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단백질 응집체 저해제

  • 기술번호 : KST2021004175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저해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4-(디메틸아미노)-6-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피리딘카보나이트릴, 3-(메틸설포닐)-1,3-벤조옥사졸-2(3H)-온, 에스트리올 및 2-(4-(3Z)-3-[2-(트리플루오로메틸)-9H-티오잔텐-9-일리덴]프로필-1-피페라지닐)에탄올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AIMP2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고, 이미 형성된 단백질 응집체를 분해하는 효과를 가지며, 세포 독성 억제 활성을 가지므로,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형성으로 인한 질환 또는 장애의 예방, 치료 및 완화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Int. CL C07D 213/74 (2006.01.01) A61K 31/44 (2006.01.01) A61K 31/423 (2006.01.01) A61K 31/382 (2006.01.01) A61K 31/565 (2006.01.01) C07D 263/58 (2006.01.01) C07D 335/10 (2006.01.01) C07J 1/00 (2006.01.01) A61P 25/28 (2006.01.01) G01N 33/68 (2006.01.01)
CPC C07D 213/74(2013.01) A61K 31/44(2013.01) A61K 31/423(2013.01) A61K 31/382(2013.01) A61K 31/565(2013.01) C07D 263/58(2013.01) C07D 335/10(2013.01) C07J 1/007(2013.01) A61P 25/28(2013.01) G01N 33/68(2013.01) G01N 2500/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24382 (2019.10.08)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41755 (2021.04.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08)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연종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2 신정용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 함상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4 김효정 대구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2 공병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봉천동), ***호(제니스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08 수리 (Accepted) 1-1-2019-1025213-3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9.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11.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0-0175302-30
4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1.01.14 수리 (Accepted) 1-1-2021-0049398-44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3.0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85032-5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들 중 하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를 감소시키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화학식 1][화학식 2][화학식 3]; 또는[화학식 4]
2 2
제 1항에 있어서,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프리온(Prion), 폴리글루타민(Polyglutamine), 토신A(torsinA), 아밀로이드 트랜스티레틴(Amyloid Transthyretin), 아밀로이드성 단백질, 루이소체(Lewy body), 타우(Tau),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또는 AIMP2(Aminoacyl-tRNA synthetase complex interacting multifunctional protein-2) 응집체인,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를 감소시키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3
제 1항에 있어서, 이미 형성된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를 분해하는,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를 감소시키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4 4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들 중 하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관련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완화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화학식 1][화학식 2][화학식 3]; 또는[화학식 4]
5 5
제 4항에 있어서,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관련 질환 또는 장애는 파킨슨질환, 헌팅턴 질환(Huntington's disease), 다계통성 신경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루게릭 병(amyolateral sclerosis), 폴리글루타민 확장증(polyglutamine expansion disease), 척수소뇌성 실조증(spinocerebellar ataxia), 척수 및 연수 근육위축(spinal and bulbar muscular atrophy), 타우증(tauopathy), 근육긴장 이상(dystonia), 서핀 결핍증(Serpin deficiency), 경변증(cirrhosis), 제 Ⅱ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s),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hereditary cerebral amyloidangiopathy),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치매(dementia), 알츠하이머 병(AD), 가족성 AD, 루이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LBD),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radiotherapy induced dementia), 권투선수 치매(dementia pugilistica), 다운 증후군, 게르스트만-슈트라우슬러 샤인커병, 봉입체 근염(inclusion-body myositis), 프리온 단백질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prion protein cerebral amyloid angiopathy), 축색 돌기 상해(axon injury), 급성확산성 피질억제(acute cortical spreading depression),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alpha-synucleinopathies), 괌의 파킨슨증-치매 복합증(Parkinsonism-dementia complex of Guam), 신경 섬유 엉킴을 갖는 비-과메니언 운동 뉴런 질환(non-Guamanian motor neuron disease with neurofibrillary tangles), 은친화성 입자 질환(argyrophilic grain disease), 피질기저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석회화가 있는 확산 신경 섬유 엉킴(diffuse neurofibrillary tangles with calcification),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증이 있는 전두측두부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with Parkinsonism linked to chromosome 17), 할러포르덴-스파츠병(Hallervorden-Spatz disease), 뇌졸증(stroke), 뇌경색(cerebral infarct), 머리외상(head trauma), 뇌동맥 경화증(cerebral arteriosclerosis), 뇌허혈(brainischemia), 영구 중뇌 허혈(permanent focal cerebralischemia), 말초 신경 재생(peripheral nerveregeneration), 중첩성 간질 후 모델(post-status epilepticusmodel),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니만-피크 병 C형(Niemann-Pick disease type C), 팔리도-폰토-니그랄 변성(pallido-ponto-nigral degeneration), 픽병, 진행성 피질하 신경아교증(progressive subcortical gliosis), 진행성 핵상 마비(PSP: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엉킴만 있는 치매(tangle only dementia),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뇌염후 파킨슨증, 근긴장성 이영양증(myotonic dystrophy), 타우 범뇌병증(Tau panencephalopathy), 성상세포가 있는 AD 유사증(AD-like with astrocytes), 노년 심 아밀로이드증(senile cardiac amyloidosis), 내분비 종양, 녹내장, 안구 아밀로이드증(ocular amyloidosis), 원발성 망막 변성(primary retinal degeneration), 시신경 드루젠(optic nerve drusen), 시신경병증(optic neuropathy), 시신경염(optic neuritis), 및 격자 이상증(lattice dystrophy), 산발성루게릭병(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및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관련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6 6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들 중 하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화학식 1][화학식 2][화학식 3]; 또는[화학식 4]
7 7
제 6항에 있어서, 신경퇴행성 질환은 파킨슨질환, 헌팅턴 질환, 다계통성 신경 위축증,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루게릭 병, 폴리글루타민 확장증, 척수소뇌성 실조증, 척수 및 연수 근육위축, 타우증, 근육긴장 이상, 서핀 결핍증, 경변증, 제 Ⅱ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 치매, 알츠하이머 병, 가족성 AD, 루이소체 치매,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 권투선수 치매, 다운 증후군, 게르스트만-슈트라우슬러 샤인커병, 봉입체 근염, 프리온 단백질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축색 돌기 상해, 급성확산성 피질억제,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 괌의 파킨슨증-치매 복합증, 신경 섬유 엉킴을 갖는 비-과메니언 운동 뉴런 질환, 은친화성 입자 질환, 피질기저 변성, 석회화가 있는 확산 신경 섬유 엉킴,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증이 있는 전두측두부 치매, 할러포르덴-스파츠병, 뇌졸증, 뇌경색, 머리외상, 뇌동맥 경화증, 뇌허혈, 영구 중뇌 허혈, 말초 신경 재생, 중첩성 간질 후 모델, 척수손상, 니만-피크 병 C형, 팔리도-폰토-니그랄 변성, 픽병, 진행성 피질하 신경아교증, 진행성 핵상 마비,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엉킴만 있는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뇌염후 파킨슨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타우 범뇌병증, 성상세포가 있는 AD 유사증, 노년 심 아밀로이드증, 내분비 종양, 녹내장, 안구 아밀로이드증, 원발성 망막 변성, 시신경 드루젠, 시신경병증, 시신경염, 및 격자 이상증, 산발성루게릭 및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8
1) 후보 화합물을 응집체 형성 단백질과 반응시키고;2) ThT(thioflavin T)와 반응시켜 형성된 응집체를 정량화하며; 및3) 후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ThT 형광 수치가 낮은 화합물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형성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9 9
제 8항에 있어서, 응집체 형성 단백질은 베타-아밀로이드, 프리온, 폴리글루타민, 토신A, 아밀로이드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성 단백질, 루이소체, 타우, 알파-시누클레인 및 AIMP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형성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10 10
1) 응집체를 형성하고;2) 후보 화합물을 형성된 응집체에 처리하며;3) ThT와 반응시켜 응집체를 정량화하고; 및4) 후보 화합물 처리 전과 비교하여 ThT 형광 수치가 낮아진 화합물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병변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1 11
제 10항에 있어서, 응집체는 베타-아밀로이드, 프리온, 폴리글루타민, 토신A, 아밀로이드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성 단백질, 루이소체), 타우, 알파-시누클레인 및 AIMP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응집체인, 비정상 단백질 응집체 병변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저핵 장애 관련 뇌병변 표현 신규 동물 모델 개발
2 교육부 성균관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 루이체 형성 및 병변 전파의 분자 기작 연구 및 진단과 제어 전략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