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1003198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환원연료가 공급되는 제 1 공급부, 상기 이산화탄소가 환원되는 환원극 및 이산화탄소 환원생성물을 배출하는 제 1 배출부를 포함하는 환원전극부; 질소화합물이 포함된 산화연료가 공급되는 제 2 공급부, 상기 질소화합물이 산화되는 산화극 및 질소화합물 산화생성물을 배출하는 제 2 배출부를 포함하는 산화전극부; 상기 환원극 및 산화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이온교환부; 및 상기 환원극 및 산화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을 제공 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에너지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이산화탄소 전환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Int. CL C25B 1/00 (2021.01.01) C25B 3/25 (2021.01.01) C25B 15/08 (2006.01.01) C25B 9/23 (2021.01.01) C25B 13/08 (2006.01.01) C02F 1/467 (2006.01.01) C02F 101/16 (2006.01.01)
CPC C25B 1/00(2013.01) C25B 3/25(2013.01) C25B 15/08(2013.01) C25B 9/23(2013.01) C25B 13/08(2013.01) C02F 1/467(2013.01) C02F 2101/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17549 (2019.09.24)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35575 (2021.04.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9.24)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영 광주광역시 북구
2 박기범 광주광역시 북구
3 정선기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상수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길 ** *층 (브릿지웰빌딩)(에이치앤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9.24 수리 (Accepted) 1-1-2019-0976404-71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2.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19838-5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환원연료가 공급되는 제 1 공급부, 상기 이산화탄소가 환원되는 환원극 및 이산화탄소 환원생성물을 배출하는 제 1 배출부를 포함하는 환원전극부;질소화합물이 포함된 산화연료가 공급되는 제 2 공급부, 상기 질소화합물이 산화되는 산화극 및 질소화합물 산화생성물을 배출하는 제 2 배출부를 포함하는 산화전극부;상기 환원극 및 산화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이온교환부; 및상기 환원극 및 산화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환원연료는 제 1 전해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3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전해질은 KHCO3, K2CO3, KOH, KCl, KClO4, K2SiO3, Na2SO4, NaNO3, NaCl, NaF, NaClO4, CaCl2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환원극은 Cu, Au, Ag, Zn, Sn, Pb, In, Hg, CuO, Cu2O, 탄소 담지 금속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질소화합물이 포함된 산화연료는 제 2 전해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6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해질은 KHCO3, K2CO3, KOH, KCl, KClO4, K2SiO3, Na2SO4, NaNO3, NaCl, NaF, NaClO4, CaCl2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7 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질소화합물이 포함된 산화연료는 생활폐수 또는 산업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8 8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질소화합물은 암모니아(NH3), 암모니아 보레인(NH3BH3), 하이드라진(N2H4), 일산화질소, 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9 9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산화극은 Pt, Ir, Rh, Ru, Fe, Ni, IrO2, RuO2, 탄소담지 금속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10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이온교환막은 양이온 교환막, 음이온 교환막, 또는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이 접합된 혼합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11 11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양이온 교환막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설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12 12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음이온 교환막은 불소계 물질 또는 탄화수소계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13 1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이온교환막의 두께는 1 μm 내지 15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화합물 동시 전환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과학기술원 기후변화대응 기초원천기술개발과제 알칼라인 하이드라진 연료전지 MEA용 100% 비귀금속 촉매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