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슈와크만-보디안-다이아몬드 증후군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1005466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유방암 치료제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규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슈와크만-보디안-다이아몬드 증후군(Shwachman-Bodian-Diamond Syndrome, SBDS)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내성 종양에 대한 아포토시스(apoptosis) 유도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암 치료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의 제공으로, 기존의 항암제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가 떨어지거나 항암제의 효능(efficacy)이 잘 나타나지 않는 유방암을 치료함에 있어, 항암제의 치료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난치병인 유방암을 치료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48/00 (2006.01.01) A61K 31/337 (2006.01.01) A61K 31/357 (2006.01.01) A61K 33/243 (2019.01.01) A61P 35/00 (2006.01.01) G01N 33/574 (2006.01.01) C12Q 1/6886 (2018.01.01)
CPC A61K 48/00(2013.01) A61K 31/337(2013.01) A61K 31/357(2013.01) A61K 33/243(2013.01) A61P 35/00(2013.01) G01N 33/57415(2013.01) C12Q 1/6886(2013.01) A61K 2300/00(2013.01) G01N 2800/52(2013.01) G01N 2500/04(2013.01) C12Q 2600/118(2013.01) C12Q 2600/13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40534 (2019.11.05)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54659 (2021.05.1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1.05)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상명 서울특별시 송파구
2 이지은 인천광역시 계양구
3 고판선 전남 목포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길 ** (대치동) 성원타워 *층(명진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1.05 수리 (Accepted) 1-1-2019-1135634-4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7.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8.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0-0186127-04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12.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873662-66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2.10 수리 (Accepted) 1-1-2021-0172276-35
6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21.02.10 수리 (Accepted) 1-1-2021-0172274-44
7 [출원서 등 보완]보정서
2021.02.10 수리 (Accepted) 1-1-2021-0172273-09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2.1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172275-9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SBDS(Shwachman-Bodian-Diamond Syndrome)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SBDS 유전자는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발현 억제제는 SBDS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shRNA), 마이크로 RNA(micro RNA, miRNA), 및 리보자임(ribozym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작은 간섭 RNA는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방암 치료제는 항유사분열제(antimitotic reagent) 또는 유전자독성물질(genotoxic reag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항유사분열제 또는 유전자독성물질은 파클리탁셀(paclitaxel), 에리불린(eribulin), 및 시스플라틴(cispla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경직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에서 유방암 세포에 대한 유방암 치료제의 접근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방암은 악성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악성 유방암은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 유관 상피내암, 소엽 상피내암, 및 파제트(Paget)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10
SBDS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 및 유방암 치료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11
SBDS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12
SBDS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제는 SBDS 유전자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항-SBDS 단백질 항체 및 상기 항체의 항원결합부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14 14
SBDS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 스크리닝용 조성물
15 15
SBDS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SBDS 단백질의 수준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미세소관 수식화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및 발암 작용 연구
2 보건복지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질환극복기술개발 암 섬유아세포 활성 제어를 통한 악성 종양 치료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