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중 반복 구조의 박막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고체산화물 전해조

  • 기술번호 : KST202100449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박막 전해질의 낮은 재현성과 내구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중 반복 구조의 박막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단전지, 단전지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단전지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조에 관한 것으로, 다층의 전해질층은 서로 인접하는 계면에서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인접하는 전해질층의 응력이 안정적으로 분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t. CL H01M 8/1246 (2016.01.01) C25B 13/02 (2021.01.01) C25B 13/04 (2021.01.01) C25B 1/04 (2021.01.01) H01M 8/124 (2016.01.01)
CPC H01M 8/1246(2013.01) C25B 13/02(2013.01) C25B 13/04(2013.01) C25B 1/04(2013.01) H01M 2008/1293(2013.01) H01M 2300/009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28473 (2019.10.16)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45118 (2021.04.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16)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배중면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강성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재석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배민석 대전광역시 유성구
5 김태홍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16 수리 (Accepted) 1-1-2019-1054836-34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10.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1.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019378-19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3.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206347-6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연료극과 공기극 사이에 다층 구조의 전해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구조의 전해질층은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상이한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를 갖는 두 종류의 전해질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2 2
제1항에 있어서,다층 구조의 전해질 층은, 연료극 상에 제1전해질층, 제2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며,상기 제2전해질층은, 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과 상이한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3 3
제2항에 있어서,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은, 서로 동일한 열 팽창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4 4
제2항에 있어서,제3전해질층 상에 제4전해질층이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제4전해질층은 제2전해질층과 동일한 열 팽창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5 5
제4항에 있어서,고체산화물 전해질은, 평균 온도 400 내지 900 ℃ 에서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식 1]│CTEa - CTEb│≤10×10-6/K식 1에서, CTEa 는 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의 열팽창계수이며, CTEb 는 제2전해질층 및 제4전해질층의 열팽창계수이다
6 6
제4항에 있어서,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은 이트리움-안정화 지르코니아(YSZ, Yttria-stabilized zirconia),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SSZ, scandia-stabilized zirconia), 이트륨 도핑된 바륨 지르코니네이트(BZY, yttrium doped barium zirconate), 이트륨 도핑된 바륨 세레이트(BCY, yttrium doped barium cerate), 이트륨 도핑된 바륨 지르코네이트와 바륨 세레이트의 고용체(BZCY) 또는 스트론튬 망간 도핑 란타늄 갈레이트 (LSGM, strontium manganese-doped lanthanum gallate) 를 포함하며, 제2전해질층 및 제4전해질층은 가돌리늄-도핑 세리아(GDC, Gadolinium-doped ceria), 사마륨 도핑 세리아(SDC, samarium-doped ceria), 이트륨 도핑 세리아(YDC, Yittrium -Doped ceria) 또는 란타늄 도핑 세리아(LDC, Lanthanum-Doped Ceri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7 7
제4항에 있어서,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은 이트리아-안정화 지르코니아(YSZ, Yttria-stabilized zirconia)를 포함하며,제2전해질층 및 제4전해질층은 가돌리늄-도핑 세리아(GDC, Gadolinium-doped ceri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8 8
제4항에 있어서,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의 두께는 0
9 9
제2항에 있어서, 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은, 가돌리늄-도핑 세리아(GDC, Gadolinium-doped ceria), 사마륨 도핑 세리아(SDC, samarium-doped ceria), 이트륨 도핑 세리아(YDC, Yittrium-Doped ceria) 또는 란타늄 도핑 세리아(LDC, Lanthanum-Doped Ceria)를 포함하며,제2전해질층은, 이트리아-안정화 지르코니아(YSZ, Yttria-stabilized zirconia),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SSZ, scandia-stabilized zirconia), 이트륨 도핑된 바륨 지르코니네이트(BZY, yttrium doped barium zirconate), 이트륨 도핑된 바륨 세레이트(BCY, yttrium doped barium cerate), 이트륨 도핑된 바륨 지르코네이트와 바륨 세레이트의 고용체(BZCY) 또는 스트론튬 망간 도핑 란타늄 갈레이트 (LSGM, strontium manganese-doped lanthanum gallat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10 10
제2항에 있어서, 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은, 가돌리늄-도핑 세리아(GDC, Gadolinium-doped ceria)를 포함하며,제2전해질층은, 이트리아-안정화 지르코니아(YSZ, Yttria-stabilized zirconi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
11 11
제9항에 있어서,제1전해질층 및 제3전해질층의 두께는 0
12 12
연료극 상에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전해질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다층 구조의 전해질층은 서로 상이한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를 갖는 두 종류의 전해질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다층의 전해질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화학적 기상 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적 용액 증착법(CSD, Chemical Solution Deposition) 및 스프레이 열분해(Spray pyrolysis), 졸겔법(sol-gel), 스프레이 코팅법(spray coating) 및 스핀 코팅법(spin coating)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박막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질의 제조방법
14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체산화물 전해질을 포함하는 단전지
15 15
제14항에 있어서,단전지는, 연료극;연료극 상부에 적층되며, 적어도 두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전해질층 및 제1전해질층과 3전해질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해질층; 및전해질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공기극; 을 포함하며,상기 제2전해질층은 제1전해질층과 상이한 열 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전지
16 16
제14항에 있어서,연료극은, 다공성의 지지체; 및 다공성의 지지체의 상부에 적층되는 연료극 기능층을 포함하는 단전지
17 17
제14항에 따른 단전지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18 18
제14항에 따른 단전지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전해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원천기술개발사업 (EZBARO)에너지 클라우드 연계를 위한 테스트 베드 통합 시스템 개발
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과학기술원 산업기술혁신사업 (RCMS)고체산화물연료전지용 부품소재 핵심기술 고급트랙(2019)
3 산업통상자원부 에이치앤파워(주) 산업기술혁신사업 (RCMS) 발전용 확장이 가능한 고효율 모듈형 SOFC 시스템 개발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원천기술개발사업 (EZBARO)금속나노입자 기반 복합촉매 소재 원천기술 및 고성능 연료전지 실증(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