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유전자 진단 유닛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100425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유전자 증폭 반응을 이용하여 병원체를 진단할 수 있는 유전자 분석 유닛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분석 유닛은 유전자 증폭 반응이 일어나는 미세유체칩; 상기 미세유체칩이 삽입되는 슬릿(slit); 상기 슬릿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릿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매크로 렌즈(macro lens); 상기 슬릿의 타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미세유체칩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heater); 및 상기 히터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히터의 측면에 위치하는 파워 컨버터(power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B01L 3/00 (2006.01.01) B01L 7/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2020210000929 (2021.03.25)
출원인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20-2021-0000843 (2021.04.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변경
원출원번호/일자 10-2019-0125268 (2019.10.10)
관련 출원번호 1020190125268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3.25)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태석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응우엔 하우 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호,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변경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서
[Converted Application]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21.03.25 수리 (Accepted) 1-1-2021-0353150-3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유전자 증폭 반응이 일어나는 미세유체칩;상기 미세유체칩이 삽입되는 슬릿(slit);상기 슬릿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슬릿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매크로 렌즈(macro lens);상기 슬릿의 타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미세유체칩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heater); 및상기 히터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히터의 측면에 위치하는 파워 컨버터(power converter)를 포함하는,유전자 진단 유닛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매크로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들을 더 포함하는,유전자 진단 유닛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릿은 상기 미세유체칩의 형태에 대응되며, 상기 미세유체칩은 플레이트(plate) 형태로 상기 슬릿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유전자 진단 유닛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미세유체칩은,유전자 증폭 반응 혼합물이 주입되는 주입구;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유전자 증폭 반응 혼합물을 상기 주입구로부터 전달받는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상기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과 연결된 웨이스트 챔버(waste chamber); 및상기 웨이스트 챔버와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유전자 진단 유닛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은 타원형인,유전자 진단 유닛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주입구와 주입 채널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웨이스트 챔버의 일단과 웨이스트 채널(waste channel)로 연결되며, 상기 웨이스트 챔버의 타단은 상기 공기 배출구와 배출 채널로 연결된,유전자 진단 유닛
7 7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 중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반응 챔버들은 프라이머(primer)로 표면이 코팅된,유전자 진단 유닛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주입 채널과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의 표면은 친수성(hydrophilic) 물질로 코팅된,유전자 진단 유닛
9 9
제4항에 있어서,상기 매크로 렌즈는 상기 슬릿에 삽입된 미세유체칩 내부의 복수 개의 반응 챔버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유전자 진단 유닛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히터는 PID 제어기(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ler)를 포함하는,유전자 진단 유닛
11 11
제2항에 있어서,상기 파워 컨버터의 일단은 상기 히터와 연결되고,상기 파워 컨버터의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LED들과 연결되는,유전자 진단 유닛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전자 진단 유닛은,3D 프린터로 제조되는,유전자 진단 유닛
13 13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제1항의 유전자 진단 유닛을 포함하며,상기 유전자 진단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되는,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 시스템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유전자 진단 유닛은,상기 매크로 렌즈가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 시스템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파워 컨버터의 일단은 상기 히터와 연결되고,상기 파워 컨버터의 타단은 복수 개의 LED들 및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와 연결되는,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결정 기능화 공정기술 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