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진토닌을 포함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 분화용 조성물 및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1005476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진토닌을 포함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 분화용 조성물 및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토닌은 LPA(lysophosphatidic acid) 1 및 LPA 3 수용체를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고, 말기 분화를 촉진하며, 비접힘단백질반응(UPR, unfolded protein response)을 조절함으로써 소포체 스트레스(Endoplasmic reticulum stress, ER stress)로 인한 세포사멸로부터 희소돌기아교 계통 세포(Oligodendrocyte Lineage Cells)를 보호함에 따라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로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할 수 있어, 탈수초성 질환 치료제로 유용할 수 있다.
Int. CL C12N 5/079 (2010.01.01) A23L 33/18 (2016.01.01) A61K 38/16 (2006.01.01) A61P 25/00 (2006.01.01)
CPC C12N 5/0622(2013.01) A23L 33/18(2013.01) A61K 38/168(2013.01) A61P 25/00(2013.01) C12N 2501/998(2013.01) C12N 2506/08(2013.01) A23V 2002/00(2013.01) A23V 2200/32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40766 (2019.11.06)
출원인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54741 (2021.05.1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1.06)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나승열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양현정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1.06 수리 (Accepted) 1-1-2019-1137318-75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0.09.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666742-10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2.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62808-93
4 무효처분통지서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
2021.02.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62809-38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3.2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362624-88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3.29 수리 (Accepted) 1-1-2021-0362625-2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진토닌을 포함하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진토닌은 인삼으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당지질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3
진토닌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진토닌이 상기 배지 내에 0
5 5
진토닌을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Endoplasmic reticulum stress)로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6 6
진토닌을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탈수초성 질환은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SCI),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뇌성마비(cerebral palsy), 유전적 백질이영양증(hereditary leukodystrophy), 진행성 다소성 백질뇌염(progressive multiple focal leukoencephalopathy), 크라베병(Krabbe disease), 메르츠바하병(Pelizaeus-Merzbacher disease), 신경병질(neuropathy), 중심다리뇌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또는 수초형성부전증(hypomyelin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8
진토닌을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9
진토닌을 포함하는 탈수초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상기 탈수초성 질환은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SCI),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뇌성마비(cerebral palsy), 유전적 백질이영양증(hereditary leukodystrophy), 진행성 다소성 백질뇌염(progressive multiple focal leukoencephalopathy), 크라베병(Krabbe disease), 메르츠바하병(Pelizaeus-Merzbacher disease), 신경병질(neuropathy), 중심다리뇌 수초용해(central pontine myelinolysis) 또는 수초형성부전증(hypomyelin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건강식품은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부 건국대학교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천연물 유래 뇌혈관 장애 (BBB) 극복 물질인 진토닌 병용시 뇌질환 치료 효율 증대 연구