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공유결합 트리아진 구조체를 이용한 알코올 투과증발용 복합 분리막

  • 기술번호 : KST2021004386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유결합 트리아진 구조체(Covalent Triazine Framework, CTF)는 높은 소수성과 큰 기공크기를 가지므로, 개질 단계를 따로 수행하지 않아도 PDMS 등의 소수성 유기고분자 화합물과 친화성이 높아 균일한 분리막의 제작이 가능하며, 높은 알코올 분리 성능 및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t. CL B01D 71/70 (2006.01.01) B01D 69/1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30596 (2020.10.08)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44160 (2021.04.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26209   |   2019.10.1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0.08)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정현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윤성호 서울특별시 성북구
3 이주연 경상남도 산청군
4 박홍진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0.08 수리 (Accepted) 1-1-2020-1068342-88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3.1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지지체 상에 소수성 유기고분자 화합물 및 공유결합 트리아진 구조체(Covalent Triazine Framework, CTF)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가교시켜 선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알코올은 부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또는 부탄다이올인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체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비닐 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셀룰로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터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polysulfone(PSF), 폴리이서설폰(polyethersulfone, PES) 및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PB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유기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1-트리메틸실릴-1-프로핀)(poly(1-trimethylsilyl-1-propyne), PTMSP), 폴리스틸렌(polystyrene),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트리블락코폴리머(styrenebutadi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BS), 폴리부틸스틸렌부타디엔러버(polybutyl styrene butadiene rubber, SBR),에틸렌프로필렌디엔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PDM),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polytetrauoroethylene, PTF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테르블락아미드(polyether block-amide, PEBA), 폴리비닐리딘플로우라이드(polyvinylidinediuoride, PVDF) 및 폴리메톡시실록산(polymethoxysiloxane, PMS)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TF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와 결합하여 기공을 형성하는 프레임 리간드를 포함하며,상기 기공은 하나 이상인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트리아진이고, 상기 프레임 리간드는 바이페닐(biphenyl), 페닐(phenyl), 나프탈렌(naphthalene), 피렌(pyrene), 피리딘(pyridine), 피롤(pyrrole), 포스핀(phosphine), 트리페닐아민(triphenylamine), 포피린(phopyrrine), 바이피리딘(biphyridine), 바이포스피닌(biphosphinine), 바이피롤(bipyrrole), 페닐피리딘(phenylpyridine), 바이피리미딘(bipyrimidine), 바이이미다졸(biimidazole) 및 바이싸이오펜(bithioph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TF에서 하나의 기공의 크기는 0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TF의 단분자의 분자량은 800 g/mol 내지 2,500 g/mol인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9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TF의 함량은 소수성 유기고분자 화합물의 함량 대비 0
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의 용매는 n-헥산(n-hexane), 펜탄(pentan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벤젠(benzene), 자일렌(xylene), 톨루엔(toluene), 클로로폼(choloroform),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및 아이소파라핀(isoparaffin)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11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에 코팅 용액을 바 코팅(bar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또는 딥 코팅(dip coating)으로 코팅하여 선택층을 형성시키는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12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는 지지체 상에 코팅 용액을 코팅하고, 20 내지 35℃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50 내지 150℃에서 15 내지 30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수행되는 것인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의 제조 방법
13 13
지지체 상에 소수성 유기고분자 화합물 및 공유결합 트리아진 구조체(Covalent Triazine Framework, CTF)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가교시켜 선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고,지지체; 및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선택층을 포함하는 알코올 분리용 복합 분리막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유해물질의 고속제거를 위한 다기능성 물질 기반 고성능·저오염 나노여과 분리막 개발
2 환경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R&D) NF/LPRO막 기반 고도정수처리 막오염 제어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