막 구조화 단백질(Fc-eslMSP)을 정제하는 단계; 및 자가조립과정으로 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형 이중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방법
38 38
제 5항의 플라스미드를 발현 및 정제하여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얻는 단계;자가조립과정으로 제 1 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단계;제 6항의 플라스미드를 발현 및 정제하여 Fc 영역 결합 펩타이드 및 막 구조화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을 얻는 단계;자가조립과정으로 제 2 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제 1 나노천공자와 제 2 나노천공자를 공유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나노천공자를 제조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