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511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어느 일면에 몰리브덴층(Mo layer)을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리브덴층의 적어도 어느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씨스루(see-through)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씨스루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과 상기 몰리브덴층 상에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버퍼층 및 투명전극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상기 투명전극층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씨스루 패턴 영역 상에 형성된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버퍼층 및 투명전극층을 제거하여 상기 씨스루 패턴의 형상에 따른 씨스루 어레이(see-through array)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1L 31/0445 (2014.01.01) H01L 31/18 (2006.01.01) H01L 31/0236 (2006.01.01) H01L 31/0224 (2006.01.01) H01L 31/0392 (2006.01.01) H01L 31/032 (2006.01.01) H01L 21/7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32026 (2020.03.16)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52147 (2021.05.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37907   |   2019.10.3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3.16)
심사청구항수 3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증현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유형근 서울특별시 성북구
3 박종극 서울특별시 성북구
4 김원목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남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길 *-*, *층 (양재동, 가람빌딩)(율민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김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길 *-*, *층 (양재동, 가람빌딩)(율민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이인행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길 *-*, *층 (양재동, 가람빌딩)(율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3.16 수리 (Accepted) 1-1-2020-0275092-3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12.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어느 일면에 몰리브덴층(Mo layer)을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몰리브덴층의 적어도 어느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씨스루(see-through)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씨스루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과 상기 몰리브덴층 상에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버퍼층 및 투명전극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상기 투명전극층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씨스루 패턴 영역 상에 형성된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버퍼층 및 투명전극층을 제거하여 상기 씨스루 패턴의 형상에 따른 씨스루 어레이(see-through array)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레이저 가공 방법으로 상기 몰리브덴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는 상기 기판을 투과하며 상기 몰리브덴층이 흡수 가능한 파장 대역의 광원을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see-through array)를 형성하는 단계는,레이저 가공 방법으로 상기 씨스루 패턴 영역 상에 형성된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상기 버퍼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는 상기 기판을 투과하며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이 흡수 가능한 파장 대역의 레이저 광원을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광의 세기는, 상기 몰리브덴층,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버퍼층 및 투명전극층을 동시에 패터닝하기 위한 임계(threshold) 에너지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광의 세기는, 상기 씨스루 패턴이 형성된 영역의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버퍼층 및 투명전극층을 동시에 패터닝하기 위한 임계 에너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어느 일면에 몰리브덴층을 구비하는 기판의 타면에 상기 레이저 광원을 입사시켜, 상기 기판의 전 영역 또는 상기 씨스루 패턴이 형성된 영역 부근에 스캔하여 상기 씨스루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7 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레이저 광원의 빔 크기를 복수개의 씨스루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도록 증가시켜, 상기 기판의 전 영역 또는 상기 씨스루 패턴이 형성된 영역 부근에 스티치(stitch) 방식으로 상기 빔 크기가 허용되는 범위에서 한 번에 조사하여 복수개의 상기 씨스루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8 8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는 홀(hole) 또는 라인(line)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9 9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홀의 직경 또는 상기 라인의 폭은 200㎛ 이하(0초과)인,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0 10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홀의 직경 또는 상기 라인의 폭은 100㎛ 이하(0초과)인,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1 11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패턴은 상기 몰리브덴층을 오프셋하여 스트립 형태로 분할하는 P1 스크라이빙 패턴과 동시에 형성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버퍼층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및 상기 버퍼층의 적어도 어느 일부를 제거하되, 상기 P1 스크라이빙 패턴을 기준으로 오프셋하여 스트립 형태로 분할하는 P2 스크라이빙 패턴을 형성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3 13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전극층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투명전극층의 적어도 어느 일부를 제거하되, 상기 P2 스크라이빙 패턴을 기준으로 오프셋하여 스트립 형태로 분할하는 P3 스크라이빙 패턴을 형성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는 상기 P1 스크라이빙 패턴, 상기 P2 스크라이빙 패턴 및 상기 P3 스크라이빙 패턴 라인과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5 15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는 모듈의 끝에서 끝까지 연결된, 또는 부분적으로 끊어진 형태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밴드 형태로 형성된,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6 1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버퍼층은 CdS, Zn(O,S), Sn-doped ZnOx, Ti-doped ZnOx, i-ZnOx 및 Mg-doped ZnOx, (Mg,Al)-doped ZnOx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7 1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전극층은 In-doped SnOx, Al-doped ZnOx, In-doped ZnOx, Ga-doped ZnOx, B-doped ZnOx, Ag nanowire, graphene, carbon nanotube, Ag, Mg:Ag 합금, Au 및 OMO(metal oxide/thin metal/metal oxide) 구조의 전극재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8 18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몰리브덴층 상에 투명 산화물 전극층을 더 형성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9 19
제 1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과 상기 몰리브덴층 사이에 투명 산화물 전극층을 더 개재하는, 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20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 산화물 전극층은 In-doped SnOx, F-doped SnOx, Al-doped ZnOx, In-doped ZnOx, Ga-doped ZnOx, (In,Ga)-doped ZnOx, (Al,Mg)-doped ZnOx 및 B-doped ZnOx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1 21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 산화물 전극층은 컨택홀(contact hole)을 구비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2 22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 산화물 전극층의 두께는 0
23 23
어느 일면에 몰리브덴층(Mo layer)을 구비하는 기판;상기 몰리브덴층 상에 형성된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상에 형성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된 투명전극층; 및상기 몰리브덴층,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상기 버퍼층 및 상기 투명전극층의 적어도 어느 일부가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관통된 씨스루 어레이;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24 24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몰리브덴층과 상기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사이에 투명 산화물 전극층이 더 개재된,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25 25
제 23 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상기 기판과 상기 몰리브덴층 사이에 투명 산화물 전극층이 더 개재된,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26 26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 산화물 전극층은 컨택홀(contact hole)을 구비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27 27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는 홀(hole) 또는 라인(line)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28 28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홀의 직경 또는 상기 라인의 폭은 200㎛ 이하(0초과)인,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29 29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홀의 직경 또는 상기 라인의 폭은 100㎛ 이하(0초과)인,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30 30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는 상기 몰리브덴층을 오프셋하여 스트립 형태로 분할하는 P1 스크라이빙 패턴, 상기 P1 스크라이빙 패턴을 기준으로 오프셋하여 스트립 형태로 분할하는 P2 스크라이빙 패턴 및 상기 P2 스크라이빙 패턴을 기준으로 오프셋하여 스트립 형태로 분할하는 P3 스크라이빙 패턴 라인과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31 31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씨스루 어레이는 모듈의 끝에서 끝까지 연결된, 또는 부분적으로 끊어진 형태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밴드 형태로 형성된,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32 32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버퍼층은 CdS, Zn(O,S), Sn-doped ZnOx, Ti-doped ZnOx, i-ZnOx 및 Mg-doped ZnOx, (Mg,Al)-doped ZnOx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33 33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전극층은 In-doped SnOx, Al-doped ZnOx, In-doped ZnOx, Ga-doped ZnOx, B-doped ZnOx, Ag nanowire, graphene, carbon nanotube, Ag, Mg:Ag 합금, Au 및 OMO(metal oxide/thin metal/metal oxide) 구조의 전극재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34 34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투명 산화물 전극층은 In-doped SnOx, F-doped SnOx, Al-doped ZnOx, In-doped ZnOx, Ga-doped ZnOx, (In,Ga)-doped ZnOx, (Al,Mg)-doped ZnOx 및 B-doped ZnOx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씨스루형 박막 태양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수요대응형 태양광모듈 구현을 위한 비접촉식 박막미세가공 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CIGS 박막태양전지 기반 고효율 투광형 태양전지 모듈 원천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