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체 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3225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고체 전해질이 제공된다. 상기 고체 전해질은, 양이온 및 음이온이 결합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의 분자량은 분자량 95g/mol 이상이고, 상기 음이온의 분자량 60g/mol 초과이고 수소이온농도(pH)가 3미만이고, 상기 화합물의 용융 엔트로피(entropy of fusion)가 15~25J/Kmol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1M 10/0566 (2010.01.01) H01B 1/12 (2006.01.01) H01M 10/0525 (2010.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37907 (2021.03.24)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35797 (2021.04.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043850   |   2018.04.16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9-0044511 (2019.04.16)
관련 출원번호 1020190044511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3.24)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정호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2 삼바지 시바지 신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3 김동형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상열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층 ****호(나눔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최내윤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동 ***호(나눔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3.24 수리 (Accepted) 1-1-2021-0345110-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양이온 및 음이온이 결합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의 분자량은 분자량 95g/mol 이상이고, 상기 음이온의 분자량 60g/mol 초과이고 수소이온농도(pH)가 3미만이고, 상기 화합물의 용융 엔트로피(entropy of fusion)가 15~25J/Kmol인 것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2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이 결합된 상기 화합물은 결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3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이 결합된 상기 화합물은, 사방정계(orthorhombic)의 결정 구조를 갖고,상기 결정 구조의 꼭지점 및 면의 중심에 상기 양이온이 제공되고,상기 결정 구조의 모서리 가운데에 상기 음이온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4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구조의 칩입형 자리(interstitial sites)에 리튬 염이 임의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5 5
제1 항에 있어서, 45~130mS/cm의 이온 전도도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6 6
제1 항에 있어서, 투명성 및 유연성을 갖는 고체 전해질
7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은, 티오페늄, 티아졸륨, 포스포라늄, 티아졸리디늄, 또는 옥사티오라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8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플루오로하이드로제네이트, 시아노(니트로로소)메타나이드, 또는 테트라졸리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9 9
양이온 및 음이온이 결합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이 티아졸륨을 포함하고,상기 음이온은, 시아노(니트로로소)메타나이드, 또는 테트라졸리딘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10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티아졸륨의 질소 원소와 결합된 에틸기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11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티아졸륨의 질소 원소와 결합된 아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